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지하로부터의 수기>를 읽고 난 뒤로 내 정신건강이 그리 나쁜 상태가 아님을 알게 되었다 .그 책의 주인공도 아무도 듣지 않는 말을 한참 동안 혼자 떠들어대기는 하지만 그래도 미치지 않았다. 그냥 고약한 인간일 뿐이다. 미친 것과 다르다. - P215

사실 아홉 살 때 읽은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는 꽤 재미있었다. "신은 죽었다"라는 말이 놀라웠고, 동물들과 주고받는 대화도 마음을 끌어당겼다. 문장들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몰라도 그 책에 담긴 말소리가, 예를 들어 "나는 사람들을 사랑한다"라는 말의 울림이 좋았다. "나는 사랑한다" 니체는 이말을 자주 한다. 우리집에서느 절대로 사용되지 않는 그 말이 마치 달콤한 꿀처럼 내 뇌 속을 흐른다. - P237

나는 저녁에 <레 미제라블>을 다시 읽으면서 아주 큰 힘을 얻는다. 뇌 속에 거의 물리적인 쾌락이 느껴진다. 마치 머릿속에서 무언가 열리는 것 같다. 그 책은 다른 사람들이 살고 있고 다른 이야기들이 펼쳐지는 다른 세계로 나를 데려다준다. 모두 지어낸 이야기라는 건 알지만, 그래도 나는 그 내용이 내 진짜 삶과 아주 가깝다고 믿는다. - P261

이 방법은 나처럼 타인에 의한 정서적 ‘지배‘라는 끔찍한 함정에 빠졌던 사람들을 도울 때 큰 역할을 했다.그런식의 지배에는 우선 포식자가 있다. 포식자는 오로지 자신의 정신세계, 믿음, 욕구, 욕망만이 중요하다.[...] 포식자가 먹잇감을 만나면 우선 지배를 위한 함정을 만든다. 무엇보다 상대에게 자신과의 관계가 절대적 사랑이라고 믿게 만든다. 그런 뒤 상대를 자신을 통하지 않고는 아무런 가치를 가질 수 없는 보잘것없는 존재로 다루면서 서서히 소유하는 것이다. 피해자가 스스로를 포식자가 말하는 존재로 인지하게 되는 순간 함정을 벗어나는 것은 더이상 불가능하다. 그때부터는 희생자의 파괴가 순식간에 진행된다. 포식자는 육체적인 면과 지적인 면에서, 인간관계에 있어서, 그리고 사회적인 면에서, 그야말로 모든 측면에서 철저하게 희생자를 파괴한다. - P320

유사종교야말로 정서적 지배의 완벽한 예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그런 관계가 언제나 영적 지도자 한 명이 제자들을 이끄는 사교邪敎 집단의 모델로 이루어지지는 않는다. 부부관계에서 한 명이 다른 한 명을 삼켜버리는 ‘2인 사교‘도 있고, 아버지나 어머니, 혹은 할아버지나 할머니가 영적 지도자의 역할을 하는 ‘가족 사교‘도 있다. - P32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