잭 케루악이 영향을 받은,
잭 런던의 자전적 호보 생활 이야기
1907년 출간.

호보로 성공하려면 예술가가 되어야 한다. 무의식적으로 그리고 순간적으로 이야기를 창조해야 한다. 자신의 상상력에 의존한 이야기가 아니라 문을 열어준 사람의 표정에서 보이는 이야기를 말이다. 그 사람은 남자일 수도, 여자나 아이일 수도있다. 친절할 수도, 떽떽거릴 수도, 관대할 수도, 인색할 수도, 선할 수도, 심술궂을 수도 있다. 유대인이나 이교도일수도, 백인이거나 흑인일 수도, 인종차별주의자이거나 사해동포주의자거나 배타적이거나 아주 열린 사람이거나, 그무엇도 될 수 있다. 내가 이야기꾼으로 성공한 것은 떠돌이시절의 이런 훈련 덕분이라는 생각을 종종 한다. 살아갈 음식을 얻기 위해 나는 진실성이 느껴지는 이야기들을 지어내야 했다. 나는 남의 집 뒷문에서 권위 있는 평론가들이 단편 소설의 미학적 요소라고 평가하는 진정성과 현실성을 키울 수 있었다. 이런 냉혹한 현실을 벗어나기 위해서였다. - P15
앞으로 반 마일 안에 터널이 없기를 간절히 빌면서 차량 지붕 위를 여섯 칸이나 걸어 내려갔다. 이런 위험한 이동을 할 때는 절대 겁을 먹지 말아야 한다. 객차 지붕은 한밤의 산책에 적당한 곳이 아니다. 아니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다면 일단 해보시라고 하고 싶다. 잡을 데라곤 시커먼 허공밖에 없는, 요동치며 흔들리는 기차 지붕 위를 걸어보시라고. 밤이슬에 온통 젖어 미끄러운 지붕 끝 경사진 곳에서 뒤 차량으로 건너가기 위해 빨리 달려보라고. 장담컨대 심장이 조여오고 눈앞이 아찔해질 것이다. - P47
나는 작전을 바꿨다. 어떤 사람이 당신 머릿속을 꿰뚫고 있을 때 그를 따돌리려면 이전 사고 방식을 깨고 새로운 방법을 써야 한다. 그것이 내가 한 일이다. - P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