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를 못 타는 아이 장자크 상페의 그림 이야기
장 자크 상뻬 지음, 최영선 옮김 / 별천지(열린책들) / 2009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장 자끄 쌍뻬 아저씨의 팬이라 전시회도 갔다왔다. 고양시까지. 평일 오후에도 사람들이 많았던 걸 보면 과연 우리나라에서 인기가 진짜로 많나보다. 사람들은 참 고급스런 취향을 가졌다! (내가 좋아한다고 이런 말 하는 건 아님.) 

진짜로 대단한 게, 쌍뻬 아자씨는 하루에 8시간씩 그림을 그린다고 하니... 그는 노력형 천재였던 모양이다. 그러니까 이렇게 따뜻한 그림을 그리고 유머러스한 글을 쓸 수가 있는 거다. 이것은 확실히 타고난 천재들에게는 대부분 없는 것이다. 

그의 따뜻함과 통찰을 보여주는 책 한 권. 다른 화집도 충분히 감동스럽고 재미있지만 이렇게 스토리 라인을 가진 책은 몇 권 없어서 더 소중하다. 

원제는 라울 따뷔랭. 간단히 주인공 이름으로 된 제목이다. 출판사는 친절하게도 [자전거를 못 타는 아이, 라울 따뷔랭]으로 번역했다. 라울 따뷔랭은 어른이 되어서도 자전거를 계속 못 타지만.. 우리 안에는 영원한 아이가 살고 있음을 상기할 때, 기똥찬 제목이 아닐 수 없다. 

라울 따뷔랭은 프랑스의 어느 마을에서 꽤 유명한 자전거 기술자다. 얼마나 유명했던지 사람들은 자전거를 그냥 '따뷔랭'이라고 부르기까지 했다. 사실 그에게는 비밀이 하나 있는데- 그건 중심잡기.. 그러니까- 자전거를 못타는 것이었다. 그는 수년간 자전거 위에서 균형 잡는 것은 연구했고, 자전거를 분해해서 비밀을 알아내려고까지 해봤다. 결국 그는 자전거를 기가막히게 수리하는 기술만을 얻었다. 물론, 마을 사람들은 그의 크나큰 비밀을 몰랐다. 

그는 그런대로 잘 해나갔다. 특수한 자전거를 만들어 오히려 명성을 유지하기도 하고, 특유의 유머러스하고 능글능글한 성격으로 마을 사람들하고도 잘 지냈다. 그는 연애에 한 번 실패했고, 실패한 연애의 상대방에 잘 보이려다 크게 다쳤고, 이듬해 그를 돌봐준 간호사와 결혼도 했다. 

라울 따뷔랭에게 행복한 날들이 이어졌다. 그러던 어느날, 사진사 에르베 피구뉴가 자전거를 고치러 왔다. 호감가는 인상의 그와 따뷔랭은 금방 친해졌다. 그 또한 마을에서는 사진이라는 말 대신에 '피구뉴'라고 불렀던 것이다. 

피구뉴는 따뷔랭에게 제안을 한다. 따뷔랭이 '따뷔랭'을 타는 모습을 찍자고. 그것도 절벽에서 내려오는 사진을. 

따뷔랭은 거절했지만 주위의 권유와 자신의 비밀이 탄로나는 것이 두려워 결국 수락해버린다. 결전의 날, 그는 속타는 마음을 가라앉히기 위해 술도 마시고 미적미적거린다. 그리고... 비가 온 산의 내리막 길을 내달린 그는 엄청 크게 부상당한다. 하지만 피구뉴의 사진은 온 프랑스 신문에 실리게 된다. 

그건 엄청난 대작. 절벽 사이에 떠 있는 자전거, 엄청난 대작이었던 것이다. 따뷔랭은 몇 달 동안 병실에 누워서 뼈가 붙기를 기다리며 그 악몽에 시달렸다.

피구뉴에게도 비밀이 있었는데, 그는 사진 기자로서 활동하다 몰락한(?) 사람이었던 것이다. 따뷔랭이 절벽을 뛰어넘는 순간, 그는 너무 놀라 카메라를 놓쳤다. 그리고 그 대작은 탄생했다. 그의 첫 작품- 순간을 포착하는-인 동시에, 결국 그것도 그가 잡아내지 못한 것이었으니 말이다. 

피구뉴는 그렇게 얻게 된 명성으로 사진집을 내고 전시회까지 열게 된다. 그들의 우정은 돈독해 보였으나, 그 사건 이후로는 그저 겉모습에 지나지 않았다. 피구뉴는 자신의 비밀을 털어놓았지만 따뷔랭은 원망스러운 마음만 더 커져갈 뿐이다. 어찌되었든 그 사건으로 그들은 다 잘 풀렸고, 객관적으로는 더 행복해졌다. 

그런데 따뷔랭의 마음에서는 계속 석연치 않은 구석이 남아있었다. 비밀이 들킬 것 같은 예감, 그러면서도 털어 놓고 싶은 마음, 그걸 자신이 털어놓지 않을까하는 불안감...  

그리고 피구뉴가 따뷔랭의 가게에 왔다. 따뷔랭은 떠듬떠듬 말하기 시작했다. "내가 못 타는 것이 하나 있는데....." 피구뉴는 웃었다. 그는 무슨 말인지 알기 때문이었다. 

 

이 얇은 책에는 이렇게나 긴 스토리가 숨어있다. 생각해보면 다 그만한 사연도 있는 법인 특별하지 않은 일. 누구에게나 숨기고 싶은 비밀이란 건 있으니까. 그걸 이렇게 유머러스하게, 아무렇지도 않게 얘기할 수 있는 쌍뻬는 정말 대가다. 

그의 특기인 귀엽고 사랑스러운 그림은 물론이고, 핵심을 찌르는 문장까지. 분명히 덤인데 본품만큼 좋은 덤이라고 할까. 

사람들이 웃기는 사람들을 정말 피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호젓한 어스레함이 주는 무게를 갑자기 깨버릴까 두려워하기라도 하듯 사람들은 이 웃기는 사람들로부터 약간의 거리를 둔다. 자신에게도 가슴이 있으며 이 가슴에는 영혼이 살아 있다는 것, 그리고 이 영혼은 때로는 남과 함게 나누고픈 비밀들을 간직하고 있다는 것을 내놓고 말하고 싶어지는, 낭만이 과하게 들린 사람들이 자주 당하는 유혹을 따뷔랭도 느끼곤 했다. p. 39 

따뷔랭은 이날 저녁 다시 한번 여러 가지를 깨닫게 되었다. 젊은 여자란 방식은 다르지만 캄피오니시모 자전거 변속 장치보다 훨씬 복잡하다는 거과, 비밀스러운 이야기들을 털어놓는 것에는 언제나 위험이 따른다는 것, 그리고 상화에 따라서는 이 비밀 이야기들이 진지하게 받아들여지지 않은 수도 있다는 사실을 말이다. p.4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