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책이 매출 '효자' … '1인출판' 크게 늘어

올해의 출판시장도 양극화가 급격하게 진행됐다. 매출의 선두주자는 시공사다. 시공사는 어린이책 브랜드인 시공주니어의 220억 원을 비롯해 계열사 전체로는 600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작년에 300억 원 가량의 매출을 올린 민음사는 올해 400억 원 정도의 매출을 기록했다. 그중 어린이책 브랜드인 비룡소는 250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또한 드라마 <내 이름은 김삼순> 덕에 소설 『모모』(미하엘 엔데)가 종합베스트셀러 1위에 오르며 드라마 방영 이후에만 60만 부 이상이 팔려나가는 행운을 잡기도 했다.

1백원대 매출 올린 출판사 30여개
올해 출범 2년째인 랜덤하우스는 작년 매출이 320억 원이었지만 올해는 370억 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올해 50% 정도의 매출을 신장한 웅진지식하우스는 연말 들어 대거 인력을 영입하며 내년의 태풍을 예고하고 있다. 올해 유일한 밀리언셀러 『살아있는 동안 꼭 해야 할 49가지』를 출간한 위즈덤하우스는 작년의 두 배 가까운 130억 원의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이 밖에 김영사, 넥서스, 대한교과서, 북21 등이 200억 원대의 매출을 기록하는 등 100억 원대의 매출을 달성한 출판사는 작년과 마찬가지로 30여 출판사가 포진해 있다. 그러나 중소형 출판사는 올해도 고전을 면치 못했다. 특히 인문사회과학 출판사는 고사지경에 빠져들었다. 신간은 1000부도 팔기 어려울 정도였기 때문이다.

양극화의 '주범'은 물론 할인구조다. '대한민국 최저가 경쟁'이 날마다 벌어지면서 바잉파워가 있는 대형출판사와 대형 유통업체는 공동마케팅에 가까운 영업행위로 성장을 구가했지만 열악한 위치의 출판사는 책을 팔면 팔수록 밑지는 행태가 지속되었다. 화제가 될만한 책을 펴내 인터넷 서점의 초기화면에 책을 '띄우려고 하면' 헐값에 책을 출고해야 하는 것은 기본이고 쿠폰, 검색창 광고, 이벤트, 메일링서비스 등의 비용을 모두 부담해야 하니 베스트셀러에 올라도 속빈 강정에 불과하다.

중소형 출판사의 부진이 지속되면서 출판계 종사자의 '1인 창업'이 늘어나고 있다. 신생출판사는 2002년에 1,896개사, 2003년에 1,647개사, 2004년에 1,716개사 등 3년 동안 하루 평균 4.8개사 꼴로 늘어났다. 아직 통계가 나오지 않았지만 올해도 비슷한 추세로 출판창업이 이어지고 있다.

통계수치상으로는 올해 출판이 활성화된 것으로 나타난다. 상반기에만 작년에 비해 신간 종수 33.3%, 발행부수로는 12.4%가 늘어났다. 하지만 올해는 대단한 화제작도, 대형 베스트셀러도 그리 눈에 띄지 않는 한 해가 되고 있다. 더구나 반품률이 급증하고 있다. 출판유통업체에 확인해본 결과 작년에 비해 반품이 30% 정도 늘어나 실질적인 매출감소가 이뤄졌다고 볼 수 있다.

올해 출판에서 최고로 화제가 된 것은 '1인 출판'과 임프린트이다. 1인 출판이란 말 그대로 한 사람이 출판사를 경영하는 것을 말한다. 임프린트는 기업 안팎의 능력 있는 사람을 발탁하거나 채용해 출판사 운영 일체를 위임하는 것인데 기업 내부의 1인 출판 시스템으로 볼 수 있다. 민음사, 랜덤하우스중앙, 웅진지식하우스, 위즈덤하우스 등이 모두 임프린트의 확대를 꾀했는데 최근 출판사들이 기업의 사세를 키우기 위해 도입하고 있는 제도이다.

