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산책] 일하는 엄마 [06/02/21]
집에 들인 지 3년된 벤저민 화분이 깡통 장식에 울긋불긋해졌다. 줄곧 한자리에만 두었더니 모든 가지가 햇빛을 좇아 한 방향으로만 내뻗었다. 물을 채운 청량음료와 맥주 깡통에 끈을 매 가지에 달았지만 모양을 잡기에는 너무 늦은 감이 있는 듯하다. 아이는 뒤늦은 크리스마스 트리에 마냥 신났다. 이렇게 부산떠는 건 텔레비전에서 살림을 잘 하는 주부들의 집안을 들여다본 때문이었다. 분위기 있는 카페 같은 집과는 거리가 한참 먼 방 안을 둘러보자니 성이 잔뜩 난 벤저민 화분이 눈에 들어왔던 것이다.

요즘 들어 부쩍 아이의 주문이 늘었다. 누구 엄마는 영어 책도 같이 읽어주고 그림도 같이 그려준다,누구 엄마는 맛있는 간식을 예쁜 그릇에 담아준다. 그러더니 며칠 전에는 두 팔을 허리에 붙이고 “난 크면 일하는 엄마는 안 될거야,집에서 살림만 할거야”라고 말해 가족을 웃겼다. 평생 집과 직장 사이를 종종거린 엄마는 물론이고 지금껏 직장을 놓지 않았던 여동생과 나는 집에서 살림만 한다는 건 어떤 것일까,상상을 해보았다.

지난주에 O선생과 차를 마셨다. 인터뷰 요청을 해온 잡지사는 제2의 창작을 시작하는 선생의 근황과 더불어 주부이자 소설가로서의 그간의 고충을 한 번 써보자고 했다. 갓 서른을 넘긴 아들과 이십대 후반인 딸의 모습을 본 적은 없지만 십육 개월 터울로 연년생이나 다름없는 고물거리는 아기들을 업고,안고 소설 때문에 전전긍긍하고 있는 젊은 선생의 모습이 잠깐 떠올랐다가 사라졌다.

차를 다 마실 무렵에야 잡지사의 편집장이 부랴부랴 달려왔다. 그날은 그녀의 딸아이가 초등학교를 졸업하는 날이었다. 오늘도 오지 않으면 다시는 엄마 얼굴을 보지 않겠다고 엄포를 놓았다는 것이다. 교실에서 텔레비전으로 치러지는 졸업식을 보느라 학부모들이 복도에 늘어섰는데 아이가 가끔 복도로 고개를 돌릴 때마다 그녀는 손을 흔들면서 눈도장을 찍었노라고 했다. 그러더니 조금 풀 죽은 목소리로 “늘 아이한테 미안하죠” 했다. 그녀의 심정을 알고도 남는 선생과 나는 말 없이 고개를 깊이 끄덕였다. 그리고 밥하기 싫어 울었다는 선생의 글에 공감하며 웃었다.

엘리베이터 안에서,곧잘 놀이방에서 어린아이를 찾아오는 직장 여성들을 만난다. 저녁 때가 다 지난 시간이다. 그녀는 집에 들어가 늦은 저녁을 때우고 아이를 씻기고 부족한 잠을 잘 것이다. 한 젊은 평론가는 아기 때문에 발을 동동 굴렀다. 좀 늦은 귀가에 아기를 돌보는 아주머니는 성화하고 그녀는 아기를 잠깐 봐줄 사람을 찾기 위해 이곳저곳에 전화를 걸었다.

그런 면에서 집이 곧 일터였던 내 경우는 행복한 편이었나? 소설을 쓰다 밥을 안치고 찌개를 끓이고,밤을 새운 날 아침 아이가 체육 시간에 쓸 훌라후프를 놓고 가 헝클어진 머리카락을 휘날리며 학교까지 뛰었다. 아이가 우산이나 실내화 주머니를 잃어버리면 아이를 앞장세워 학교 주변을 뒤졌다. 그리고 짬짬이 소설에 몰입해야 했다. 비가 오는지 몰랐다가 부랴부랴 우산을 들고 학교 쪽으로 뛴 적이 있다. 아이는 코트에 달린 모자를 푹 눌러쓰고 비를 맞으면서 걸어오다가 나를 보고는 씩씩거렸다. “엄마 미워,다른 엄마들은 다 학교 앞에서 기다렸단 말이야!”

6,7년 전쯤 소설집을 냈을 때 한 기자가 기사 말미에 이렇게 쓴 적이 있다. ‘앞으로 이 주부작가의 상상력이 어떻게 펼쳐질지 궁금해진다.’ 그때는 소설가 앞에 여성,여류라는 단어가 붙는 것도 끔찍하던 때라 이 새로운 단어에 웃어야 할지 화를 내야 할지 잘 몰랐다. 하지만 이미 그때 그는 주부로서의 글쓰기,일하는 엄마의 고충에 대해 알고 있던 것은 아닐까. 남자였음에도 말이다.


(국민일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