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크 - 21세기를 지배하는 네트워크 과학
알버트 라즐로 바라바시 지음, 강병남 외 옮김 / 동아시아 / 200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방금 책읽기를 마쳤다. 언제나 느끼는 것이지만, 인문학이나 과학쪽 책을

읽는 건 나에게 는 아주 많이 벅차다는 느낌을 준다. 이 네트워크 과학의

이론의 입문서는 정말 친절하게도 어려운 부분에서는 친절히 사례를 들어

가면서 설명해준다. 하지만 이해력 미달에, 산만하기까지 한지라, 상당부분

알아먹지 못했다. 그래도 여지껏 과학서적을 완독하지 못했던 실패를 경

험한 내가 생각하기에는 그래도 완독에 성공했다는 점에 의의를 두고 싶달

까. 완독한 소감이라면, 그만큼 쉽다는 느낌이다. 이 책에서 소개 되어지는 

척도 없는 네트워크는 매우 흥미롭게도 두 개의 법칙을 따른다고 하는데,

그것은 성장과 선호적 연결이다. 이로 인해 계층 적 구조의 허브를 가지

게 되고 그렇게 되므로써, 무작위 네트워크와는 달리 어느 하나의 노드만

으로 그 네트워크를 정의할 수 없게 된다. 이런 도 없는 네트워크는 많은

 링크를 가지는 소수의 허브와 소수의 링크를 가지고 있는 다수의 노드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 때문에, 어떤 내부적(?) 장애에 도 쉽사리 무너지지

않고 장애가 있더라도 자체적으로 회복되기도 하지만, 오히려 그 소수의 허

브를 공격하게 되면 무너지게 된다는 아킬레스건을 지고 있다. 이런 척도

없는 네트워크는 웹, 경제, 세포들간 등에서도 그 모습을 드러내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이 네트워크 이론에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고 있다. 그만큼 이

척도 없는 네트워크로 설명되어 지고 이해 될 수 있는 부분이 많아서 일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무작위 네트워크에서부터 척도 없는 네트워크의 탄생과

정과 그 개념들을 친절히 설명해주고, 그 뒤에는 다양한 사례에 척도 없는 네트

워크를 응용하여서 들려주는데, 이 정도라면 척도 없는 네트워크 이론에 대한

기본적 이해는 어느 정도 습득 할 수 있지 않을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1때 산 것 같인데, 그때는 봐도 뭔말인지 모르겠더니 지금 보니 술술 잘 읽힌다. 재미있기도 재미있고 .  읽던 마약 - 사용설명서 도 지금 100여쪽 읽고 있는 중인데, 이건 그냥 지하철에 오가면서 보는게 딱일것 같은 책이다. 괜찮긴 한데, 약물용어가 너무 나와서 기억하기가 너무 힘들다..-_-;;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장미의 이름 창작 노트 살때 같이 샀던가? 기억은 안나지만 여하튼 얼마전에 산거란건 기억난다.(-_-;) 

재미있고, 괜찮다는 소리에 우선 마약을 사 보았다. 섹스,술,죽음 편들도 관심은 가는데, 우선적으로 이

편만... 괜찮으면 다른 것도 다 살 예정.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태우스 2006-06-22 13: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이거 읽었어요.... 노코멘트하겠습니다

가넷 2006-06-23 19: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괜찮긴 한데, 그 용어들이 기억하기가 쉽지는 않네요..ㅡㅡ; 자꾸 헷갈리고 있어요..;ㅁ;
 
장미의 이름 창작노트 - 양장본
움베르토 에코 지음, 이윤기 옮김 / 열린책들 / 2002년 3월
평점 :
절판


 

 

