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릿브지 대학의 연결구과에 따르면, 한 단어 안에서 글자가 어떤 순서로 배되열어
있는가 하것는은 중하요지 않고, 첫째번와 마지막 글자가 올바른 위치에 있것는이
중하요다고 한다. 나머지 글들자은 완전히 엉진망창의 순서로 되어 있지을라도
당신은 아무 문없제이 이것을 읽을 수 있다. 왜하냐면 인간의 두뇌는 모든 글자를
하나 하나 읽것는이 아니라 단어 하나를 전체로 인하식기 때이문다. 

 

처음엔 이 글을 읽으면서 이상하단 생각을 못했다. ㅋㅋ

다시 읽어 보니 정말 재미있다.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BRINY 2007-01-21 08: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건 제대로 읽었는데, [취중고백]과 [취중진담]을 같은 걸로 읽고 착각한 적이 있네요.

기인 2007-01-21 11: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ㅋ 학부1학년때 국어학개설 시간이 생각나네요. 글을 음성으로 환원해서 읽는 것이 아니라, 이미지로 읽는 것이고, 그 '이미지'라는 것의 세세한 지점은 인간 뇌에서 재구성된다는 것! ㅎ 퍼갑니다. :)

프레이야 2007-01-21 12: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 아무 문제없이 읽어져서 저도 놀랐어요.

글샘 2007-01-21 14: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재미있죠? 그래서 아이들 받아쓰기 시킬 때 정확하게 잡아줘야 평생을 올바른 상을 안고 살겠지요.

가넷 2007-01-21 16: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오; 놀랐어요..;

글샘 2007-01-21 17: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처음에 보고 뭐가 문제인지 몰랐답니다.^^ 제 아내도 읽고 나더니, 그게 왜? 이러더군요. ㅋㅋ

역전만루홈런 2007-01-22 10: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아무런 문제없이 읽었는데..이런이런..^^;
퍼가도 되죠? ㅎㅎㅎ

글샘 2007-01-22 11: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ㅎㅎ 저도 첨엔 내가 바본가? 했어요. 기사를 읽고도 왜 멀쩡한 기사를 실었지? 했으니까요. ㅋㅋ

향기로운 2007-01-22 12: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두째번 읽나고서야 겨우 알챘아어요^^;; 우띵~

글샘 2007-01-22 15: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향기로운 님은 '적용'의 달인이시군요. 금세 이렇게 쓰시다니...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