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름다움이 나를 멸시한다
은희경 지음 / 창비 / 2007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소년은 어려서부터 뚱뚱했다. 그에게 살은 유년시절의 아픔이기도 하고 일상이기도 할 것이다.(나도 이런 사람을 아주 잘 알고 있다. 어린 시절 뚱뚱해봤던 그녀는, 오히려 뚱뚱한 사람을 경멸해 마지 않는다. 그리고 반성한다. 철저히!)
그는 어떤 일요일에 전화를 받고 갑자기 다이어트를 결심한다. (정말 急다이어트를!) 그의 어머니는 묻는다. 갑자기 누구에게 잘 보일 일이 있느냐고. 그렇다. 그는 그 '누군가'에게 잘 보이려고 살을 빼는 것이다. (어떤 애증의 관계인 것 같은데, 사랑이 더 큰지, 증오가 더 큰지 난 잘 모르겠다. 막연히 추측할 뿐.)
살을 단기간에 빼야하기 때문에, 탄수화물을 전혀 섭취하지 않는 다이어트를 결심한다. 그리고 자신의 유전자가 우수한 유전자라는 걸 확인한다. 다만 현대에는 맞지 않을 뿐. 계속 지방을 쌓아두는 몸은 현대에 적합하지 않다.
그는 몇 주일 동안, 꽤 많은 살을 뺀다. 살을 빼고 나니, 그의 인생은 꽤 달라진 것 같다. 이제 주변 사람들이 그를 더 인정해주고, 그간 '뚱보'로서의 삶에 약간의 보상을 받는다. 비너스 형상이 빌렌도르프에서 보띠첼리로 변화해 왔듯이.
그러나 끝끝내 아름다움은 그를 멸시하고 만다. 너는 이제껏 뚱보로 살아왔잖아, 살 좀 뺐다고 뭐가 달라지니, 같이. 그는 탄수화물이 필요하다는 뇌를 진정시키느라 몇 주간 고생했다. 그리고 이제 그 '누군가'에게 보여줄 때가 되었을 때, 그 사람을 죽어버린다.
그 '누군가'는 그를 항상 뚱보로 기억할 것이다. 한번도 날씬한 적이 없는.
초상집에서 그는 국밥을 미친 듯이 먹는다. 몇 주 동안 섭취하지 않는 밥알, 즉 탄수화물이 너무 달게만 느껴진다. 그는 그 자리에서 미친듯이 두 그릇을 해치운다. 그 처절함이란.
은희경의 글은 정말 재밌다. 유머러스하다. 그런데 뚱보들의 현실을 기술하는 건 재밌지만, 너무 슬프다. 코미디는 비극에서 시작한다고 그랬던가. 뚱뚱한 사람들의 현실은 어쩌면 슬프지만 또 웃긴건지도 모르겠다.
" 막 닫히려는 만원 엘리베이터를 향해 헐레벌떡 달려가 한쪽 발을 들이밀려는 순간 그 안에서 누군가 닫힘버튼을 눌러버리는 모욕을 더이상 겪지 않아도 되었다. 신발끈을 맬 때마다 변기에 앉았을 때처럼 얼굴이 빨개지며 또 힘을 너무 준 나머지 자기도 모르게 방귀가 나와버릴까봐 걱정하는 일에서도 해방이었다. 뚱뚱한 사람은 인상이 비슷비슷해 보이기 때문에 간혹 엄청나게 못생기고 지저분한 뚱보에게 내가 주문한 음식을 날라다주는 식당 아줌마를 큰 소리로 불러 세울 수밖에 없는데 그때마다 구겨진 자존심을 내색하지 않아야하는 고통도 없어지게 되었다." (p. 86)
현실은 이렇듯 잔인하다. 뚱뚱한 사람들에게 맞는 옷이 없는 것 처럼. 작은 사람은 언제나 바지를 잘라야하는 추가비용이 더 붙는 것 처럼.(작은 사람들의 권리도 인정해 줬으면ㅠㅠ)
ps. 책을 안 읽은 사람에게 그 '누군가'를 밝히는 것은 잔인한 짓인 걸 알기에 밝히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