힐러리 클린턴 - 페미니즘과 문화전쟁
강준만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1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국 대선 전에 강준만의 [힐러리 클린턴]을 구매하고, [도널드 트럼프]는 도서관에서 대출했다. 대선 전이었고, 당연히 힐러리가 대통령에 당선될 것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결과를 보면 반대로 했어야 했다.)

 

[도널드 트럼프] 읽기에 이어 [힐러리 클린턴] 읽기는 상당히 더디었는데,

나라, 회사, 집안일이 모두 엉켰기 때문인데, 무엇보다 박근혜 게이트로 다른 곳에 집중하기 힘든 게 좀 컸다.

 

강준만의 [힐러리 클린턴]은 대선 전에 출간되었지만, 미국 대선과 관련하여 많은 생각할 거리를 던져준다. 뿐만 아니라 한국에서 피상적으로 느끼는 것과 달리 힐러리가 굉장히 오랜, 그리고 많은 싸움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비단 이메일 게이트 뿐만 아니라 건강문제를 물고 늘어지는 반대세력들과 싸움과 더불어 여성에 대한 이중구속과의 긴 싸움을 해야 했다.

 

힐러리 클린턴은 당찬 여자임에 분명하다. (이런 표현 또한 남녀 차별적인 생각이다. 강준만은 유독 힐러리에게만 완벽해 보이는 이미지가 약점으로 작용하고, 차가운 이미지가 부각되는 점에 대한 여성의 이중구속을 지적한다.) 대학시절 부터 실제 정치에 참여하기도 했다. 그리고 실제 빌 클린턴의 선거와 더불어 주지사, 대통령직을 수행할 때도 동반자를 넘어 빌 클린턴을 주도할 정도였다.

 

실패를 모르던 그녀 였지만, 버락 오바마와의 민주당 경선에 그녀는 지속적인 열세를 벗어나지 못했다. 후원금도 오바마에 미치지 못했고, 언론 역시 오바마에 대한 노골적인 지지를 보냈다. 뿐만 아니라 그녀는 여기서 보이지 않는 큰 장벽 '여성'이라는 약점과의 싸움에 직면했다.

 

스타이넘은 "흑인인 오바마를 지지하는 것은 인종 통합이고 여성인 힐러리를 지지하는 것은 남녀 갈등 조장이라니 말이 되는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

스타이넘이 특히 표적으로 삼은 것은 힐러리처럼 잘난 여성에 환호하는 여성들에 대한 따가운 시선이었다. 스타이넘은 오바마를 찍은 아이오와주 남성 유권자들이 같은 남성'을 찍는다는 점을 의식하지 않는 반면, 힐러리를 찍는 여성들은 같은 여성이므로, 또는 페미니스트 시각에서 찍었다는 오해와 함께 편협하다는 비난을 받아야 한다는 점이 우려된다고 주장했다. (270~271쪽)

 

 

오바마의 뒤를 이어 민주당 후보에 오른 뒤 전반적인 언론은 그녀의 편이었지만, 보이지 않는 남녀차별의 굴레는 여전히 그녀를 속박했다. 힐러리를 따라다닌 비난 중에 하나가 '힐러리의 권력욕'과 표리부동이었다.

"TV에 나타나는 클린턴의 얼굴을 보라. 인간이라기보다 선수(프로페셔널)'란 느낌이 들지 않는가 클린턴은 완벽에 가까운 인물이다. 늘 부지런하고 계획적이며, 목표에 집중하고 주변에 대해 의심의 끈을 놓지 않는다. 하지만 우리 같은 사람이 아니라 워싱턴 정치 머신에 속된 하나의 기관으로 느껴질 뿐이다. 클린턴은 인간적인 면모를 숨기고 공적인 모습만 비치려는 스타일 때문에 사생활에 관심있고 개성을 중시하는 SNS 시대 정신과 정면으로 충돌할 수밖에 없다. 미국인 대부분이 살아온 경험과도 충돌한다. 미국인들은 업무를 벗어나 개인적인 시간을 보낼 때 생기를 되찾고 살아 있음을 느낀다. 클린턴은 그 반대다. 그러니 당연히 많은 미국인에게 클린턴은 교활하고 권력 지향적인 마키아벨리로 여겨질 수밖에 없다.” 

