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백
이정록
원고지를 처음 만난 건 초등학교 사학년 때다 뭘 써도
좋다 원고지 다섯 장만 채워와라! 다락방에 올라 두근두
근, 처음으로 원고지라는 걸 펼쳐보니 (10x20)이라 쓰여
있는 게 아닌가? 그럼 답은 200! 구구단을 뗀 지 두어 달,
뭐든 곱하던 때인지라 원고지 칸마다 200이란 숫자를 가
득 써냈다 너 같은 놈은 교사생활 삼십년, 개교 이래 처음
이라고 교문 밖 초롱산 꼭대기까지 소문이 쫙 펴졌다 그로
부터 십오년, 나는 작가가 되었다 지금도 글이 콱 막힐 때
마다, 그 붉은 우물에서 두레박을 타고 이백이 솟아오른다
그때 나는, 이백과 같은 길을 걸어갈 거라는 막연한 운명
을 또박또박 적어넣었던 게 아닐까?
----------------
내 앞에 '내 인생의 키워드'라는 물음이 던져진 적이 있다.
그때 난 '글쓰기'라는 답을 떠올리긴 했는데 좀더 확연한 대답을 못했다.
지금 생각해봐도 어정쩡한 상태의 나를 발견했고 내 모자란 열정과 부족한 무엇에 때론 역으로 더 느긋해져버린다.
변명하자면, 머리 좀 정리하고 곧 다시 심지를 당겨볼 생각이다.
내가 글로 처음 입상한 건 초등학교 사학년 때다.
교내 백일장에서 난 운문 '산길'이라는 시를 원고지 4-5장에 썼고 상장을 받았다.
그때 내가 바랐던 건 엄마의 무조건적인 칭찬이었는데 엄마는 꼭 비평을 곁들인다.
그후 날마다 썼던 일기글도 그렇고 시조대회 나갔던 일도 그렇고 칭찬에 비평이 곁들여지니 맛이 없다.
작은딸이 쓴 산문이 교내 학예전에 시화로 전시되어있다. 곧잘 쓴다.
나는 칭찬에 무능하지는 않았는지... 그건 그렇고,
나로 말하자면 누구처럼 막연한 운명을 적어넣었던 건 아닐 테고
누구처럼 두레박을 타고 이백이 솟아오르는 '붉은 우물'은 아니어도 검은 우물 하나는 있는데
그 우물 하나 내 안에 웅숭한 아가리 딱 벌리고 있는데...
막연한 운명?
생은 계획대로 되는 건 아니지만 막연한 운명, 뭐 그 비슷한 그림자는 감지하게 되는 게 또 생 아닐까.
큰아이가 수능을 치고 구술면접과 논술을 보고 돌아왔다.
일단은 성적표 나오기 전까지는 후련해하고 편히 있어도 좋을 듯하면서도
나나 아이나 조바심이 나는 건 어쩔 수 없다.
애초에 아이가 원하던 곳에 합격할 수 있기를 빈다.
그래도 이제 운명이라는 생각이 든다. 흘러가는 대로 맡겨보자.
당장 퍼머에 염색에 화장까지 하겠다고 야심차다. ^^
그 얼굴이 너무 깨끗해 겁이 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