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멸 알베르토 모라비아 Alberto Moravia 시리즈 1
알베르토 모라비아 지음, 정란기 옮김 / 본북스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초반엔 <사랑과 전쟁> 이탈리아 판인 줄 알았다. 찌질하게 자꾸 아내에게 '날 사랑하냐?'고 묻고 '사랑한다.'고 하면 '거짓말'이라고 하고 '사랑하지 않는다.'라고 하면 '왜?'냐고 반복적으로 묻는 이 남자 리카르도는 내가 봐도 짜증이 치밀어 올랐다.  나중에 에밀리아가 작정한 듯이 “난 당신을 경멸해. 이게 당신을 향한 내 마음이야.”라고 말할 땐 아주 속이 다 시원했다. 


소설 [경멸]은 한 남자가 아내의 사랑이 식어가는 것을 느끼며 그 사실을 끊임없이 아내에게 확인하는 처절한 몸부림이다. 그 과정에서 남편에 대한 아내의 경멸, 그 경멸을 받는 자기 자신에 대한 경멸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며 독자로 하여금 사랑이란 무엇이고 경멸이란 무엇인가에 대하여 계속적으로 생각하게끔 했다. 읽으며 여자가 남자에게 사랑하는 마음이 떨어지는 가장 큰 이유가 '경멸'이 아닐까 생각하며 에밀리아에게 많이 공감하며 읽었다. 


에밀리아에게 공감하며 읽었다고 했지만 이 소설은 철저하게 리카르도의 입장만을 다룬다.  나는 리카르도의 머릿속에서 일어나는 혼란의 과정을 고스란히 겪었는데도 그 과정에서 그를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그에게 진절머리가 나며 에밀리아에게 공감이 된다는 점이 희한했다. 다만 리카르도의 머릿속에서 펼쳐지는 사랑과 경멸에 대한 섬세한 감정의 흐름에 깊이 빠져들 수 있어서 초반에 통속드라마와 같은 평가는 사라졌다. 그래도 이 남자가 초인지가 있어서 상대가 자기에게 멀어지고 경멸하게 된 이유를 끊임없이 생각한다는 점에 있어서는 꽤나 현대적인 인간이 아닌가 옹호하는 마음도 생겼다. 


사랑에 대한 환상의 집을 짓고 그 집 안에 한 여인을 가두려는 남자의 마음(물론 소설 밖에서는 반대의 경우일 수도 있지만 그 시대나 지금이나 대체로는 소설과 같지 않을까?)에 대한 작가의 비판적 시각은 아니었을까?  여자의 'NO'가 'YES'로 받아들여졌던 관계에서 말이다. 자신의 행동이 아내를 행복하게 해주기 위해서였다고 스스로에게조차 최면을 걸며 아내를 속박했던 그런 관계에서 말이다.  그런 면에서 리카르도의 머릿속에서 펼쳐지는 초인지활동을 칭찬하는 바이다. 아쉽게도 같이 본 영화에서는 리카르도의 그런 복잡한 심경을 충분히 전달받지 못했다. 누벨바그 영화란 그런 건가? 일단은 내 문제로 치자. 하지만 영화 OST 자켓 사진을 보면 소설에서 보인 섬세함은 사라지고 오디세우스적인 모습이 보이는데 영화가 딱 그랬다. 소설 표지가 저게 아니라서 참 다행이다. 


소설은 그 안에 오디세우스와 페넬로페의 이야기를 넣어 몰티니와 에밀리아의 관계에 접목했는데 개인적으로는 그 시도는 흥미로웠지만 그렇게 잘 버무려진 듯한 느낌은 받지 못했다. 그저 레인골드가 말한 페넬로페가 지겨워서 오디세우스가 떠난 거라는 설정이 신선했을 뿐 오히려 마거릿 애트우드의 [페넬로피아드]가 더 잘 어울리지 않나 이런 생각을 했다. 하지만 내가 여성의 입장에서 이 소설을 읽는 내내 여성에게만 공감을 했기에 그런 결론이 났을지도 모르겠다. 라카르도같은 오디세우스라면 에밀리아가 다른 구혼자를 찾는 게 전혀 이상하지 않다. 다만 이 소설의 종결은 썩 맘에 들지 않는다. 


* 책의 표지가 여러 번 바뀌었는데 영화 속 한 장면을 쓴 현재의 표지가 그중 제일 낫다 .

에밀리아가 너무 소녀스럽게 나온 지난 번 표지나 너무나 기하학적인 초판 표지는 소설의 느낌을 반감시키는 것 같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레삭매냐 2021-08-21 11:4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네 표지 의견에 공감하는
바입니다.

가을엔가 모라비아 작가
의 새로운 소설이 나온다
는 썰이 있던데...

속이 나와 주었으면 합니다.

그렇게혜윰 2021-08-21 12:42   좋아요 0 | URL
다른 소설도 읽어보고 싶어요.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