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든’ ‘완전한’ ‘진실한’ 등 일련의 형용사들의 간계를 조심하지 않은 까닭에,

젊은이들의 정신이 정체하거나 부패하는 수가 있다. 힘겨운 문제를 대면하는 데
지구력을 보일 수 없는 사람들은 이와 같은 형용사들을 미끼로 문제를 농담으로
유인해 들이는 것이다.


*

상처가 글을 못 쓰게 하는 것은 자기 반성의 여유를 주지 않기 때문이다.
사랑이나 증오에 대해서도 같은 이야기를 할 수 있다.
냉정할 것!


*

하나의 운명으로서 절망이 다가와 압도하기 전에, 스스로 임의의 절망을
만들어내는 능력이 우리를 정화한다. 무수한 절망 연습을 통해 우리는
과장된 자기 전시와 기교의 소모성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제작된 절망 속에 진실과 아름다움이 동거한다.


*

산문(散文)이 미드필드를 가로질러 속공을 노리는 데 반해 시어(詩語)는
로빙볼과 같다. 소위 문명이 밀집방어하는 문전에서 예감과 기대에 가득 차,
그러나 완연한 판가름을 염두에 두지 않은 채, 바나나킥으로 쏘아올리는
투기 - 그때 언어는 상징성을 얻고 혜성처럼 화염을 날리며 떨어진다.
이제 사물이 스스로 헤딩해야 할 찬스이다.

 

 

*

 

진흙 속으로 다시 들어가 수척해보지 않은 정신은 자기 성장의 부름켜를 찾지

못한다. 추악한 것, 비극적인 것, 만취한 것들은 우리들의 행위를 빈틈없이

호송하여, 우리가 과열된 상상력 때문에 월경(越境)하는 것을 막아준다.

 

 

*

 

시詩 - 정신의 수음행위. 그 옅은 피로감과 허탈함과 죄의식.

 

 

*

 

거리가 만들어내는 것 가운데 가장 아름다운 것은 '이미지'이며,

가장 너저분한 것은 동정同情이다

 

 

 

 


  - <네 고통은 나뭇잎 하나 푸르게 하지 못한다> 이성복 /문학동네




댓글(9)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비로그인 2007-10-29 17: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맨처음 문장, 요즘들어서 끈기, 지구력도 능력의 일환이란 생각이 강하게 들더라구요.

프레이야 2007-10-29 18:56   좋아요 0 | URL
형용사 남발이 지구력 부족에서 온 것이었을까요...
주어와 술어로 탄탄하게 선 문장!
쉽게 쓰는 문장이 더 어렵다는 생각이 들 때가 있고 그럴 땐
좌로 절(^^)하게 되기도 하구요. 그러면서 자신의 것을 만들어가는
것이겠지요.^^

비로그인 2007-10-29 22:30   좋아요 0 | URL
글쎄, 님은 좌절하실 필요가 없으실 것 같은데요 ^^
절대적인 의미를 담은 것들, '절대','완전히', '정말로', '진실로'..그런 단어들은 이제 쓰기가 꺼려져요. 그렇죠. 정말로 소박하고 간결한 문장. 음, 헤밍웨이를 제대로 읽어본적이 없단 생각이 퍼뜩들었어요, 지금 ^^

프레이야 2007-10-30 00:55   좋아요 0 | URL
이크, 절대긍정의 형용사만큼 절대부정의 그것도 위험하리란 생각이
들어요. 힘겨운 문제에 대한 좀더 진지한 고민.. 그앞에선 형용사도
머뭇거리게 되겠지요. 헤밍웨이는..음..또 누가 있더라.. 그렇군요.^^
새초롬님 주무세요? 지금.

비로그인 2007-10-30 10:25   좋아요 0 | URL
님이 댓글을 다신 그 시간엔 전 아마 꿈나라를 헤매고 있었던거 같아요.

비로그인 2007-10-29 23: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가능하면 적은 단어로 생각를 표현할 수 있으면 좋겠지요. 혜경님.


프레이야 2007-10-30 00:56   좋아요 0 | URL
네 정말 필요한 단어는 그리 많지가 않을텐데도 단어 앞에서 헤매고
있을 때가 있는 것 같아요, 한사님^^

바람결 2007-10-30 14: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포리즘은 여기 있었군요.
'냉정'해야겠어요...

프레이야 2007-10-30 15:22   좋아요 0 | URL
감정을 가라앉혀야 좋은 글이 된다는 말이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