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곰스크로 가는 기차 (양장)
프리츠 오르트만 지음, 안병률 옮김, 최규석 그림 / 북인더갭 / 2010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곰스크로 가는 기차>를 읽는데, 어? 나 이거 읽었다??
검색해보니 이 책을 산 게 2011년인데, 이때 같이 주문했던 책이 <천국의 열쇠>, <사랑이라니, 선영아>, <내 심장을 쏴라> 였고 이 책들은 확실히 다 읽었다.
그러니 곰스크도 그때 읽었나 보다.. 어쩌면 표제작만 읽은 건지도 모르겠다. 그러고 보니 이때는 정말 소설 편향이었군.
표제작만 읽고 일단 뭔가 쓰고 싶어져서 리뷰를 쓴다.
표제작 '곰스크로 가는 기차'를 읽는데, 이거..
이 남자는 N이고, 이 여자는 S다. 틀림없어! 남자는 계속 저 멀리 곰스크를 바라보고 있고, 여자는 안락의자(새우깡)를 구한다.
- 자꾸 새우깡 얘기를 하게 되는데 모르시는 분은 아래 링크 참고
아내 역시 우리가 언젠가는 곰스크로 가게 될 것임을 인정했다. 하지만 그곳이 너무나 멀리 떨어져 있었기 때문에 그녀에게는 어떤 느낌이나 희망, 걱정으로 다가오지 않는 것 같았다. 마치 젊은 사람이 죽음에 관해 생각하는 것처럼. - 34쪽
10년 전에 읽을 때는 어땠는지 모르겠는데, 아마도 이 남자의 마음에 이입해서 안타까워 했을 것 같다.
하지만 지금의 나는 여자에게 이입해서 빡친다. 곰스크는 내 꿈이 아니야, 네 꿈이잖아! 왜 자꾸 "우리"라고 하지? "우리가 그렇게 기다리던 시간이 마침내 다가온 거야!"(39쪽)라니, 아내는 결코 그 시간을 기다리지 않은 것 같건만. 심지어 곰스크로 갈 생각에 골몰해 아내가 배가 불러오는 것도 모른다. 아니 언제든 떠날 생각이었으면 그것도 조심했어야지. 이 화상아..
"(...)나에게 안락의자 따윈 필요없어! 당신한테 여러번 얘기했잖아! 나는 곰스크로 갈 거라고, 이 빌어먹을 촌구석을 떠나서 곰스크로 갈 거라고 말이야." - 37쪽
"그러면 당신은 여기서 조금도 행복하지 않았다는 말인가요? 당신에게는 내가 있었잖아요! 당신은 오직 곰스크만을, 우리가 함께 살아온 이곳에서 등을 돌리게 될 그날만을 기다리지 않았나요?" - 40, 41쪽
곰스크가 어떤 곳인지조차 모르면서, 그는 지금 여기는 '빌어먹을 촌구석'이고 곰스크는 멋진 곳일 거라고 여긴다. 지금 이곳을 언제든 떠나려고 엉덩이를 들썩거리며 주변을 제대로 살피지 않는 그와 달리, 그녀는 완전히 이곳에 정을 붙이고 뿌리를 내리기 시작한다. 그리고 아이라는 결정타가 이들을 이곳에 정착시킨다.
그러나 여전히 그는 곰스크에 사로잡혀 있다. 그의 한구석에는 떠나고 싶은 열망이 있고 그 열망이 그를 고독하게 한다.
이게 참 전형적인 남성 서사 느낌이긴 한데(게다가 번역은 왜 남편은 반말하고 아내는 존대하는지?), 성별을 떠나 누구에게나 적용될 수 있는 고민이다.
'곰스크'로 표상되는 어떤 이상, 꿈, 그런 것들을 남편만 가지고 있고 아내는 가지고 있지 않은 게 아니라, 아내는 자기만의 곰스크를 이곳에서 찾았다고 생각한다. 지금 이곳, 현실의 가까운 곳에서 행복과 의미를 찾는 것- 나는 아내 쪽에 가까운 사람이다.
현재에 대한 불만이 더 나은 세상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하지만 그냥, 막연하게, 무조건, 지금 이곳, 현실의 가까운 곳에는 만족하지 못하는 사람들도 있다.
뭐, 남편이 어릴 적부터 아버지 얘기를 듣고 꿈꾸어 온 이상을 찾아 떠나는 것은 좋다.
근데 그럴 거면 똑같은 꿈을 꾸는 사람을 만나든지 일단 곰스크에 가서 배우자를 찾든지 했어야 할 것 아니야?
마치 아내와 아이가 자기의 꿈을 이루지 못하게 하고 시골에 주저앉게 만든 것처럼 여기며, 기적소리가 들릴 때마다 다락방으로 올라간다는 이 남편의 모습은 내게 하등 가여워 보이지 않는다.
애들 키우는 아내 입장에 이입하여 화난 리뷰를 쓰긴 했지만 ㅋㅋ 이 소설이 좋지 않은 소설이라는 건 아니다. 이상을 꿈꾸며 현실에 머무르는 인간의 한계와 어리석음을 우화처럼 잘 보여준다. 지금 이 현실을 부정하고 싶어도 이것은 결국 내가 선택한 운명이라는, 선생의 입을 통해 지혜를 들려줘도 여전히 곰스크를 놓지 못하는 미련까지 말이다.
나머지 단편들은 천천히 읽어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