러브크래프트 전집 1 러브크래프트 전집 1
H. P. 러브크래프트 지음, 정진영 옮김 / 황금가지 / 200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년에 계획했던 호러소설 읽기는 어느정도 목표달성을 하였다. <드라큘라>, <지킬박사와 하이드> 등을 읽었고 미흡하지만 독후감도 썼다. 작년에 목표했던 책 중에 못 읽었던 것이 메리셸리의 <프랑켄슈타인>와 러브크래프트의 소설이었다. 프랑켄 슈타인이 공포소설 또는 19세기에 유행했던 이중적인 자아나 왜곡된 자아상에 관련되어서 읽어보려 했던 것이었으나 아직 읽지 못했다.

 

러브크래프트를 읽기로 한 것은 단연코 킹 때문이다. 스티븐 킹이 입에 침이 마르도록 칭찬하고 있는 이유가 궁금해서 였다. 전집에 실린 단편들에 대한 총편은 역시 킹의 칭찬이 괜한 것은 아니었다는 생각이 들 정도이다. 뭘 얘기하려고 하는 지를 알 수 없는 단편들이 몇 편있기는 하지만 전체적으로 긴장을 만들어 내는 작가의 역량이 뛰어나다. 개인적으로는 <인스머스의 저주>가 모든 면에서, 긴장감, 완결성, 가장 좋았다.

 

다른 작가들은 어쩐지 모르겠지만 러브크래프트는 소리 때문에 생기는 공포를 그려내는데 탁월한 재주가 있다. 한편 달리 생각해보면, 공포라는 것은 킹의 말처럼 보지 말아야 할 것을 보고 싶어하는 강박, 또는 금기에 대한 강박 때문에 생기는 것이니 시각을 제외한 모든 감각들을 이용하는 것이 당연해 보인다. 문밖에 괴물이 있고, 어떠한 유혹이 있더라도 문을 열어서는 안되는 규칙이 있다. 밖에서는 모든 소리들이 주인공을 유혹한다. 이런 경우 밖에 무엇이 있는지 알게 되는 순간, 손에 땀을 쥐는 순간은 끝나는 것이다. 우리는 볼 수 없기 때문에 더 무서워하고, 더 무서워하기 때문에 더 보고싶어 진다.

 

그래서일까? 공포는 어떤 스타일의 이야기보다도 말로 쉽게 전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