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비한점에 대한 사유
만약 네가 변한다면 난 5년이상도 기다릴 수 있어
2008_9 내맘대로 독서 편린 결산 (1) (ing)
>> 접힌 부분 펼치기 >>
[칼 폴라니로 가는 여러 산책길에 대한 소묘]란 주제로 텍스트 [초국적자본주의인가 지역적계획경제인가]에 다른 색깔들을 배경삼아 자료를 만들어본다. 가장 잘배우고 알게하는 방법은 가르치는 것이란 말을 실감한다. 시간의 흐름만큼이나 책들이 섞여 어디에 기록했는지도 깜박한다. 어쩌면 하고싶은 이야기는 산책길에 나서기전 준비사항에 있다. 경제인이란, 이분법에 의한 근대인, 직선적인 시간관이나 발전관에 녹아있는 우리는 다른 것을 상상하기 힘들다. 블로그의 속내나 흔적에 관심있으신 분들은 눈치챌지 모르겠지만, 그 관점에서 벗어나는 흔적이 마음에 배이지 않으면 폴라니에 대한 접근은 끊임없는 되돌이표가 되거나, 또 다시 지금 자신에게 묻어있는 관점으로 색칠하지 않을까 싶다.
삶의 철학이 자유를 몸통으로, 사회를 오른쪽 날개, 죽음(체념,슬픔,아픔,고통)을 왼쪽날개를 둔 이가 유토피아를 철저히 부정하는 삶을 살아냈다는 마음들을 읽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인류학적지식, 경제학적 지식, 생물학....앎이 필요하겠지만, 앎에 대한 굶주림도 중요하겠지만 몸으로 읽는 연습도 해보면 어떨까 싶다. 머리로만 가져가지 말고 가슴과 마음, 손과 발로, 홀로있는 나가 아니라 나-너로 가져가는 방법으로도 읽으면 어떨까? 그것이 그래도 국가와 사회를 분리하고 사회라는 실체를 처음으로 드러냈다는 그의 말에 다가서는 것은 아닐까? 거칠고, 추상적이고 어눌한 표현에 뜬구름같았을 여러분들에게 송구스럽고 미안한 마음이지만, 사실은 산책을 하기전 준비사항에 대해 치열과 설전과 논의, 고민들이 중첩되었으면 하는 바램이 크다.
그렇지 않으면, 그 역시 폴라니의 삶과 철학이란 나무에서 그저 유실수를 하나 따먹거나 폴라니를 묻어있지(embeded) 못하게 하고, 발라내는 일만 하는 것일 것이다. 모든 앎이 그러하겠지만 자신과 나-너로 녹이고 배이지 못하게 하는 일은 위험하다.
>> 접힌 부분 펼치기 >>
일자리를 애걸하는 사람이 정말로 요구하는 것은 일자리 자체가 아니라 임금이다.
개인의 자유에 대해서 보자면, 이제 우리는 그것의 유지와 확장을 목표로 삼는 새로운 장치들을 계획적으로 창출해야만 하며, 개인의 자유는 우리가 어느 만큼 그러한 노력을 기울이는가에 비례하여 존속하게 될 것이다. 질서가 확립된 사회에서 개개인이 체제에 대한 순응을 거부할 수 있는 권리 또한 제도적으로 보호되어야만 한다. 기성권력이란 사회적 삶의 몇몇 영역에서 행정 과제를 위탁받은 데에 불과하므로, 모든 개개인은 그 권력을 두려워하는 일 없이 스스로의 양심과 양식에 따라 자유롭게 행동할 수 있어야만 한다. 학문과 예술은 어떠한 권위에도 위축되는 일 없이 오로지 문자공화국의 통치만 받아야 한다. 절대적인 강제 따위는 결단코 사라져야만 한다. 모든 '반대자'들은 숨어들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어야 하며, 계속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선택할 수 있는 '차선'의 선택지가 주어져야만 한다. 그리하여 순응을 거부할 권리는 자유로운 사회의 본질적 특징으로 자리를 굳히게 될 것이다. 596
자유주의 경제는 자유라는 우리의 이상을 그릇된 방향으로 오도했다. 자유주의 경제는 본질적으로 유토피아적일 수밖에 없는 것을 성취하는 과제에 가능한 한 근접하고자 애쓴다. 하지만 권력과 강제가 없는 사회란 가능하지 않으며, 강압이 기능하지 않는 세상도 있을 수 없다. 오로지 인간의 의지와 소망만으로만 모양이 형성되는 사회란 망상의 가정일 뿐이다. 그런데 이러한 망상은 경제를 각종 계약 관계와 동일시하며 또 그러한 계약 관계를 자유와 동일시하는, 사회에 대한 시장 관점에서 나온 결과물이다.....시장은 인간의 삶을 두 영역으로 파편화시켜서 사람들의 시야를 크게 좁혀버리니, 그것은 생산자 영역과 소비자 영역이다. 이 틀에서는 전체로서의 한 사회가 시야에서 사라져버리게 된다. 국가권력이란 존재 이유가 없다...개인은 자신의 자유 이름 아래에 그러한 문제들이 현실에 존재한다는 것마저 부인하기에 이른다. 600-1
어떤 집단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모든 성원들이 일정한 정도로 집단의 결정에 순응해야 하며, 그것이 바로 권력의 기능이다. 그리고 권력의 궁극적인 원천은 개개의 성원들이 마음에 품고 있는 의견이다. 그런데 어떤 사람이든 이런저런 의견을 마음에 품게 되는 것을 피할 길이 있단 말인가?생산된 재화들이 유용성을 갖게 되는 것은 그 사회의 경제적 가치 평가를 통해서 보장된다. 그러한 재화들의 생산에 앞서서 이미 그 사회의 경제적 가치 평가가 먼저 존재해야만 하는 것이며, 이것이야말로 그 사회의 현존 노동분업 상태를 인증하는 봉인과 같은 것이다. 그리고 그것의 원천은 인간들이 가지는 욕구와 희소성이다. 그런데 누가 자신은 어떤 사물을 다른 것보다 더 욕망하는 일이 없을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단 말인가? 일단 마음속에 의견이나 욕망을 가지게 되면, 우리 모두가 권력의 창출과정 그리고 경제적 가치 평가의 구성과정에 참여하는 셈이다. 이를 빠져나갈 수 있는 자유란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일이다. 601
|
<< 펼친 부분 접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