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보문고 잠실 ‘영토확장’ 중소서점 “울상” [06/02/20]
3000평 규모의 교보문고 잠실점이 22일 개점하기로 함에 따라 인근 중소형 서점들에 비상이 걸렸다.

한국서점연합회(서련) 송파지구 조합(조합장 김동욱)은 20일 임원회의를 열어 “교보분점이 들어옴에 따라 같은 상권안의 중소서점들이 존폐 기로에 섰다”면서 자구책으로 20~30% 할인판매를 하기로 결의했다.

교보문고 잠실분점은 잠실 사거리 롯데캐슬플라자 지하 1층 3000평 규모로 20만종 40만권의 도서를 갖춘 서적공간 외에 문화이벤트와 휴식을 위한 공간(티움), 북카페, 어린이 및 유아를 위한 키드스 가든과 수유실을 구비했다. 25년 만에 11호점을 연 교보는 이로써 서울에만 광화문점(2704평), 강남점(3600평)에 이어 초대형 점포 3개를 보유하게 됐다. 특히 서점에서는 새 문화와 트렌드를 소개하는 ‘편집매장’을 운영하며, 원하는 책이 어느 서가에 있는지까지 검색이 가능한 도서검색대와 고객과의 일대일 맞춤상담을 하는 북마스터 제도를 운영할 예정이다.

서련 송파지구 이진표 총무는 “교보 잠실점의 영향권은 송파구, 광진구, 분당 성남 일대”라면서 “손님들이 교보로 쏠리면서 송파구, 강동구 일대 서점이 직접 피해를 볼 것”이라고 말했다. 자구책으로 지역서점들이 자율적으로 20~30% 할인을 할 수 있도록 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송파, 광진 2개 구에서 적어도 15개 서점이 폐업 또는 전업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교보분점에서 300여미터 떨어진 15평 규모의 중앙서점 김동욱 대표는 “장님 제닭 잡아먹기이긴 하지만 앉아서 당할 수만은 없다. 지구조합의 결의에 따라 할인 판매를 할 생각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당장은 독자들이 편할 지 모르지만 동네서점이 문을 닫게 됨에 따라 책 한 권을 사기 위해 먼거리를 이동해야 하는 등 불편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무엇보다 자영업자들이 몰락하면서 실업자가 늘어나는 게 더 문제”라고 말하고 “정부차원에서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하는 일을 구분해서 교보같은 큰 기업이 영세 자영업의 영역을 빼앗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름 밝히길 꺼리는 한 서점의 대표는 “2003년 교보 강남점이 열면서 가까이 있던 1000평 규모의 진솔문고가 1년만에 폐점했는데 교보 분점 때문이었던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그러나 교보 남상호 홍보팀장은 분점 개설이 “기존의 시장을 뺏기보다는 가족단위의 고객 등 새로운 독서수요를 창출한다고 본다”고 말하고 “2001년 부산교보 개점때 지역서점의 반발이 있었지만 그 때문에 문을 닫은 서점이 없는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또 교보가 진출한 영남권은 도서시장이 활발한 반면 교보가 없는 호남지역은 침체돼 있다고 지적했다.


(한겨레신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