 

꽤 설득력 있는 주장이지만, 이 주장은 여전히 무의식의 세계에서 남녀차별 의식이 있는 유권자들의 감성을 절대적 기준으로 삼을 때에만 설득력을 가질 뿐이다. 힐러리와 유권자들 사이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 언론인 역시 그들이 갖고 있는 여성에 대한 고정관념에 근거해 힐러리를 보겠다고 들면 말릴 방법이 없다. 예컨대, 힐러리에게 인간적인 면모가 부족하다는 비판에 대해 리베카 보해넌Rebecca Bohananol 제기한 다음과 같은 항변은 그런 고정관념에 대한 재고 를 요구하는 게 아닐까? 

 

"아무도 버니 샌더스에게 미소 지으라고 하지 않았다. 여성들에게 미소 지으라는 말은 그만하라. 힐러리의 수락 연설 중 버니 샌더스가 얼굴을 찡그리며 짜증스럽게 숨을 내쉬는 모습이 카메라에 잡혔다. 나는 그의 유치한 행동을 비난하는 뉴스 기사수백 개가 쏟아질 줄 알 있다. 그런데 단 한 개도 없었다. 뭐, 그건 괜찮다. 그러나 전 세계 남녀들이여, 내가 기분 좋지 않은 날 얼굴을 찌푸리고 길을 걸어갈 때, 또는 힐러리가 벵가지 소식 같은 끔찍한 일을 들으며 얼굴을 찡그린 게 카메라에 잡혔을 때, 샌더스에게 보여주는 것과 같은 예의를 차리고 나나 힐러리에게 미소 지으라고 말하지 말길 바란다. 422-423

 

물론 힐러리가 정치적으로 완벽하거나 하지는 않다. 어린 시절 부터 권력욕이 남달랐던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힐러리에게만 권력욕을 비난하는 것은 온당하지 않아 보인다.

 

책을 다 읽고 나면, 그리고 맺음말을 읽고 나면 앞에 나온 많은 이야기들이 여성에 대한 이중구속과 결부되어 있다는 것을 알게된다. 사실 책은 힐러리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들려준다. 아칸소 주에서 있었던 정책들을 보면 민주당이 반대하는 정책들을 펼쳤다. 그녀와 빌 클린턴의 정책이 상당부분 보수적이었다. (빌 클린턴 재선때는 공화당의 정책들을 이미 선점해버려 공화당은 이슈를 만들어내지 못했다.) 그리고 고액 강연 및 고액기부 역시 힐러리의 약점이었다. 그런데 이런 문제가 단순히 힐러리 만의 문제는 아니라는 데 있다. 오바마 대통령 또한 당선 후 첫 정책이 대기업 규제완화였다. (대기업으로 부터 엄청난 선거자금을 후원받았다.) 

 

우리가 2016년 미국 대선과 관련해 누가 이기고 지는가 하는 승패의 문제를 넘어서 좀더 많은 의미를 끌어내고자 한다면, 힐러리의 문화 전쟁에 주목해보는 게 좋을 것 같다. 그간 미국에서 문화전쟁은 주로 좌우 이념적 차이 중심으로 다루어져왔지만, 나는 여기서 그 의미 를 확장시켜 힐러리가 투쟁해온 문화전쟁의 전선은 모두 5개였다는 논지를 펴고자 한다.

 

 첫째, 진보-보수 갈등의 이념 전선이다. 둘째, 남녀 차별을 넘어서려는 페미니즘 전선이다. 셋째, 매우 강한 권력의지 또는 권력욕을충 족시키려는 권력 전선이다. 넷째, 자신을 아웃사이더로 간주해 좌우 를 막론하고 기득권 체제에 도전한다고 믿음으로써 독선을 정당화하는 소통 전선이다. 다섯째, 고위 공직자로서 공적 봉사와 자신의 리무진 리버럴 행태 사이에 아무런 갈등이 없다고 믿는 위선 전선이다.

 

... 모든 전선이 상호 연결되어 있는 동시에 페미니즘과 관련되어 있다. (19-20쪽)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6-12-08 10:0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2-08 23:29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