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곤 실레, 벌거벗은 영혼 다빈치 art 11
구로이 센지 지음, 김은주 옮김 / 다빈치 / 2003년 4월
평점 :
품절


[구스타프 클림트](질 네레, 마로니에북스)를 읽고나서 내가 알았던 사실. 클림트는 생애 자금적인 어려움에 시달리지 않은 몇 안 되는 화가였고, 빈 대학 강당의 (의뢰자의 의도에 맞지 않는) 기분나쁜 천장화로 의회까지 가게된 사건이 있었다. 그는 분리파의 선구자였으며, 글을 쓰는데 소질이 없는, 심지어 뱃멀미같은 구토감을 느끼기도 했다는 사실. 또한 여자들을 자주 그렸으며 항상 화실에는 몇명의 모델들이 상주해있었다는 사실.

그 밖에 그림을 설명함에 있어 여러 저자들의 의견을 따온 부분들은 거의~ 이해하기가 힘들었다. 미술을 전공한 사람이라면 이해하기 쉬울지도 모르겠지만, 미술관련 서적을 거의 처음 읽은 나는 상징주의고 뭐고 알쏭달쏭했다.

클림트로 인해 실레를 알게 되었고, 궁금한 마음에 책을 샀다. 생각보다 두꺼운 책과 생각보다 가볍지 않은 무게에 살짝 놀랐다. 다행히 종이 질은 참 좋다. 또 다행인 것은 책이 정말 이해하기 쉬웠다는 것이다. 어려운 용어도 별로 없었고 주관적이지만 객관적인 저자의 글에도 동감할 수 있었다. 미술을 전공하지 않는 사람도 읽기에 부담이 없을 것 같다.

클림트와 실레는 사제간, 혹은 예술적 동지로서 서로 영향을 끼쳤다. 클림트의 부드럽고 세속적인 화려한 그림을 보다가 실레의 성적이고 나르시시즘에 갇힌 그림을 보니, 나도 모르게 침이 꼴깍 삼켜졌다.

그의 전기작에는 자화상이 많다. 그것도 좀 충격적으로. 벌거벗은 모습이나 자위하는 자화상까지 있어 현대인을 자청하는 나도 깜짝 놀랐다. 남성누드는 여성, 남성 다 별로 선호하지 않기 때문에 잘 팔리지 않는다는 말을 얼핏 들은 적이 있었는데 이제서야 고개를 끄덕거린다. 아름답지 않고의 문제가 아니라 아무튼 좀... 그랬다.

저자는 실레에게 빠져있던 10년의 느낌을 담아 이 책을 냈다고 하는데, 정말 실레에 대한 애정이 느껴진다. 다양한 자료도 많이 찾은 것 같고, 작품에 대한 주관적인 해석이 오히려 더 객관적으로 다가와 이해하기 쉬웠고 감탄도 했다.

다른 얘기) 클림트는 글을 쓰는데 울렁증(?)이 있어, 때가 되면 답장을 써야할 편지가 있을까 두려워 주기적으로 편지를 태우기까지 했다고 한다. 그래서 그는 "예술가 클림트가 궁금한 사람은 내 작품을 보라." 고 말했다. 반면, 실레는 클림트와 달리 글을 참 잘 쓴 것 같다. 특히 멋있었던 말은 "인간은 성에 대한 감각을 잃지 않는 한 성에 대한 번민으로 인하여 고통받을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그의 작품이나 말이나 참 한결같다. 그래도 그가 궁금한 사람은 그의 글을 읽기 보다는 그의 작품을 보는 것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