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크 - 21세기를 지배하는 네트워크 과학
알버트 라즐로 바라바시 지음, 강병남 외 옮김 / 동아시아 / 200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방금 책읽기를 마쳤다. 언제나 느끼는 것이지만, 인문학이나 과학쪽 책을

읽는 건 나에게 는 아주 많이 벅차다는 느낌을 준다. 이 네트워크 과학의

이론의 입문서는 정말 친절하게도 어려운 부분에서는 친절히 사례를 들어

가면서 설명해준다. 하지만 이해력 미달에, 산만하기까지 한지라, 상당부분

알아먹지 못했다. 그래도 여지껏 과학서적을 완독하지 못했던 실패를 경

험한 내가 생각하기에는 그래도 완독에 성공했다는 점에 의의를 두고 싶달

까. 완독한 소감이라면, 그만큼 쉽다는 느낌이다. 이 책에서 소개 되어지는 

척도 없는 네트워크는 매우 흥미롭게도 두 개의 법칙을 따른다고 하는데,

그것은 성장과 선호적 연결이다. 이로 인해 계층 적 구조의 허브를 가지

게 되고 그렇게 되므로써, 무작위 네트워크와는 달리 어느 하나의 노드만

으로 그 네트워크를 정의할 수 없게 된다. 이런 도 없는 네트워크는 많은

 링크를 가지는 소수의 허브와 소수의 링크를 가지고 있는 다수의 노드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 때문에, 어떤 내부적(?) 장애에 도 쉽사리 무너지지

않고 장애가 있더라도 자체적으로 회복되기도 하지만, 오히려 그 소수의 허

브를 공격하게 되면 무너지게 된다는 아킬레스건을 지고 있다. 이런 척도

없는 네트워크는 웹, 경제, 세포들간 등에서도 그 모습을 드러내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이 네트워크 이론에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고 있다. 그만큼 이

척도 없는 네트워크로 설명되어 지고 이해 될 수 있는 부분이 많아서 일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무작위 네트워크에서부터 척도 없는 네트워크의 탄생과

정과 그 개념들을 친절히 설명해주고, 그 뒤에는 다양한 사례에 척도 없는 네트

워크를 응용하여서 들려주는데, 이 정도라면 척도 없는 네트워크 이론에 대한

기본적 이해는 어느 정도 습득 할 수 있지 않을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