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술꾼의 마음을 움직이는 기사네요..

소주를 별로 좋아하진 않지만, 이렇게 모아놓은걸 보니 술 한잔 생각이 나는군요.. 쩝.. 월요일 아침인데...

80년대 진로소주는 요즘도 외국에 수출되는 병 모양이랑 비슷한거 같아요..

‘1960~2002년’ 한눈에 보는 소주 변천사

퇴근 길 마음 맞는 이와 한 잔 걸치는 서민들의 둘도 없는 ‘친구’ 소주
“소주 변해온 모양 보고 있으면 서민의 삶·애환 새삼 느껴진다”

미디어다음 / 김진양 통신원

퇴근 길. 아무리 피곤해도 그냥 집에 들어가기 싫은 날이 있다. 이런 날에는 마음 맞는 친구나 동료들과 함께 포장마차에 들러 소주 한 잔이라도 걸쳐야만 한다. 1960년대의 ‘잔술’(한 잔씩 파는 소주)은 이렇듯 문득 술 생각이 간절해진 서민들의 둘도 없는 ‘친구’였다.

최근 경기가 나빠지면서 잔술이 부활했다. 소주 한 잔에 400원. 갑자기 술 한 잔이 그리워지는 사람이나 이미 거하게 마신 뒤 ‘해장’ 겸 딱 한 잔만 더 마시려는 사람, 그리고 술을 잘 못하는 여성들에게 인기가 좋다. 그러나 누구보다 잔술을 반가워 할 사람은 예전 선술집을 즐겨 찾던 나이 지긋한 어른신들일 것이다.

자동넘김 설정정지 빠르게 보통 느리게
신풍소주와 007소주
60년대에 경북 청도에서 만들어진 신풍소주(좌)와 70년대 서울 마포구에서 생산된 007소주(우).
대동강소주와 백화소주
원앙소주와 왕로소주
신풍소주와 007소주

현재 우리나라에는 약 10개의 소주 회사가 있다. 이 회사들은 서울을 비롯해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제주도 등에 각각 근거지를 두고 저마다 특색 있는 소주를 생산하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모습으로 발전한 소주가 본격적으로 생산되기 시작한 때는 1920년대. 소주는 그동안 수없이 많은 변화를 겪어오며, 각 지방에서 서민들과 애환을 함께했다.

‘소주 수집가’ 도창종(영남일보 편집위원) 씨는 지난 20년간 소주를 수집해 왔다. 14일 그를 통해 소주의 역사를 비롯해 60~70년대 서민의 설움을 달래주던 소주에는 어떤 것들이 있었는지, 또 그런 소주들이 지금껏 어떻게 변해왔는지를 알아보았다.

소주는 고려시대 말(1280년) 몽고와 만주를 거쳐 우리나라에 들어왔다고 한다. 당시 소주는 고급 술이었다. 이 때문에 평범한 사람들에게는 소주를 마실 수 있는 기회가 거의 없었다.

이 같은 ‘고급 술’ 소주가 서민들의 술로 탈바꿈한 것은 20세기 들어서다. 1920년에 들어서야 비로소 일반 가정에서도 소주를 만들어 마실 수 있게 됐다. 지금의 진로소주는 1924년에 처음 생산됐다.

1920년대 우리나라에는 3175개에 이르는 소주 제조업체가 있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였던 당시 시대상황 탓에 이들 업체의 76% 정도는 사실상 일본인이 경영하는 일본 회사였다.

해방 뒤 1965년. 정부가 양곡관리법을 시행한 이때부터 곡물로 소주를 만드는 게 어려워졌다. 정부가 양곡 수급을 조절해 곡물 가격을 통제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증류식 소주(곡물을 발효시켜 만드는 소주)를 만들던 업체 300여 곳이 문을 닫았다.

그러고 나서 희석식 소주가 처음 등장했다. 희석식 소주는 고구마, 타피오카 등을 발효시킨 뒤 연속식 증류기에서 증류시켜 얻은 알코올에 물을 타 만든 소주를 말한다. 현재 생산되는 소주는 대부분 이 같은 희석식 소주다.

변혁기를 겪으며 1972년에 68개로 업체 수가 줄어들었던 소주업계는 1998년에 이르러서야 활기를 되찾았다. 이때부터 소주 시장이 전면 개방되며 경쟁이 치열해졌다. 그리고 전통주에 관심이 쏠리며 안동소주 등 사라졌던 증류식 소주도 다시 등장했다.

도 씨는 “요즘 소주는 대개 돌려서 따는 뚜껑이 달린 녹색 병에 들어있지만, 20년 전 소주는 그렇지 않았다”며 “소주가 변해온 모양을 들여다보고 있으면, 서민들의 삶과 애환이 어떻게 변해왔는지 새삼 느껴지는 것 같다”고 말했다.

[ 통신원 블로그: http://blog.daum.net/yypower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신이라 불리운 사나이...

56세라는 너무 이른 나이에 저세상으로 가신 박봉성 화백의 명복을 빕니다..

정말 중고등학교 다닐 때 이분 만화 무진장 많이 봤었는데...

새벽을 여는 사람들도 재미있었고, 첩보물도 재미있었고...

흠.. 이제 더이상 그 분의 작품을 접할 수 없다니 아쉽네요..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하늘나라 만화가게로 떠난 '신의 아들'


[조선일보 어수웅 기자]

‘신의 아들’의 만화가 박봉성(본명 박종구·朴鍾球·56) 화백이 15일 오후 4시30분 세상을 떠났다.

