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우주에 대한 관심에서 꽃에 대한 관심으로 급!변하였다. 이젠 우주가 제일 싫다나 뭐래나? 아들아, 그 많은 우주 책들은 어떻게 하니? 꽃 좋아하기 하루 전만 하더라도 우주 옷만 입는다던 그 순정은 내팽개친거니? 꽂 좋아하기 며칠 전에 사둔 우주 책은 아직 한 번 밖에 보지 않았는데 제일 싫어하는 책이 된 거니? 너 참 냉정하도다!! 오히려 우주 좋아할 때 급 싫어하던 국기가 낫다나? 애들은 다 이런거니???^^

 

아무튼 이런 저런 이유로 이젠 함께 꽃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하는 고로, 집을 찾아보니 꽃에 대한 책은 과학시리즈 사이에 낀 한 두 권과 <꽃이 핀다>, <꽃마중>이 다이다. 그래도 이 두 책이 있어서 얼마나 다행인지 모른다. 자칫 지식으로 흐를 뻔한 아이의 감성을 지금도 촉촉히 적셔 준다. 그런데 아들 왈, "집에 꽃 책이 별로 없어서 이제부터 책 별로 안 읽어야겠다!" 이거, 어떻게 해석해야하지??

 

 그래서 지난 주에 함께 동네 서점에 가서 책을 샀다. 내가 보기엔 세밀화가 예쁘고, 화가가 직접 꽃밭을 가꾸며 관찰한 것이라 선택했는데 아이는 식물백과만 본다. 왜 그런걸까? 어릴 때 사진으로 된 책보다는 세밀화로 그린 책을 사 주었었는데 그 땐 그것을 좋아했는데 이젠 아무래도 사진을 더 좋아할 나이인 모양이다. 세밀화를 먼저 보여주길 잘 했다는 생각이 든다. 아이의 감성은 그때 길러진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 본다.

 

  그래도 이 책은 엄마인 내가 보기에도 참 좋다. 아이가 좀더 어렸을 때 사주었더라면 어땠을까 싶을 정도로. 사진에 길들여 진 탓인지, 사진의 정확함을 좋아할 나이라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혹시 6살 이전에 식물에 관심이 있다면 이 책을 사 주어도 좋을 것 같다.

 

아이가 백일 즈음에 보리 아기 그림책을 사준 적이 있다. 아이에게 좋은 요소는 두루 다 갖춘 책이다. 여백, 세밀화, 말놀이가 모두 들어가 있는 책이라 100일부터 두 돌때까지는 줄곧 잘 가지고 놀았다. 아마 글도 이 책을 통해 익힌 것 같다. 이 책은 매우 유명한 책이라 아이 키우는 집마다 하나씩은 꼭 있는 것 같다. 나도 출산 선물이나 추천해줄 때 꼭 이 책을 집어넣는다.

엄마인 내가 그림을 좀 잘 그렸으면 얼마나 좋았을까 하는 생각을 했다.^^

 

 

아마 위의 책 때문이었던 것 같다. 보리에서 나온 이태수 화가의 세밀화에 대한 전적인 신뢰감을 느끼게 된 것은. 이 책은 초등학교 교과서에도 수록된 책이지만 교과서에서는 세밀화의 느낌이 잘 안 살아 있는 것 같은데 실제 그림책을 보니 참 좋았다. 그래서 역시 시리즈로 계절마다 한 권씩 구입했다. 시리즈라고 해도 한꺼번에 구입하는 것 보다는 필요할 때마다, 적시에 한 두 권씩 사 주는 것이 여러 모로 좋은 것 같다.  

 

 

이 책은 어른들을 위한 책이다. 이 책을 처음 읽고 얼마나 쓰다듬었는지 모른다. 이토록 아름다운 책이 또 나올 수 있을까, 지금 시대는 너무나 발달되어 이런 아날로그적인 감성을 쉽게 만나지 어려울 것 같다.

 

아이가 꽃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면서 이 책을 꺼내 잘 보이는 곳에 두었다. 표지만 봐도 마음이 좋다. 이런 식의 일기장을 나도 갖고 싶다.  어른들에게 권하고 싶은, 읽으라고가 아니라 사라고 갖고 있으라고 권하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