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메리카 타운 왕언니 죽기 오분 전까지 악을 쓰다
김연자 지음 / 삼인 / 2005년 6월
평점 :
절판


가만 보면, 이 언니들을 양공주라고 손가락질하는 인간들 중
이 언니들에게 뭐 하나 해준 이가 없다.

빚에 시달리면서도 한 푼 두 푼 모아 교회를 마련하고 목사님을 초빙하면,
이 목사님과 ‘일반 신도’가 그 교회를 접수한다.
병든 여성과 길에서 헤매는 혼혈아 들의 보금자리가 필요해
미국으로 간 여성들까지 공장에 나가거나 파출부로 일해 번 돈을 보태어
수양관을 지으면, 목사님은 수양관과 그 땅을 자기네 교회 재산으로
등록하자고 한다.

결혼해 미국으로 가서도 자신들이 살던 기지촌에
여성들과 혼혈아들이 있을 곳을 마련하려고
공장일, 파출부 일을 해 돈을 보냈다는 대목에서 코가 시큰해졌다.
전에 어느 다큐멘터리에서, 구한말 하와이나 아메리카 대륙에
노동 이민을 간 조선인들이 반노예처럼 지내면서도
독립운동 자금으로 10원씩 10원씩 기부한 것을 기록해놓은 자료를 보았다.
그러나 이 언니들에게는 독립운동을 이끌던 지도자도 없었다.
주한 미군 범죄 역사상 최초로 무기징역형을 이끌어 낸 것도
이 언니들의 힘이었지만,
이른바 ‘사회’라고 하는 것은 이들이 해놓은 일은 다 그냥 먹어버렸다.
이들이 해낸 일은 알려지지 않고 인정되지도 않았다.

그 ‘사회’란 곳이 별나게 고상한 동네도 아니면서 그랬다.
김연자 선생은 성매매에서 벗어나려고 기지촌을 떠나
병원에서 잡일을 하며 신학대에 갈 준비를 한다.
그런데 그 산부인과 병원이란 데에서는 산모에게 줄
미역국에 고기는 안 넣고 기름만 쓰고,
간호사들은 휴가도 없이 장시간 노동에 시달렸다.
참지 못하고 원장에게 시정 조치를 요구하는 편지를 쓰자
원장은 들어 넘기고 간호사 책임자는 주제넘는 일을 했다고 다그친다.
기지촌보다 깨끗할 것도 없는 세상.

‘매춘’은 불법인데 미군에게 성을 판매하는 여성은 ‘애국자’라며
국가에서 정기적으로 성병 검진을 해준다.
성병 검진 카드를 둘러싼 부정과 비리가 일어나고,
그 와중에 성판매 여성이 불합리한 착취를 당할 때,

내가 할 수 있는 게 있을까 하고 서울의 상담소 같은 데 가면, “여기는 적색 지대라 어떻게 할 수가 없습니다” 하며, 지도에다 빨간 줄을 그었다.(139쪽)

적색 지대.
그 말은 ‘국가가 법과 질서 유지를 포기한 지역’이란 뜻이 분명하다. 그렇지?

왜 누구는 적색 지대 안에 살고,
누구는 그 안보다 나을 것도 없는 밖에 살면서
그 안 사람들을 백안시하는 걸까? 도대체 왜.


댓글(3)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랑비 2007-01-18 16: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참, 이 책을 선물해주신 ㄸㅇ님께 감사!

로드무비 2007-01-31 13: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ㄸㅇ 님께 선물받아 읽었는데......
그 적색지대 안도 사실 별볼일 없잖아요.;;

가랑비 2007-01-31 14: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로드무비님 리뷰에 저보다 먼저 읽으신 게 샘난다고 댓글 달았던 기억이 나요. ^^ 로드무비님이 선물해주신 "페미니즘의 도전" 리뷰도 조오기 아래 있는데... =3=3=3
 

지난 12월, 일본의 [전야(前夜)]라는 잡지 편집장이 한국으로 날아와
[아메리카 타운 왕언니 죽기 오분 전까지 악을 쓰다](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899109726X)의 주인공 김연자 선생님을 인터뷰했습니다.

