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있는 주제가 특집기사일때 기획회의를 가끔씩 산다. 일반인으로 책을 좋아하는 것이라 출판관련 주제는 관심이 아니지만, 도서 주제를 다룰 때면 하나씩 구입하는데, 기획회의453호는 2017년의 출판계 키워드를 몇 개 추렸다. 어떤 책들이 관심을 받았는지 알아볼 수 있는 기회다.  


일단 뭐니 뭐니 해도, 촛불혁명과 그로 인해 새로운 대통령이 선출되었다는 것이 가장 큰 주제임이 틀림없다. 나도 '적폐'라는 주제로 <삼성독재>,<권력과 검찰>,<권력과 언론>, <국세청은 정의로운가>라는 책을 읽었다. 

이 주제는 상당기간 지속되어야 할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벌써부터 언론들은 문재인 정부 흔들기에 나섰고, 정치혐오를 심고있다. 

<주적은 불평등이다>는 '불평등' 주제 읽기때 읽어보려 생각중이다. 


촛불의 힘으로 새로운 정부가 들어섰다는 것만으로, 곧장 삶 자체가 변하는 것은 아니다. 우리의 민주주의를 어느 지점에서, 어떻게, 무엇에 기대어서 이룩할 수 있는지는 무한한 과제로서 여전히 남아 있다. 따라서 정치, 경제, 사회, 생활 전반에 걸쳐 새로운 삶의 원리를 성찰하고, 세상을 바꾸는 실천을 북돋우는 꾸준한 노력이 필요하다. 편집자들의 발 빠른 대응 속에서 이와 관련한 책들이 거의 매주 쏟아졌다. 이현재와 이원재의 『국가가 할 일은 무엇인가』(메디치미디어) 를 시작으로, 이정전의『주적은 불평등이다』(개마고원), 최강욱의『권력과 검찰』, 박성제의『권력과 언론』(이상 창비) 등이 국가와 사회와 경제의 주요 쟁점들을 따졌고, 김상봉의『네가 나라다』(길), 박상훈의『민주주의의 시간』(후마니타스)과『정치가 우리를 구원할 수 있을까』(이음) 등은 이 문제를 어떻게 성찰할 것인가를 보여주었다. (29-30쪽)


         


         




2017년의 화두 중의 하나는 바로 '김지영'일 것이다. 읽으면서도 이걸 소설이라고 부를 수 있을까라는 의문과 함께, 소설의 형식을 빌린 르포가 필요한 시점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었다. 어쩌면 노골적으로 써내려가야만 할 사회라는 점도 무시할 수 없다. <82년 김지영>을 중심으로 <다른 사람>, <아내들의 학교>를 함께 구매했고, <쇼코의 미소>, <현남오빠에게>도 관심두고 있는 책이다. 

페미니즘 읽기는 1차로 레베카 솔닛의 <남자들은 자꾸 나를 가르치려 든다>, 우모페 신드롬을 낳은 <우리는 모두 페미니스트가 되어야 합니다> 및 여성혐오를 다룬 몇 책을 읽으며 기본적인 개념은 잡았다. 다만 현재의 메갈리아 등을 봤을 때 페미니즘을 어떻게 봐야 할지 망설여지는데, 한번의 공부가 더 필요하다는 생각이다. 

1980년대에 태어난 내 또래들 중에는 지영'이라는 이름을 가진 여자아이들이 많았다. 어린 시절부터 같은 반에 꼭 한두 명씩은 있었고, 내가 언젠가 좋아했던 누구누구의 이름도 그랬다 지금은 왠지 그 이름을 보기가 어려워졌다. 

...

그많던 김지영 씨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하는 물음에 답해준 것이 조남주의 82년생 김지영』(민음사)이다. 이 책은 우리 주변에 있는 평범한 젊은 여성들을 한 세대 전체를 호출해냈다. 어디에서 어떻게 살아왔는지 그들의 이름처럼 사라져버린 그 서사를 기록했다. 사실 무언가 대담한 전략이라고도 할 수 있겠는데 여기에 많은 여성들이 “나도 김지영”이라며 공감을 보 냈다. 이 책은 조남주 개인의 것이라기보다는 2017년에 이미 그러한 장이 마련되어 있었고 여기에 그가 첫 이정표를 남겼다고 할 수 있다. 

2017년의 김지영들은 저마다 “나도 여기에 있고, 거기에 있었다라는 자기서사를 드러냈고, 그 경험과 기록들이 책으로 쏟아져 나왔다. 어느 여성은 올 한해 자신이 공저자로 참여한 페미니스트 관련 도서가 7권이 된다고 페이스북에 포스팅을 하기도 했다『페미니즘 리부트(나무연필),『그런 남자는 없다(오월의봄),『소녀들(여성문화이론연구소),『페미니스트 모먼트」(그린비), 『그럼에도 페미니즘」(은행나무),『대한민국 넷페미』(나무연필),여성괴물, 억압과 위반 사이』(여성문화이론연구소) 등이다.  2017년 페미니즘 관련 책의 경향 중 하나는 이처럼 목소리가 모인다는 점이다. 어느 한 운동가가 지침을 내리고 현상을 규정하기보다는, 여러 여성들이 함께 각각의 언어로 글을 써 책으로 묶는다. 얼마 전 출간된『현남 오빠에게』(다산책방)도 그러한 경향을 충실히 따랐다 여성 작가 조남주, 최은영, 김이설, 최정화, 손보미, 구병모, 김성중, 7인이 함께 참여한 소설집이다. (3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