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디어, 드디어!! 짐멜의 대표작인 <돈의 철학>이 재판되어 나왔다. 꼼꼼한 각주가 돋보이는 도서출판 길에서 나온 고기토 총서 시리즈. 이 가운데 '세계사상의 고전' 27번 째 책이다.
내가 소장한 책은 한길사 본인데, 너무 오래되서, 그리고 번역이 그리 좋은 편이 아니라서 새 판본이 나오길 기다리고 기다렸다. 나왔긴 한데, 헐~ 비싸서 못사겠다..ㅜㅜ 세상에, 5만원이 넘다니...@_@
그래두 우리말처럼 술술 읽히면 구입할 수밖에 없을 듯..OTL
이 책의 재간행을 기념할 겸, 짐멜에 대해 몇 자 끄적거려 놓아야 겠다. 그 이유는 누가 이 책을 사회학의 3대 명저 가운데 하나로 운운했기 때문.
물론 <돈의 철학>이 독창적이고 빼어난 책임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하지만 '과연 사회학을 정초시킨 3대 명저에 꼽힐 수 있는가?'가 내 문제의식의 출발점이다.
사회학은 철학에서 독립한 학문임에는 이설이 없다. 근데, 그 시조가 누구이냐고 물으면 명확히 답하기가 쉽지 않다. 콩트가 그 시조라는 걸 고교 교과서에서 확인할 수 있을 뿐이다.
물론 콩트가 사회학을 창설한 사람이라는 설은 통설이 아니다. 다수설 쯤 된다. 왜냐하면 일부 학자들은 마르크스를 사회학의 정초자로 보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예가 야스퍼스다. 야스퍼스는 <철학적 사유의 작은 학교>(서광사, 1989)에서 마르크스를 사회학의 시조로 분명히 밝히고 있다.
또 일부 학자들은 에밀 뒤르켕의 <자살론>이 사회학을 연 최초의 문헌이라고 주장한다. 아마도 뒤르켕이 사회학이 말할 수 있는 대상을 찾으려고 노력한 시조였고, 또한 사회학 기술(글쓰기 형식)의 원형이었기에 그런 것 같다. 고전 사회학의 시조를 꼽을 때 뒤르켕과 베버는 빠지지 않는 걸로 봐서도 일말의 설득력은 있다.
뭐, 어찌되었던 사회학의 시조는 고교 교과서에 그리고 서양철학사에 콩트로 명시되어 있다. 그렇기에 콩트의 <실증철학 강의>는 사회학을 정초시킨 시발점이다. 이는 경제학에서 애덤스미스의 <
국부론>과 동등한 가치를 갖는 책이다.


그래서 사회학의 3대 명저를 꼽으라면 우리는 콩트의 <실증철학 강의>, 마르크스의 <공산당 선언>, 뒤르켕의 <자살론>을 꼽아야 한다. 이들 책이 사회학의 근간을 마련한 책들이기에 그렇다. (이는 경제학에서 <국부론>, <자본론>, <일반이론>을 경제학 3대 명저로 꼽는 이유와 비슷하다.)
물론 막스 베버의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게오르그 짐멜의 <돈의 철학>, 칼 만하임의 <이데올로기와 유토피아> 등이 사회학의 명저임은 분명하지만 3권 이후의 후순위로 꼽을 수 있는 저작들이지 않을까....하는 것이 지극히 주관적인 의견이다.
그래도 짐멜의 <돈의 철학>은 후순위에 놓기에 지극히 불만스럽다. <공산당 선언>이 달랑 100여 페이지도 안되는 분량인데, 단지 시대가 앞선다는 이유만으로 600페이지가 넘는 <돈의 철학>이 명저의 후순위로 밀린다는 건 아주 많이 아쉽다. 그렇다고 사회학 3대 명저로 꼽을 수도 없지 않은가. 지금까지 떠벌인 낯작이 있는데...