 [전야(前夜)]는 일본의 우경화에 저항하며 반전, 반차별, 반식민주의를
주장하는 NGO 잡지로, 1년에 네 차례 발행된다고 해요.
편집위원 중에 재일교포가 많은 것이 특색이라면 특색이라는군요.

편집장과 편집위원 한 분이 오셨는데, 편집장은 일본인 여성이었고
편집위원은 재일교포 남성으로 한국의 대학원에 유학 중인 젊은이였어요. ^^
편집장이 오로지 인터뷰 때문에 비행기 타고 한국으로 날아오신 것도 감동인데,
두 분이 인터뷰에 앞서 한국어 사전을 찾아 가며
[아메리카 타운 왕언니 죽기 오분 전까지 악을 쓰다]를 읽은 흔적을 보고
더 감동했습니다.

 

 휴대폰 사진이라 잘 안 보이지요? 한 귀퉁이만 찍어 보았습니다.

 

편집장과 편집위원께서는 한국어가 서툴러 주로 듣기만 하셨고,
질문은 한국에서 연구 활동 중인 재일교포 여성 사학자와
한국인 여성 정치학자 두 분이 주로 하셨습니다.

[전야]에서 김연자 선생님을 어떻게 알게 되었느냐고 물으니
[한국 여성 인권 운동사]라는 책을 통해 알게 되었다고 합니다.
인터뷰 기사는 2007년 4월호에 실린다고 해요.
(4월에 나갈 기사의 인터뷰를 12월에 하다니,
준비성이 철저한 것 같습니다. ^^
우린 매번 후다닥 해치우기 바빠서;;;)

 저는 출판사 쪽 참관인(?)으로 참여했는데요,
[아메리카 타운 왕언니 죽기 오분 전까지 악을 쓰다]는 제가 입사하기 전 나온 책이라
김연자 선생님을 직접 뵙고 이야기 듣기는 처음이어서,
참 좋았습니다. 선생님이 힘찬 목소리로 부르시는
육자배기와 "삐빠빠 룰라, 시쓰 마이 베이비 삐빠빠 룰라 돈 마이 베이비
이것이 미국의 지랄병이다, 이것이 한국의 배뱅이굿이다" 타령을 생생히
들을 수 있었던 것이 가장 좋았어요.

김연자 선생님은 저를 불러내서 미안하다고,
책이 안 팔려서 어쩌냐고 걱정하셨는데,
저는 좋은 시간을 보냈고,
또 이 책을 아끼는 분들이 많이 계시니까 괜찮은 일입니다.
책이 더 팔려 선생님께 인세를 많이 드릴 수 있다면 더 좋기는 하겠는데...

인터뷰한 날이 지난 12월 16일이니 벌써 한 달이 지났네요.
바쁜 척하느라 한 달 만에야 이야기를 합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물만두 2007-01-16 15: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직도 현재진행형이라 역사라 할 수 없는 이야기라 가슴 아프네.

가랑비 2007-01-16 16: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만두 언니, 네, 기지촌 사람들의 삶터가 여전히 해결 안 되는 게 문제예요.
 

지난번에 본 "게으른 년이 삼가래 세고, 게으른 놈이 책장 센다"에 이어 나온 속담이

게으른 놈 짐 많이 진다.

게으른 사람이 일을 조금이라도 덜하려고 한 번에 짐을 많이 지는데,
그러면 몸을 가누기 힘들어 도리어 일이 더디게 된다는 속담이란다.
나도 밥 먹고 나서 반찬통들을 한 번에 냉장고에 갖다 넣으려고
층층이 쌓아서 들고 옮기려다 꼭 반찬통 한두 개가 굴러 떨어져설랑
발을 찧곤 하는데. ㅋㅋ 옛날부터 꼭 나 같은 인간이 있었던 게야.

한꺼번에 빨리 해치우려고 욕심 내면 도리어 일이 안 된다는 것이 오늘의 교훈.
그니깐 나처럼 손 작은 사람은 하나씩 하나씩 차근차근 하는 수밖에 없다고요.

