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래 - 제10회 문학동네소설상 수상작
천명관 지음 / 문학동네 / 2004년 12월
평점 :
마르케스의 소설을 좋아한다. 장황하고 만연한 문체에 버거움을 느끼면서도 계속 그의 소설을 읽는 것은 살아있는 인물과 방대한 이야기, 무엇보다도 그 '마술적 리얼리즘'에 매혹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삶의 깨달음을 허세없이, 아무렇지도 않게 알려주고 방대한 역사, 그 많은 인물들에게 생명감을 훅훅 불어넣는 그의 글솜씨는 혀를 내두를 만하다.
그의 소설[백년 동안의 고독]은 앞 표지에 가계도가 있을 정도로 인물이 많다. 비슷한 남미 사람들의 이름은 무척 헷갈린다. 러시아 소설의 인물은 외우는 것 자체가 어렵다면 남미 소설은 비슷한 이름이 많아 헷갈리는 것이 문제다. ex-아르카디오, 아르카디오 세군도/ 아우렐리아노, 호세 아우렐리아노, 호세 아우렐리아노 세군도....뭐 이런 식이다.
특히 그의 소설에서 맘에 드는 것은 비유. 돌멩이처럼 조용하게 있었다든지..(아 읽을 때는 넘 좋은 비유가 많았는데 기억이 안 난다.) 하는 것과, 모든 인물들을 '미친' 기억력으로 다 기억해놓고는 (써놨을지도 모르지) 앞에서 예언(?)한 이야기를 뒤에서 모두 해준다. 가령, ~는 xx로 죽기 전까지 ss하게 살았다-라고 하면 뒤에서 그 죽은 이야기를 자세하게 해주는 점이 가장 좋다.
그리하여 마르케스는 내가 좋아하는 작가 중 한 사람.
왜 [고래]라는 소설 리뷰에서 마르케스 이야기를 하냐면.... 이 소설이 마르케스의 소설과 많이 닮았기 때문이다. 특히 [백년 동안의 고독]이 생각이났다.
어느 쪽이 더 재밌냐고 물어본다면 [고래]라고 답할 것이다. 아무래도 번역보다는 한국 소설이 더 와닿는 표현도 많고 언어의 미세한 감정을 좀 더 잘 느낄 수 있다는 거겠지.(그치만 번역도 좋았다.)
각설하고 본격적인 리뷰를 써야 하는데..... 마르케스의 소설은 이야기의 방대함 때문에 리뷰 쓰기가 겁이 났는데 [고래]도 그렇다.
그래서 나의 몇 가지 감상과 감상 포인트만을 적으려 한다.
감상 1. 순간적으로 받은 이미지의 힘은 놀랍도록 크다. 금복이 집을 떠나 처음 보았던 고래 꼬리의 이미지, 그 생명력의 이미지는 전 생애에 걸쳐 그녀의 머리 속을 떠나지 않는다. 결국 그녀/그를 죽게 만든 것도 그 고래 때문이라는 것은 아이러니하다.
감상 2. 무엇보다 소설의 주인공이자 무언의 여인 춘희가 홀로 되었을 때, 평생 벽돌을 굽는 힘은 어디서 나온 것일까? 주위에 이런 사람이 있다면 깝깝하면서도 참.. 머라 말할 수 없는 기분이 들겠다.
감상 3. 남자들을 후리는(?) 요상한 호르몬 냄새를 풍기던 용감한 소녀인 금복의 우여곡절한 인생이 왠지 어디서 많이 본 느낌이다. 아무튼 범상치 않게 타고나야 범상치 않은 삶은 산다는 것은 씁쓸하면서도 고개를 끄덕끄덕.
감상 4. 벌리는 일마다 잘 되는 여장부 금복, 한 만족을 모르는 게이샤를 위해 손가락 6개를 바치나 끝내 그녀를 버릴 수밖에 없었던 칼자국, 코끼리를 타고 노는 거대한 소녀, 자기가 언닌지 동생인지 혼란스러운 써커스단 출신의 쌍둥이 자매 등 작가가 그려내는 '마술적 리얼리즘'의 세계 또한 이 소설의 묘미이다.
감상포인트) 작가는 세상의 왠만한 '법칙'들을 다 꿰고 있는 듯하다. 그가 설명하는 법칙들이 어떨 때는 무진장 재밌고 어쩔 때는 허를 찌르기도 한다. 구라의 법칙, 이데올로기의 법칙, 자본주의의 법칙 등을 모아 읽어보는 것도 이 소설의 또 다른 재미라 할 수 있겠다.
이로써, 큰 고래같은 소설에 잔챙이 같은 리뷰를 마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