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 방 여행하는 법 - 세상에서 가장 값싸고 알찬 여행을 위하여
그자비에 드 메스트르 지음, 장석훈 옮김 / 유유 / 2016년 3월
평점 :
물질적인 너무나 물질적인 삶에 거부감이 부쩍 든다.
오래 봐온 친구들 대화도 온통 물질적.
이 허전함을 어디서 채우나…
주변에 이런 소리 하면 또 특이하다는 말이나 듣는다.
완미가 필요하다.
완미라는 한자어는 탕웨이가 박 감독의 영화
헤어질 결심,의 촬영현장을 두고 표현한 말.
https://n.news.naver.com/article/028/0002596746
마침내, 붕괴, 미결… 완미. 뭔가 귀결되는 느낌.
완전함이란 있기 어렵고
아름답기까지 하기란 어려운 일이겠지만…
아름다운 사람은 특별함이 있구나 느껴지는
인터뷰를 좀전에 읽었다. 역시라는 생각에 기쁨에
조금은 채워지며
그냥저냥 이런 생각이 부쩍 들 때 펼치는 이 책
내 방 여행하는 법,의 저자 그자비에 드 메스트르는
1763년 샹베리에서 태어났다.
직업군인이었던 그는 1790년 어느 장교와 토리노에서
결투를 벌여 42일간의 가택연금형을 받았다.
그동안에 쓴 글이 이 책.
그림에도 조예가 깊고 러시아에서 화가로도 활동했는데
이 책을 쓰며 작가가 되었다.
이 책 속 삽화는 직접 그린 것인지 잘 모르겠다.
42개 챕터마다 소제목을 달고 길지 않은 글에
여러 갈래 생각의 여행으로 이끈다.
위트와 재치, 비유가 번뜩이며…
동물성에 대한 문장들, 좋아한다.
8. 동물성
물질에서 벗어나 영혼이 언제든 홀로 여행할 수 있다면 그것은 바람직하고도 유용한 일이다. 하지만 거기엔 안 좋은 점도 있다. 앞서 언급했던 손가락 화상이 그 예다. 평소처럼 난 나의 동물성에게 아침 준비를 맡겼다. 빵을구워서 자르는 건 그의 몫이다. 그는 커피도 훌륭히 끓여 내는데 이 모든 일을 대부분 혼자서 한다. 영혼으로서는 물끄러미 그 모습을 바라볼밖에 달리 끼어들 여지가 없다. 그러나 그냥 바라보기만 한다는 것은 매우 어렵고 힘든 일이다. 왜냐하면 어떤 장치를 다룰 때 보면, 우리는 쉽게 딴생각에 빠져 정작 자기가 하고 있는 일에는 주의를 잘 기울이지 - P37
못하기 때문이다. 이를 나의 형이상학적 체계에 의거하여 좀 더 부연하자면, 나의 영혼에게 나의 동물성이 하는 일을 주시하면서 그가 하는 일에 끼어들지는 말고 그냥 바라보게만 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는 것이다. 이는 인간이 수행하기엔 경악하리만치 어려운 형이상학적 과제다. 나는 빵을 굽기 위해 화덕 위에 부집게를 올려놓았었다. 잠시 뒤, 나의 영혼은 홀로 여행을 떠났고, 그 틈에 나의 동물성은 달구어진 장작을 화덕 안에 집어넣었다. 그런데 우둔하기 짝이 없는 나의 동물성은 손을 뻗어 뜨거운 부집게를 그냥 잡아 버렸고 결국 나는 손가락을 데었다. - P39
내 영혼이 입을 열었다. "뭐라고요? 내가 없는 동안, 내가 시키는 일을 잘할 수 있도록 단잠으로 기력을 보충하지 않고 감히 건방지게(다소과격한 표현이다) 내가 허락하지도 않은 향락에 빠져 있었단 말인가요?" 이렇게 고압적인 언사를 들어 본 적이 없는 타자 역시 화가 나서 대꾸했다. "말씀 한번 잘하시네요, 부인(정색하고 말한다는 것을 보여 주고자 이런 식의 표현을 쓰는 것이다). 덕성과 품위가 뚝뚝 흐를 만큼 말씀 한번 잘하시네요. 당신이 나를 못마땅해하는 건 내게는 없는 당신의 몽상과 망상 때문 아닌가요? 당신은 왜 그 자리에 없었나요? 혼자 그렇게 돌아다니면서 나를 빼놓고 즐길 권리는 도대체 어디서 난 겁니까? 당신이 천국이나 엘리시온의 뜰에서 사람들을 만나고, 머리에 든 거 많은 사람들과 얘기하고, 홀로 심오한 사색(알다시피 이건 비아냥이다)에 빠진 것을 두고 제가 뭐라 한 적이 있나요? 공중누각과 같은 당신의 고상한 사고 체계를 가지고 뭐라 한 적이 있느냔 말입니다. 당신이 나를 그렇게 내팽개친 동안 자연이 허락한 호의와 즐거움을 누릴 권리가 내게 없다는 말인가요?" -39.영혼과 동물성의 대화, 중
*영혼을 의미하는 프랑스어는 여성형 명사이므로 ‘부인‘이라는 호칭을 쓰는 것이다. - P1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