비슷한 속담으로 "게으른 놈 짐 탐한다" "게으른 말 짐 탐한다"가 있다고 한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반딧불,, 2007-01-12 11: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으흑흑 넘
찔려요!!

가랑비 2007-01-12 13: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하, 새벽별님, 그렇게 보일 만도 하네요. 아직 기침이 나요 콜록콜록. 입술과 코 헌 것은 나아가는데 이번엔 혀가 헐어서 혀끝이 아파요 흑흑. 혀가 아파서 이 닦기도 싫어요 흑흑(핑계...) 새벽별님은 아프지 마세요~
반딧불님이 찔린다 하시면 저는 죽어야 하옵니다~~~~

물만두 2007-01-12 14: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나도 잠으로... 근데 어차피 게으른 넘인데 짐많이 져도 뭐 업어져서 자면 그만 아닐까^^;;;

아영엄마 2007-01-12 14: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흠흠.. 제 생활 스타일이군요. =3=3=3 (아직 몸이 허하신가 봐요. 더 주무세요!!)

가랑비 2007-01-16 16: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앗, 댓글을 안 달았다! 만두 언니 아영엄마님 죄송해요~ 기침만 남은 줄 알았는데 감기가 다시 도져서 열이 올라요 흑흑.
 

43377

누구십니까? 저 말고 세 분... ^^
일요일 저녁부터 몸에 열이 나더니 감기몸살이 심했는데,
앓는 김에 눕는다고 덕분에 이틀이나 회사 출근도 않고 쉬었어요.
오랜만에(주말 포함 나흘 만에^^) 출근했더니 적응이 안 되네요. ㅎㅎ
남은 건 기침과 부르트다 가라앉기 시작한 입술과 헌 콧속. -.-
월요일 밤에는 코가 막혀 힘들었는데
어제 코 청소 약을 뿌렸더니 좀 낫더군요.
아무튼 그 덕에 연말과 지난주에 무리해서 쌓인 피로가 싹 가신 듯해요. ^^
모두 감기 조심하세요~


댓글(17)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영엄마 2007-01-10 14: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에고, 님도 감기로 고생하셨군요. 기침 그거 빨리 떨어지지 않던데 자주 물이나 차 마셔주시어요. 그래도 주말에 쉬시면서 피로가 좀 풀리셔서 다행이네요.

물만두 2007-01-10 14: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런,,, 빨리 낫드라고!!!

반딧불,, 2007-01-10 15: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서어서 나으세요.

산사춘 2007-01-10 16: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후련하게(?) 앓으셨으니 이제 안아프실 거야요. 불끈!

193392


가랑비 2007-01-10 17: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마워요, 아영엄마님, 만두 언니, 반딧불님, 새벽별님, 산사춘님! 백순차(헛개나무 잎으로 만든 차라던데)를 마시면 목이 덜 아프더라구요.

세실 2007-01-10 17: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와 많이 아프셨나봅니다. 병가를 내실 정도면....
나으셨다니 다행입니다. 힘 내세요! 아자 아자~~

플레져 2007-01-10 17: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벼리꼬리님, 언넝 나으셔요. 차가 좋지요.
뜨건 보리차도 좋구요. 건강한 겨울!

날개 2007-01-10 17: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263399

얼른 나으셔요~!^^*


전호인 2007-01-10 19: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런 정해년 새해부터 편챦으셨군요, 액땜했다고 생각하시면 금년내내 건강하실 것이라고 믿고 건강을 기원하겠습니다

파란여우 2007-01-10 21: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올 해 더 이상 아픈 일이 없을거라 방금 새해운수정보회사에서 연락이 왔어요.
벼리꼬리님 화이링~

chika 2007-01-10 22: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프지마삼...
이제 다 나은거죠? ^^

가랑비 2007-01-11 00: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세실님, 플레져님, 날개님, 전호인님, 파란여우님, 치카님, 고마워요. 이제 열도 다 내렸고, 목도 별로 안 아파요. 님들 모두 올해 건강하게! 불끈~