 왜 그런지 모르게 요새 들어서 주변에서 <장미의 이름>이나, 움베르토 에코를 언급하는걸 많이 듣게 된다. 그래서 <장미의 이름>을 다시 펴들고 싶기도 했는데, 다시 볼려니 <장미의 이름>관련서적(?), 참고가 될 만한 책들을 한번 보고 다시 보는 것도 괜찮겠다 싶어서 이 장미의 이름 창작노트를 구입했다. 140페이지 정도의 책이고, 가격은 6500원이다(보시다시피, 물론 알라딘으로는 더 싸다.)그런데 돌아다니다 이 책에 대한 리뷰를 보다 보니 너무 비싸다는 소리가 나온다. (그럼 얼마 전에 나온 쥐스킨트의 사랑을 생각하다는…….) 싸다고 느꼈는데, 막상 그런 소리를 듣고 나니 비싸단 느낌이 들기도 한다만.


 창작노트라고 해서 물론, <장미의 이름>의 명쾌한 해설을 달아 놓은 건 아니다.  이 책에서  “화자는 자기 작품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작가는 작품이 끝나면 죽어야 한다. 죽음으로써 해석을 가로막지 말아야 하는 것이다." 라고 하듯이 말이다. 물론 나 역시도 작품 외에서 그 작품에 대한 강변을 한다는 건 옳지 못하고 본다. 다만, 이 작품이 왜 쓰였고, 어떻게 써졌는지, 그리고 집필과정과 관련된(?) 이야기를 늘어놓고 있다. 그리고 그걸 보니 이해는 언뜻 되지 않는 부분이 많았지만, 흥미롭고 공감이 가는 부분들도 있었다. 특히 제목을 작품에 부여 하는데 에서 많은 일(?)들이 있다는 점이 흥미롭게 보였다. 작품을 푸는 열쇠가 될 수도 있고, 아니면 의도하건, 의도하지 않았건 간에 더욱더 작품을 모호하게 만들기도 하고 한 작중인물에만 시선이 쏠리게 하는 현상도 일어 날 수 있다는 점이 말이다. 이런 점에서 가장 어려운 일중 하나가 제목을 짓는 일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해본다. 그리고 산을 오르는 것처럼 호흡법을 배우고, 행보를 익혀야 한다는 것에서는 공감을 하면서도 나 자신도 그런 면이 없지 않아 민망했다고나 할까. 짤막짤막하게 이어져 가는데, 굳이 장미의 이름의 창작에 대하여 한정되기 보다는 하나의 소설론(?)쯤으로 보인다. 좀 더 자세히(?) 듣고 싶은데 거의 다 절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장미의 이름 창작노트.. 알라딘에서 사려고 보니 품절이고, 다른 사이트도 보니까 품절이 뜨는것 같길래 교보문고에 갔더니 딱 있더라. 그래서 샀는데, 장미의 이름을 해설(?)해놓은건 당연히 아니고, 그냥 왜 쓰게 되었고, 기술 과정에 대한 이야기들이 있다. 딱 명쾌하게(?)풀리게는 하지 않지만,  장미의 이름을 다시 읽게 되면 도움이 될 듯 하다.  그리고 120쪽 정도 밖에 안되긴 해도, 그리 만만한 내용은 아니다.(당연하게도;ㅁ; 그럴리가 없다ㅎㅎ;)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늘빵 2006-06-21 11: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험. 이거 오프라인으로 구입한건가요? 나도 보고픈데. 저 지금 <장미의 이름> 보고 있어요.

이매지 2006-06-21 13: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맞아요. 얇지만 만만하지 않은 책.
저도 꽤 예전에 도서관에서 빌려봤던 기억이^^

가넷 2006-06-21 18: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프락시스님/네, 교보에 갔더니 있더군요. 근데 어제 집에 오는 길에 잠시 교보에 들렸는데 또 하나 들여놓았더라구요? 교보에서 여분이 있는건가 싶던...-_-; 저도 장미의 이름. 다시 읽어볼려구요..^_^

이매지님/저는 샀어요~~!^_^ 지금 탐정소설의 형이상학 부분을 읽고 있는데 이부분이 매우 흥미롭네요..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