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은아이님이 짚어주신 것 잘 보았습니다. 저는 전혀 몰랐던 낱말들(통잠...)도 있었고, 저도 숨은아이님과 동감(나뭇등걸, 스란치마, 가락지, 환쟁이....)하는 것도 있었어요. 그 가운데 몇가지는 제가 알고 있는 것과 달라 올려봅니다.
*우묵하다 : 라는 설명은 그리 낯선 표현은 아닐 텐데요? 흔히, 요리강습할 때도 "우묵한 접시에 담아주세요"이런 표현 자주 하거든요. 움푹하다-만큼 우묵하다도 자주 쓰이는 표현이며 '우묵'은 우리사전에 올라와 있는 하다형 형용사입니다.
*덕석 : "덕석"이라는 용어는 원래 "추울 때에 소의 등을 덮어 주기 위하여 멍석같이 만든 것"이라는 뜻의 낱말입니다. 그래서 멍석과 덕석이 표준어와 사투리의 관계만이 있는 것이 아니라서, 두 낱말의 차이를 정확히 알아야만 이해할 수 있는 속담도 있지요 " 덕석이 멍석인 듯이"라는 속담은 실물도 아닌 것이 약간 비슷함을 빙자하여 실물처럼 자처한다는 뜻입니다.
강강술래에서 덕석몰이는 놀이의 형태를 생각해보면 멍석말이가 통념상 맞는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이때는 덕석은 멍석에 대한 사투리 표현이겠지요. 하지만, 멍석이든 덕석이든 그 생김새가 비슷해서 덕석을 소재로 노래를 만들었을 수도 있으니 무조건 사투리라고만은 할 수 없을 거 같습니다.
*더늠과 바디에 대한 보충설명 : 숨은아이님 말씀대로 더늠과 바디가 똑같은 건 아닙니다. 잘 아시다시피 '더늠'은 '더 넣었다'라는 뜻으로 어느 명창이 특정 부분을 자신만의 독특한 방식으로 다듬어 넣은 것이고, "바디"는 받았다라는 뜻의 '받이'에서 유래된 말이기도 하고 베를 짜듯이 소리를 짰다하여 나온 말이기도 합니다. 더늠과의 차이라면 더늠은 한 대목을 말하고 바디는 전체적인 짜임새를 말하니 더늠보다는 바디가 좀 더 큰 의미가 될 수 있습니다.
두 말의 공통점이라면 '판소리의 유파와 스타일을 구별'할 때 쓰는 말이란 것이겠지요. <바디를 “판소리에서 명창이 한 마당 전부를 절묘하게 다듬어놓은 소리. 더늠”>이라고 설명을 붙인데는 아마 그런 뜻으로 한 것 같습니다. 더늠과 바디가 똑같다는 식의 설명은 분명 잘못되었지만, 판소리의 공연방식의 특성상 발생하는 명창들마다 자신의 더늠과 바디 (더 나아가'제"까지)가 있다는 정도로는 괜찮은 것 같습니다.
- 제가 가진 민중서관의 <새로나온 국어대사전>을 참고했으며,가물가물하던 전공과목의 기억을 더듬었습니다^^;- - 2005-12-27 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