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좀 까칠한 건지 모르겠지만 나는 이걸 보는 순간 괜히 알라디너로서의 자존심이 확 상했다
포엠데이터가 제공하는 저 '자아검색'이라는 서비스가 내게 어울리는 책을 찾아줄 수 있을 거라고는 나도 생각하지 않고, 알라딘도 생각하지 않을 거다. 게다가 알라딘에는 내 취향의 책을 비교적 잘 찾아주는 마이알라딘 서비스도 있으니 굳이 저걸 통해 취향을 플러스 알파로 알아보는 서비스를 제공할 객관적인 이유는 없을 것이다
아마도 포엠데이터 측에서 휴대폰 번호 고객 DB를 모으기 위해 알라딘에게 일정 비용을 지급하고 함께 진행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이 이벤트는 (아니라면 죄송하다만, 방법이 너무 그런 것들과 흡사하다, 혹 아니라면 변명이라도 듣고픈 심정이고, 내가 오해를 한 나쁜 사람이 되더라도, 그런 게 아니면 좋겠다-) 알라딘에서 진행하기엔 너무 격이 떨어져보인다는 느낌이 든다
(추정컨대 CPA방식이 아닐까 싶다 - Cost Per Action, 실제 행동이 유발된 건에 대해 과금되는 방식, 알라딘 내에서 배너의 영역과 컨텐츠의 영역이 애매한 곳에 들어가 있는 곳에, 마치 컨텐츠인 양 눈속임하는 배너 형태로 들어가 있는, 컨텐츠형 배너의 일종이라 볼 수 있다)
나는 고객과 고객에게 줄 수 있는 브랜드가치를 생각하는 기업이라면 사이트 내에서 진행하는 이벤트 하나 하나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고 믿는다. 출판사와의 관계에 의해 어쩔 수 없이 진행하는 책에 관한 이벤트들이라면 혹, 그럴 수 있겠구나, 라고 생각할지 모르겠으나, 이건 정말 너무 생뚱맞은 이벤트- 이런 것쯤, 허허, 하며 웃어넘기기엔 비록 짧은 기간 동안의 알라딘생활이었지만 내가 알라딘을 좀 많이 좋아한다.
이런 실망은, 실은 삼성카드 때부터 했었다. 사실, 삼성카드는 처음에 별 생각 없이 발급 받았다, 지갑 분실 때문에, 교통카드로 쓰던 삼성카드를 새로 받아야 해서 마침 알라딘 카드로 바꿔서 받았는데 이런 시기에 너무 대놓고 삼성카드 광고하는 모습이 좀 내가 생각하는 '알라딘스럽다'는 이미지와 어울리지 않아 몇번 쓴 이후로 지금은 안쓸 작정이다 (심지어 교통카드도 지금은 외환카드를 쓴다, 내가 너무 나이브한 건지도 모르겠지만 -_- 실은 또, 외환카드는 털어서 먼지 안나겠냐 싶지만 -_-)
내가 알라딘스럽다,는 것에 대해 너무 과대평가하고 있는 건지는 모르겠지만, 그래서 내가 알라딘을 좋아하는 마음이 어쩌면 알라딘의 기업가치나 비전에 대해 너무 맹신하는 데서 오는 건가, 하는 생각도 들지만 그래도 난 여전히 알라딘 스스로가 가치를 추구하는 기업이길 원한다고 믿는다. 그리고 나 역시, 내가 책을 사는 알라딘이라는 공간이 나로 하여금 내가 이 곳에서 책을 산다는 것에 대한 자부심을 가져다 줄 수 있는 곳이었으면 좋겠다. 하여, 나는 알라딘이 사소한 데 연연하기보다는 좀 더 멀리 보고, 크게 나아갈 줄 아는, 자존심 강한 기업이었으면 좋겠다
알라딘의 자존심을 지키는 것이 알라딘에서 책을 사는 사람들, 그리고 이 공간을 좋아해서 밤낮으로 여기 매달려 함께 대화하며 즐거워하는 알라디너들의 자존심을 지키는 것이라 생각한다. 난 앞으로도 계속 여기를 좋아할 작정이고, 계속 이용할 계획이니까, 진지하게 들어줬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