장남인 봉성기획 대표 성현(30)씨는 “아버님이 친구분, 문하생과 함께 경기도 송추에서 등산 도중 갑자기 의식을 잃고 쓰러진 뒤 119구조대가 도착하기도 전에 숨지셨다”면서 “2~3년 전에 가벼운 뇌출혈 증세가 있었지만 그 후에는 담배도 끊고 아주 건강하셨는데…”라며 말을 잇지 못했다.

‘박봉성’이라는 이름을 대중에게 널리 알린 것은 1983년부터 1987년까지 총 53권으로 완결된 대표작 ‘신의 아들’. 스포츠 만화가 주류이던 당시 만화계에서 박봉성은 초인적 영웅 ‘최강타’<그림>를 내세워 후발 산업사회의 성공 욕망을 담아낸 경제·경영 만화를 그렸고, 이는 80년대 소시민의 현실과 맞아떨어지면서 큰 인기를 끌었다.

경남 진해 출신이지만 한국전쟁 시절부터 거의 평생을 부산에서 살아온 그는 1964년 만화가 오명천의 문하로 들어가 습작을 시작했다.

스승으로부터 “고향에 내려가 크로키 1만5000장을 그려 오라”는 주문을 석 달 반 만에 완수한 뒤 ‘떠벌이 복서’(1974)로 데뷔, ‘20세 황제’ ‘신의 아들’ ‘새벽을 여는 사람들’ ‘나는 왕이다’ ‘신이라 불리는 사나이’ 등 무려 500여 종의 시리즈를 출간하면서 히트 작가로 이름을 굳혔다.

특히 ‘신이라 불리는 사나이’는 현재까지 150여권이 출간돼 한국 만화 사상 가장 많은 발행권수를 기록하고 있다.



그는 1980년대 이후 ‘대본소(만화 가게) 만화의 1인자’로 꼽힌다. 한때는 무려 150여명의 문하생과 작가군(群)을 두고 만화책 생산 시스템을 구축했다.

1980년대 후반부터 90년대 초반까지 그는 1년 평균 130권의 단행본을 출간하는 엄청난 생산성을 보여주면서 산업으로서의 만화에 관한 가능성을 제시했다. 발인은 17일 오후 3시. 신촌 세브란스 병원. (02)392-3299.

(어수웅기자 [블로그 바로가기 jan10.chosun.com])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물만두 2005-10-17 09: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아르미안 2005-10-17 10: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에고.. 쩝.. 이렇게 또 한세대가 흘러가는거겠쬬.. 만두님.. ^^*

물만두 2005-10-17 12: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슬퍼요...
 

이런 잡학류의 책을 좋아했던... 지금도 물론 좋아하긴 하지만. .예전 만큼은 아니죠..

뭐가 있을까

 

 

 

 

폴임의 책이 가장 대표적이겠군요.

 

 

 

 

리더스 다이제스트에서 나온 세계상식백과도 무척 재미있게 읽었는데.. 컬러 인쇄라 사진도 많구요.. 흠..

지금은 안파나 보네요.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종이달 2021-11-22 18: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맙습니다
 

모든 책에는 초판이라는 것이 있다.. 오래된 고서적을 모으는 사람들일 수록 더욱 초판에 열광하구.

오래 전에는 아무래도 필사본이 주였으니.. 초판이란 곧 원판이라는 의미와도 일맥상통했을 것이다.

현대에 와서는 기술의 발전으로.. 초판이라고 해봐야... 큰 의미가 없을 수도 있을 것이다.

내가 좋아하는 파트리샤 콘웰의 경우 초판만 백만부 이상을 찍는다고 하니.. 초판의 의미란 희미해질 수밖에 없을 것이고..

하지만, 현재도 초판 2000부 정도를 찍는 일반 서적들에게 있어 초판은 어느 정도 가치를 가지지 않을까.

오랫만에 책을 다시 집어들며, 초판이라고 찍힌걸 보면 기분이 좋아지는걸 보면... 나도 꽤 한심하긴 하다.

초판이라고 해서 다른 책들보다 더 값이 나가거나, 더 큰 의미가 있지도 않건만... 그래도 초판 1쇄에 대한 호감이 줄어들지는 않는다.

어쩌면 초판에 있는 오자나 탈자를 찾아내는 재미(?) 때문 아닐까.

최근에는 많이 없어지긴 했지만, 한 때는 책을 읽다가 오자나 탈자, 띄어쓰기 등이 잘못된 부분을 찾아내는 것도 큰 즐거움이었는데...

어쨌거나, 초판은 어디에 숨어있을지 모르는 역자나 편집자의 실수(?)를 찾아내는 재미가 있는 책이라는 생각으로 가능하면 요즘도 초판을 구입하려고 노력한다.. 특히 초판 1쇄....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구름의무게 2005-10-27 11: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맞아요. 초판 1쇄에는 정말 오타랑 띄어쓰기 잘못된 것들등등 실수가 참 많지요. 요새도 오히려 인기가 많은 책들은 급하게 찍어내느라 그러는지 오타가 꽤 많은것 같더라구요. ^^

아르미안 2005-10-27 21: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 오자나 탈자를 찾아내는 재미도 나름대로 솔솔 하지요... 하하하...
 
 전출처 : 물만두 > 패트리샤 콘웰의 스카페타 시리즈...

 * Postmortem 검시관,  법의관


 * Body of Evidence 잔혹한 사랑,  소설가의 죽음


 * All That Remains 남아있는 모든 것,  하트잭


 * Cruel and Unusual 흔적, 사형수의 지문


 * The Body Farm 배반의 얼굴,  시체 농장


 * From Potter's Field   카인의 아들


 * Cause of Death  악마의 경전


 * Unnatural Exposure


 * Point of Origin


 * Black Notice


 * The Last Precinct


 * Blow Fly


  * Trace (2004)

 * Predator (200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