그래서 예전에 읽었던 <돈의 철학>에 대한 내 느낌과 짐멜에 대한 단상 그리고 돈에 대한 관심 주제를 부가하여 짐멜에 대한 애정을 좀 드러내고자 한다.(흠흠...--;;)
짐멜과 동시대의 인물로는 막스베버가 있었다. 베버와 짐멜은 독일 사회학의 공동창립자였지만 짐멜은 살아 생전 베버만큼 학자로서 유명하지 않았다. 학계에서도 그리 조명을 받는 학자가 아니었다. 아마도 그가 전형적인 사회학 이론가가 아니었기에 그랬을 것이다.
그도 그럴 것이, 그의 글쓰는 스타일을 보면 학계에서 제대로 대접을 못받았을 거란 생각이다. 솔직히 내가 게오르그 짐멜의 주저인 <돈의 철학>(한길사, 1988)을 읽고 느낀 건 바로 이점이었다. (짐멜의 저서를 읽은 건 이 책이 유일했지만) 것두 완독한 것이 아니라 1/3 정도 읽고 옮긴이 해제를 읽었던 게 전부였음에도 보통의 이론서하고는 판이하게 글이 달랐기 때문이다.
읽은 지 오래되서 주요 내용은 휘발성 기억으로 날라간지 오래다. 하지만 짐멜의 글쓰기 스타일은 정말 독창적이었다. 내가 읽었던 1988년 한길사 본은 무려 638페이지 달하는 압도적인 분량을 자랑했다. 당시 출간된 한길사 본은 한 페이지에 30줄 이상 아주 빽빽하게 편집되어 있었다.
그런데 정말로 놀라운 점은 책의 처음 페이지부터 마지막 페이지까지 단 한 개의 각주와 미주도 없었다. 소제목도 없이 장의 내용이 소설처럼 유려하게 전개되고 있었다. 읽으면서도, '허~ 참 신기한 책이네'를 반복적으로 되네였다. 사회를 분석한 학술서가 주가 없다니! (지금도 그렇지만 이런 책은 정말 읽을 가치가 충분하다!)
짐멜의 저서를 한 권밖에 읽지 않아 잘은 모르겠지만, 짐멜은 주로 자유로운 에세이 형식을 자식의 글쓰기 스타일로 삼은 것 같다. 정제된 논문 형식이 아닌 에세이 형식의 글이었기에 당시 독일 교수 집단에게서 그리 높은 평가를 받지 못한 듯. (뭐, 우리나라는 이런 경향이 아주 심하지만~)
하지만 <돈의 철학>이 영어로 번역됨에 따라 짐멜은 문화와 사회를 연구하는 신진 연구자들에게 점차 인지도를 얻게 된다. 그리고 이 연구자들이 학계를 주도할 쯤 짐멜은 미국 사회학 이론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인물로 부각된다. 그의 주요 이론인 '상징적 상호작용론'은 사회학설사에서 분명히 한 획을 그은 것으로 평가받는 중요 이론이다.
생각건데, <돈의 철학>도 짐멜의 '상호작용론'의 연장선 상에 있는 듯 보인다. 그가 관심을 가진 것은 근대 세계에서 화폐경제가 출현하는 상황이었는데, 이 거시적 상황이 미시적 개인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다방면으로 스케치 한 것이 이 책의 내용인 것처럼 생각되기 때문이다. 이 생각이 맞는지 다시 한번 책을 읽고 확인을 해 보고 싶다.
예전부터 화폐와 돈에 대한 책들을 모으고 있다. 돈이 곧 화폐인가? 그런거 같기도 하고 아닌거 같기도 하다. 하지만 경제학분야에서는 줄기차게 화폐로 쓰는 듯...개인적으로 돈이 더 좋은데..
까치 출판사의 <돈의 세계사>가 절판되고 <화폐의 역사>로 재간 된 것도 무척 불만스럽다. 프리드만의 <돈의 이야기>가 <화폐역사의 교훈>이나 <화폐 이야기>로 재간되면 되게 신경질이 도질 듯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