바람돌이 2007-01-11 01: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빨리 다 나으세요. 너무 무리하지 마시고 쉬엄쉬엄 눈치껏 일하세요. 글구 잽싸게 집으로 이순신 퇴근을.....

sooninara 2007-01-11 12: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요즘 감기 독하죠? 고생하셨어요.
저희도 은영이가 2주째 아파요.
힘내시고 맛난 것 많이 드세요

가랑비 2007-01-11 16: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바람돌이님, 이순신 퇴근... ㅎㅎㅎ 희망사항입니다요. ㅠ.ㅠ
수니님, 아니 은영이가 2주나... 은영이에 대면 제가 아픈 건 다 엄살이었구만요. 은영아, 얼른 나아랏. 화이링~!

비연 2007-01-13 00: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프셨군요...몸 보강 잘 하시구요^^

가랑비 2007-01-15 19: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비연님, 고마워요. 새해 복 많이 받고 계시죠? ^^
 

아주 오랜만에 속담사전을 펼쳤습니다.
작년에 [재미나는 우리말 도사리] 읽기를 1년 목표로 세웠는데
반도 못 읽었지요. 속담사전은 장장 700여 쪽이나 되는지라
기한을 정하지 않았지만, 그래도 1년 동안 읽은 게 31쪽이라니,
너무했지요?

아무튼 드디어 32쪽을 넘겨 읽는데,
게으른 년이 삼가래 세고, 게으른 놈이 책장 센다”는 속담이 딱 나오는군요.

게으른 년이 삼(麻)을 찢어 베를 놓다가 얼마나 했나 헤아려 보고
또 게으른 놈은 책을 읽다가 얼마나 많이 읽었나 얼마나 남았나 헤아려 본다
함이니 일에는 마음이 없고 빨리 그만두고 싶은 생각만 함을 이름.
(이기문 편, 《속담사전》, 일조각, 32쪽)

책장 세는 거, 그거 제가 곧잘 하는 짓이지요. ^^
그런데 책장 세는 게으름은 ‘놈’만 부릴 수 있고 ‘년’은 그럴 수도 없나 봐요.
게다가 손끝이 다 갈라지고 허리가 끊어지도록 베를 짓다가
삼가래를 세는 ‘게으른 년’을
자리에 편히 앉아서 책장이나 넘기는 ‘게으른 놈’과 동류로 취급하다니,
이 속담, 은근히 괘씸하네요. 글치요?


댓글(9)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물만두 2007-01-03 13: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맞아.

가랑비 2007-01-03 14: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만두 언니는 절대, 편히 앉아서 책장 넘기는 게으른 이가 아니어요. 열심히 치열하게 읽는 리뷰어지요.

날개 2007-01-03 14: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183333

어머! 3333 이어요~^^*


클리오 2007-01-03 17: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 좋은 말 하나 배웠습니다. ㅋㅋ 따로 인사도 못드렸네요. 새해에도 복 많이 받으시고 행복하고 건강하시길~~ ^^

가랑비 2007-01-03 18: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날개님, 감사. *^^*
클리오님, 저 역시... 예찬이와 함께 복 마니마니 받으소서!

조선인 2007-01-03 21: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전 님이 새 책장 산 줄 알았어요. ^^;;

가랑비 2007-01-04 10: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하하, 새벽별님, 조선인님! 책 꽂아두는 책장이 아니라 책의 낱장인 책장인데!
아무튼 새벽별님, 조선인님, 새해 복 마니마니!

푸하 2007-01-17 13: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처음 댓글 남깁니다. 반갑습니다. 제 자신을 되돌아 보게 하는 속담이군요. 하고 싶은 일을 하면 시간의 경과 목적의 성취, 이런 거 그리 중요하지 않은 것 같아요.

가랑비 2007-01-17 18: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푸하님 어서 오세요. 고맙습니다. 그게 그래도 저는 시간의 경과 목적 성취, 이런 게 중요하더라구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