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메시스>라는 이름의 이 책은 호메시스 이론을 설명한다. 


 저자는 건강검진에서 비만과 GGT수치와 당뇨병발병률과의 통계자료에 흥미를 느껴 연구를 시작했다. 그 과정에서 말도 안되는 이론이라며 수 차례 무시를 당하기도 한다. 기존의 상식과 어긋난 결과들을 토대로 연구하다가 저자는 호메시스 이론과 일치하는 것을 밝견한다. 

  

 호메시스는 기존에도 소개된 바 있는데, 적절한 자극이 좋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호메시스 이론은 아직까지는 정설이라고 보기 어려운 점이 있다. 

 

 방사능과 관련해서는 호메시스 이론에 대한 반론이 만만치 않은 것이다. 

호메시스 가설은 일본의 저선량 피폭자들이 장수하거나, 자연방사선이 높은 중국 서부와 콜로라도 주민의 암 발생이 평균보다 약간 낮다는 사실을 설명하기 위해 나왔다.
 
1980년대 중반엔 노벨상을 받은 세포유전학자 셸던 월프가 ‘적응 반응’ 설을 제기해 주목을 받았다. 한 세포는 저선량과 고선량의 방사선을 차례로 쏘이고 다른 세포는 고선량만을 쏘였을 때, 앞의 세포가 훨씬 디엔에이 손상을 덜 입는다는 것이다. 이는 저선량 방사선이 세포의 디엔에이 복구 효소를 강화시켰기 때문으로 풀이했다.


방사선 호메시스 연구는 1990년대 말 전성기를 맞는다. 하 교수는 미국 에너지부가 1997년부터 2003년까지 1억 달러를 호메시스 연구비로 내놓은 것이 관련 연구 증가에 큰 영향을 끼쳤다고 설명했다. 에너지부는 원자력발전을 추진하는 부서이다.
 
그런데 호메시스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뜻밖의 결과가 나왔다. 콜롬비아 대 홀 등은 1999년 세포에 알파선을 쏘이는 실험을 하다가 조사된 세포뿐 아니라 그 이웃에 있던 세포까지 손상을 입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를 싸움 구경하다 돌 맞는 데 비유해 ‘구경꾼 효과’라고 부른다. 
 
이 현상은 방사선에 쏘인 세포에서 해로운 분자가 스며 나와 이웃 세포에도 해를 끼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저선량 방사선의 알려지지 않은 위험이 드러난 것이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8&aid=0002089608


게다가 극미량의 방사능이라도 인체에는 유해하다고 말하는 전문가들이 여전히 많다. 


<호메시스>라는 책을 읽었지만, 일단 판단 보류다. 그리고 추천도 하지 않는다. 아직은 검증할 것이 많을 수 있다는 생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