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중권의 '교수대 위의 가치'를 읽으려니, 이런 불친절한... 푼크툼,이란 단어가 나온다.
마치, 이 단어도 모르면, 찾아보든가,
그럴 성실함 없으면, 이 책 읽지 마~
이런 느낌이 든다. 

검색해 보니, 성실한 내용이 있어 옮겨 둔다.
신경숙의 '어나벨'에도 이 용어가 나온단다. 

<있는 것과 있어보이는 것의 차이>라는 블로그인데, 이름도 멋지군.
고 밑에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은 보려는 의지와 무관심의 차이입니다' 요런 말도 붙여 둠. ^^ 

결국, 보이는 것은 스투디임, 보이지 않는 것을 보려는 의지가 풀크툼인가?

사진의 두 가지 시각 - 스투디움과 푼그툼

 스투디움과 푼그툼 생소한 단어다. 신경숙씨의 이번 신작 "어디선가 나를 찾는 전화벨이 울리고"을 읽다 이 단어를 발견하게 됐다 .

이 두 용어는 사진을 찍는 방법 연구의 방법이란다. 마치 들은 듯도 생소한듯도 싶은 첫느낌이다. 
이 이론들은 방대한 사진 연구 일부일 뿐이란다.
조금 어려운 듯 보이지만 사진을 보는 시각에 도움이 될듯 싶어 적어둔다.


스투디움은 쉽게 말해 '올림픽 스타디움'을 떠올리면 좋다. 
많은 사람을 포용하는 사진의 시각을 뜻하는 말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공감하는 자연의 아름다움, 조형미, 인감의 감정 등 쉽게 느낌을 읽어 낼 수 있다. 

그에 반해 '푼크툼'은 '타이어에 난 펑크'를 떠올리면 이해가 빠를 것이다. 작은 구멍을 뜻하는 말로 소수의 공감, 혹은 찌르는 듯한 느낌을 의미한다. 

작가의 설명 없이는 이해하기가 힘든 철학적인 내용이 담기기도 하기 때문에 해석이 다양하고 또한 보는 이의 상상력을 자극하게 된다. 

이 두 가지 사진의 시각을 구분짓는 가장 큰 차이점은 바로 무엇을 찍는가이다. 만약 당신이 일출을 찍었다면 스투디움이라 볼 수 있고, 일출 앞에 울고 있는 꼬마를 찍었다면 푼크툼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우리의 생활도 보는 주체의 시각에 따라 달라보있 수 있다. 그것은 자기의 주관이 객관성을 유지하는듯 하지만 실제론 강한 주관이 내제 되있기때문이다.

똑 같은 상황을 어떤이는 스투디움으로 어떤이는 푼그툼으로 보는 것처럼.... 

신경숙씨 때문에 좋은 용어를 알게 되어 책을 읽고 그외의 부수적 덤을 누리게 되어 독서의 또 다른 즐거움을 느낀다. 
(씨, 난 그런 말 쓰는 사람 좀 짱나는구만.... ㅠㅜ)

http://blog.daum.net/shagguer/55?srchid=BR1http%3A%2F%2Fblog.daum.net%2Fshagguer%2F55 


댓글(1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글샘 2010-06-26 15: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orz... 이 글을 쓰고 다음 페이지를 보니... 회화의 푼크툼... 설명을 잘 해 놨네.
오직 보는 이 혼자만이 느기는 이 절대적으로 개별적인 효과를 바르트는 푼크툼이라 부른다고. ㅠㅜ

비로그인 2010-06-26 17: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보이는 것도 제대로 못보는 나는 뭐임?
뭐임!
스투디임, 픈크툼...절대 잊어버리진 않겠어요.
역시 멋진 국어쌤다우셔!!!!

글샘 2010-06-26 17:28   좋아요 0 | URL
마기님, 국어쌤을 너무 좋아하시는 듯... ㅎㅎ

비로그인 2010-06-26 17:43   좋아요 0 | URL
좋아해요~~좋아해요~~아쭈 좋아해요~~~

페크pek0501 2010-06-26 22: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중학생 시절에 국어쌤이 인기 짱이었는데... 특히 교과서에 실린 황순원의 '소나기'를 배우는 시간이면 왠지 쌤이 멋져 보였던 기억이 있어요. 아, 나에게도 중학생 교복을 입고 다니던 때가 있었답니다.

글샘 2010-06-26 22:27   좋아요 0 | URL
ㅎㅎ 여학고 국어샘은 좀 그런 경향이 있었지요. 요즘엔 연예인을 좋아하는 덕분이 우린 좀 편합니다. ㅎㅎ 중학교 교복을 입던 가난하던 시절, 얼마나 순수했을까요... ^^

페크pek0501 2010-06-26 22:38   좋아요 0 | URL
순수했지요. 아니 순진하고 무지했지요. 전 그때 남학생과 손만 잡아도 임신하는 줄 알았답니다. 티브이 드라마에서 손 잡고 누웠는데, 그 다음에 임신이 되길래요. 그런데 이런 얘기를 여기서 해도 되는지 모르겠습니다. 이해를 구합니다.

pjy 2010-06-27 00: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글샘은 많이 있어서 있어보이는 분입니다^^ 저는 없어도 있어보이는게 어디냐고 생각합니다ㅋ

글샘 2010-06-27 14:50   좋아요 0 | URL
헐~ 이런 칭찬은...
어차피 보는 건 타인이니깐, 있는 것과 있어보이는 것의 차이를 <내 눈>으로 볼 때 조심해야겠단 생각은 들지요.

웽스북스 2010-06-27 03: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롤랑바르트의 카메라루시다(밝은방)에서 처음 사용된 개념인 걸로 알고 있어요- ㅎㅎ 미술작품이나 사진 같은 거 감상에 많이 쓰는데 저는 책읽을 때나 음악들을 때나, 뭐 암튼 저만의 오남용을 많이 하는 중. ㅎㅎ 그런데 위에 쓰신 분의 설명은 좀 적절치 않은 부분이 있는 것 같아요. 같은 일출을 보면서, 하늘이 아름답다, 뭐 이런 걸 느끼는 건 스투디움의 개념이지만, 그 일출을 보며 옛사랑이 떠오른다던가, 하는 건 푼크툼의 영역. 같은 우는 아이를 찍어도, 불쌍하다, 생각하는 건 스투디움의 영역, 거기서 예전에 서글펐던 기억이 떠오르는 건 또 푼크툼의 영역. 제 이해로는 그래요. 발화자의 몫이 아니라 받아들이는 사람의 몫. ㅎㅎ 제가 받아들이기엔 그랬어요- 암튼 굉장히 매력적인 개념이죠. 저도 한 때 빠져들었었다는. ㅎㅎ

글샘 2010-06-27 14:51   좋아요 0 | URL
그렇네요. 작은 구멍에서 찌르르하게 울려나는 감정은, 누구나 어린아이를 본다고 느끼는 건 아니니까요.
세상을 설명하기에 좀 멋진 개념인 거 같긴 하더라구요.
그나저나 진중권은 이런 용어 쓸 때, 설명부터 하고 좀 썼음 좋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