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일 새벽에 공개된 영국 National Theatre 의 제인 에어 공연 영상 (2015). 한국에서도 개봉 되었지만 못 봤기에 손 꼽아 기다리고 있었다.
단순한 무대 장치는 놀이터 정글짐을 닮았는데 이 무대로 제인 에어의 삼촌 네, 로우드 학교, 로체스터 저택, 샌존네 집 등을 모두 담아냈다. 열 명이 채 안되는 배우들이 무대 위에서 음악도 연주하면서 여러 배역을 소화해 낸다. 턱수염 풍성한 배우가 제인 에어 아빠 였다가, 로우드 여학생 이었다가, 역마차 승객이었다가, 로체스터 나으리로 나와서 (조금 웃었다) HD 클로즈 업 영상의 폐해를 깨달았다. 세 시간 공연 시간은 길게 느껴지지 않았다. 연극의 첫 대사와 마지막 대사가 의미 심장하다. It's a GIRL!


왼쪽 두번째 사진 속 누워 있는 배우는 개 Pilot를 연기 중이다. 혼신의 힘을 다해 짖으며 뛰어 다니는데 그는 로우드 학교 교장 역할도 했다. 바뀌는 역할 마다 전혀 다른 발성과 몸짓으로 인물을, 동물을 전달한다.
책을 3년 전에 읽었고 연극을 봤으니 영화를 빼놓지 말자. 주인공의 젊음은 더 강조되는 만큼 로체스터의 (적어도) 마흔 넘은 얼굴과 능글맞은 접근이 (여기서도 대사는 은근 시적인, 혹은 연극적인 느낌) 싫었다. 마흔 넘은 남자가 열 다섯 이상 나이 차이 나는 어린 여자에게 바라는 건 "다시 인생을 새롭게 시작"하는 것이다. 자신이 젊을 적 '실수'한 것은 (잘못이 아니래, 실수래) 아버지 탓이었고 이제 자신이 선택하고 새롭게 순수하게 시작하고 싶다고. 배우 소ㅈ섭 말고 로체스터 이야기. 부인을 가둬두고도 로맨티스트를 자처하는 놈 역할은 배우 패스밴더, 전 여친을 폭행한 남자가 맡았고. (한숨) 제인 에어 역의 미야 와시코브스카가 낯 익어서 검색하니 보바리 부인 영화도 찍었구나. 어쩐지 19세기 유럽 여인의 인상일까.


같은 배우 때문에 영화를 혼동했던 적이 예전에도 있다. 오프라 윈프리와 대니 글러버 출연의 두 영화가 그렇다. 둘 다 흑인 여성의 고난사를 다루는 데 인종차별 더하기 흑인 '가족' 남자의 폭력이다. 첩첩산중.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