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시대의 경제학>이라는 책에서 '인구구조 배당금'이라는 재미있는 개념이 등장한다.

 

개발도상국의 고령화 속도에서 비롯되는 물질적, 재정적 효과도 있다. 선진국은 오랜 시간에 걸쳐 부를 축적하고 산업 및 사회 기반시설을 확립했으며 제도를 마련하고 소득 수준을 향상시켜 왔다. 지금 선진국이 고령화로 인해 영향을 받고 과제를 안게 된 시점에 이른 이면에는 이러한 역사적 배경이 있다. 반면, 개발도상국은 중위 연령이 높아지고 노인 인구는 급속도로 늘어나며 소득과 경제 발전 수준이 훨씬 낮은 상 태에서 노년층 부양비가 급격히 높아지게 된다

개발도상국은 대부분 아직 사회보장 제도나 연금 제도가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았고 초보적인 수준의 의료보험 제도만 있을 뿐이다. 물론 앞으로 30여 년에 걸쳐 빠른 경제 성장을 이룩하면 고령 인구를 돌보고 의료보험을 제공할 수 있는 제도를 빠른 시일안에 구축할 수 있다는 희 이 있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경제 수준이 향상되기 전에 고령화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저소득, 사회적 갈등, 빈곤으로 인해 고령화 문 제에 대해 당장 대처하지 못하면 정작 고령화했을 때 고령화 자체가 경제 발전의 발목을 잡을 것이다

....

그러나 적어도 당분간은 대부분의 개발도상국이 인구 구조 배당금의 혜택을 계속 누릴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과 인도, 브라질, 터키, 멕시코, 아르헨티나 같은 신흥시장은 노동력 공급이 팽창하고 도시 근로 인구가 늘어나면서 계속해서 강력한 경제 성장률과 사회 발전을 이룰 전 망이다. ...

인구 구조 배당금의 핵심 요소는 (적어도 당분간은) 출산율 하락과 이로 인해 경제 활동 인구에 대한 유년층과 노년층 부양비가 낮아지면서 나타나는 효과다. 21세기 중반에 가까워지면 지속적으로 출산율이 하락 하면서 인구 구조 배당금은 오늘날 선진국의 경우와 마찬기지로 인구 구조 적자로 바뀌게 된다. 출산율 저하로 새로이 노동 인구 집단으로 유입되는 노동력이 줄어들기 시작함과 동시에 은퇴 연령이나 육체노동의 한계에 이르는 사람들이 늘어나게 된다. 그러나 당분간은 전체적으로 워큰층과 노년층 인구가 낮은 부양비를 보이면서 계속 경제적 결실을 맺게 된다. (206-20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