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회원에게 꽤 많은 중고책을 팔았다. 나름 골드셀러다. 근데, 아주 가끔 환불을 요구하는 회원들 때문에 번거롭기 그지없다. 문제는 배송비 때문. 핵심 쟁점은 배송비 액수를 누가 부담하느냐 하는 거. 구매자의 변덕이면 구매자가 모두 부담해야 하기에 구매자는 어떻게 해서든 책상태를 물고늘어진다. 대부분 합의점을 찾지 못하면 그냥 반반으로 타결하는 게 누이좋고 매부 좋은 방식임을 최근에 알았다. 내가 아무런 잘못이 없더라도 구매자가 버팅기면 할 수 없다.
아, 근데...내가 얘기하려는 핵심이 이게 아니었지. 내가 알라딘 회원에게 중고책을 팔 수밖에 없는 이유가 있다. 바로 알라딘 중고서점의 책매입 정책 때문이다. 정말 열불나던 때를 잊을 수 없다.
아마도 재작년 때 였을 거로 기억된다. 안 보게 된 경제학 교과서와 법학 교과서 그리고 인문학책을 들고 알라딘 중고서점에 갔다. 총 7권이었다. 교과서는 거의 3만원 대 책들로 거의 새책 수준의 중고책들이었다. 알라딘은 이들 책 중 3권만 매입했고 나머지는 재고가 많아서 구매할 수 없다고 했다. 교과서는 권당 2천원에 구매하면서, 수요가 많지 않다는 이유를 달았다. 어차피 안 볼 책이니 그냥 2천원에 팔았고, 나머지 책들은 재고가 없다니 할 수 없었다. 그런데 마지막 1권은 페이지에 줄친 부분이 5페이지에 걸쳐 있기 때문에 안된다는 거였다. 뭐, 어째겠는가....매입 정책이 그렇다는데...군말하지 않고 갖고 온 책을 도로 갖고 갔다. (나중에 안 사실인데, 검색 기능을 사용하면 알라딘이 구매할 책인지 아닌지, 그리고 적정가도 알 수 있었다.)
그런데 그 다음날 중고서점에 가 보니, 내가 2천원에 판 책이 13800원에 책정(정가 32000원짜리 책)되어 있는 게 아닌가! 그리고 내가 팔려고 했는데 재고가 많다고 한 책은 검색해 보니 1권밖에 없었다. 그리고 내가 팔려다가 낙서가 많이 돼 있다고 퇴짜맞은 책이 알라딘 매장에 있었다. 4800원의 가격이 붙어 있길래 넘겨 보니 낙서돼 있는 페이지가 무려 20페이지가 넘었다. 그래서 하도 빡쳐서 알라딘 직원에게 따졌다. 어제 내가 이 책을 팔려고 했는데, 낙서가 돼 있어 퇴짜 맞았는데, 왜 이 책은 낙서가 이리 많이도 놰 있냐고. 그랬더니, 이 직원의 말이 걸작이다.
아, 그건 알라딘 중고 물류센터에서 온 거에요.
헐~ 그렇다면 물류창고 도서들은 어디에서 매입한 건가? 박스로 팔면 낙서돼 있는 것도 헐값으로 팔 수 있다는 것도 나중에 알았다. 오로지 개인이 알라딘 중고매장에 가서 책을 팔 때에만 가장 엄격한 룰이 적용되는 것이다. 알라딘에서 분명히 3200원으로 검색되는 책도 그 매장에서 직원이 "이 책은 재고가 많아서 구매가 어렵습니다."라는 한 마디에 책을 다시 가져올 수밖에 없다.
위와 같은 일을 알라딘 중고서점에서 3번 정도 겪자, 다시는 알라딘에 책을 팔러가지 않았다. 대신 알라딘 회원에게 팔아보았다. 교과서들은 확실히 1/3 가격에 내놓으면 수요가 분명히 있었다. 그래서 나는 알라딘 회원에게 중고책을 팔기로 하고 알라딘 중고매장에 다시는 가지 않게 됐다.
내가 이 글을 쓰는 이유는 알라딘의 중고서적 매입 정책이 일관성이 부족하다는 거다. 심지어는 알라딘 중고매장에서 산 책을 되팔때 알라딘이 구매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한다는 거다. 아주 오래된 책을 살 경우 이런 상황이 벌어지는데,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다.
물론, 영어 원서에 대한 합리적인 매입 가격 정책도 요구된다. 너무 싼 값에 매입하여 비싼 가격을 책정하는 것은 일반 우리나라 도서 매입 정책과 매우 동떨어져 보인다. 현재 알라딘의 일반 서적 매입 정책은 비교적 간단하다. 2000원에 책을 샀으면 4000원의 매장가격을 책정하는 식이다. 그런데, 외서의 경우 거의가 3천원 미만에 구입한다. 매장에서 팔 때에는 항상 정가의 55% 정도다(책 정가가 2만원일 경우 매장가가 9000원 정도). 이유는 앞에서 언급한대로 수요가 많지 않아서이다.
그런데, 이런 이유는 눈가리고 아웅하는 식이다. 수요가 많지 않으면 당연히 매이 하지 말던가 아니면 싼 가격을 매장가로 책정해야 하는 게 아닐까. 좀더 근본적이고 타당한 이유를 제시해서 소비자들이 수긍할 수 있는 가격 정책을 마련하는 것이 불만을 없애는 첩경일 것이다.
알라딘은 중고서점 사업으로 도서 시장에서 브랜드 포지셔닝에 성공한 것으로 보여진다. 알라딘을 모르던 사람들도 이제는 거의 다 알 정도다. 약속 장소와 가족 단위 나들이로도 이용되는 걸 보면 알라딘 브랜드가 어느 정도의 성공을 거두었는지 알 수 있다. 인터넷 서점으로 출발한 업체 치고 현재의 알라딘 정도의 인지도를 거둔 업체는 전무하다. 비슷한 업체인 리브로와 인터파크는 사장됐고 그나마 yes24정도만 버티고 있는데, 인지도 면에서는 이제 yes24는 상대도 안된다.(인지도와 매출 순위로 yes24가 알라딘 보다 앞섰던 때가 불과 5년 전이다.)
중고매장 오픈으로 새로운 성장동력을 마련하고 그 기세로 미국에까지 알라딘 중고서점을 오픈한 알라딘이다. 그럴수록 보다 투명하고 개선된 서비스를 보여야 하는 게 아닐까. 발전하는 기업은 사소한 고객의 소리에 언제나 귀를 귀울여 왔다. 알라딘이 계속 소비자에게 사랑받는 서점이 되려한다면 중고책 매입과 매장가격 책정을 보다 투명하고 합리적으로 개선해야 할 것이다. 중고책을 팔러 와서 빡치는 고객이 없게 하려면 말이다.
덧
알라딘 중고서점에 책을 팔러와서 빡쳐 돌아가는 수많은 사람들을 목격했다. 심지어는 가져온 책들을 중고서점 부근에 버리고 가는 사람들도 보았다. 나도 빡치는 일을 당했기에 이에 대한 불만을 쏟아내 봤다. 알라딘이 미국에까지 오픈 한 걸 보니, 정말 잘나가긴 하나보다. 그에 맞춰 서비스도 개선 되었으면 하는 바람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