1인 출판이 가능해진 가장 큰 이유는 디지털 기술의 발달이다. 기술의 발달은 10년 전에 비해 제작비를 3분의 1 정도로 떨어뜨려 놓았다. 또한 유통업체의 매출 집중도 그 이유 중 하나다. 교보문고를 비롯한 몇몇 대형서점의 체인점 확대, 인터넷 서점 등으로의 매출 집중, 도매상의 일원화 등으로 10여개 도·소매 업체와만 거래를 해도 출판이 가능해졌다. 하지만 1인 출판은 아웃소싱 시스템이 아니면 불가능하다. 이제 교정·교열이나 편집, 다자인뿐만 아니라 기획 등 핵심역량까지 외부의 힘을 빌리기 시작했다.

싸이월드나 블로그 같은 1인 미디어가 갈수록 위력을 발휘하고 있는 것처럼 아이디어만 확실하면 출판기획자가 외부 협력자와 함께 책을 만드는 일이 매우 쉬워졌기 때문이다. 출판기업의 운영비 중에서 가장 부담이 큰 인건비나 경상비를 들이지 않으면서 빠르게 책을 만들 수 있게 된 것이다. 더구나 책은 다른 출판사 이름으로 펴낼 수도 있다. 그래서 출판기획사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지금 모든 서점의 여행서 베스트셀러 1위에 올라 있는 『친절한 여행책』의 기획자는 한 출판칼럼니스트다. 그는 이 책을 그 같은 시스템으로 만들었다. 책이 거의 완성될 즈음에 위즈덤하우스의 여행서 브랜드인 열번째행성과 저자 인세 7%, 기획 인세 3%의 조건으로 계약해 책을 출간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대표적인 책은 『2000원으로 밥상 차리기』이다. 그리고책이 기획하고 영진닷컴이 펴낸 이 책은 30만 부를 넘어섰다. 지금 출판계에서는 이와 같은 출판 형태가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결국 1인 출판이란 '혼자서 책을 만든다는 행위'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혼자서도 책을 만들고 파는 행위가 가능해진다는 의미의 전략적 용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1인 출판은 다른 업종, 업태 간의 공동작업을 의미하는 '콜라보레이션' 시스템이 전제될 때 작동할 수 있다. 출판계에서 콜라보레이션은 범출판계 내부에서 이뤄지는 것과 웹이나 모바일 등 IT업계와 이뤄지는 것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성공한 IT 기업들, 출판계 진출 서둘러
최근 IT로 성공한 기업들은 어떤 문화상품이든 탄탄한 이야기구조가 뒷받침되지 않으면 장기적인 성장을 이룰 수 없다고 판단하고 아예 출판계 진출을 서두르고 있다. 콜라보레이션을 하는 업체들은 서로의 이점을 살리면서 다른 업종과 함께 일함으로써 시너지효과를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출판 사업을 같이 하게 되는 경우에는 기업 내부에서 모든 일이 이뤄지기에 경쟁력이 커질 수 있다.

『세계는 평평하다』의 저자 토마스 L. 프리드먼은 한 인간이 가진 힘에 의해 세계가 축소되고 평평해지고 있어 지금 이 시대를 이끄는 역동적인 힘은 국가나 대기업이 아닌 개인에게서 창출되고 있다고 정리했다. 그는 세계가 평평해지는 동력으로 기술의 발달과 오픈소싱, 아웃소싱, 오프쇼어링, 공급사슬, 인소싱, 인포밍, 스테로이드 등을 들었는데 이런 시스템이 가장 잘 적용되는 곳이 바로 출판이다. 더구나 성공한 책은 '해리포터' 시리즈(조앤 K. 롤링)나 『다 빈치 코드』(댄 브라운)처럼 전 세계를 공략할 수 있다.

21세기 들어 책은 광대한 바다처럼 떠도는 무료정보와의 힘겨운 싸움을 계속하고 있다. 이런 시대에 독자의 머리뿐만 아니라 몸과 마음, 그리고 외부환경까지 움직이기 위해서는 오직 나 하나만을 위해 만들어졌다는 느낌의 책이 아니면 독자의 선택을 받기 어렵다. 그래서 내년 출판계에는 각 분야 최고 전문가들의 합종연횡을 통해 책의 질을 높이기 위한 일이 더욱 늘어날 것이다.

기사게재 : <시사저널> 2005.12.20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로드무비 2005-12-20 15: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늘바람님 잘 읽고 가요.^^

하늘바람 2005-12-20 15: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로드무비님 감사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