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혐오가 어쨌다구? - 벌거벗은 말들의 세계 우리 시대의 질문 2
윤보라 외 지음 / 현실문화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떻게 보면 이전의 우리나라는 여성차별의 시대였다. 여성차별이 약화된 - 실제로는 여전한- 시대에 여성차별은 여성혐오로 대체된다. 기존에 나쁜 여자의 이미지가 있었다면 '김치녀', '김여사'로 대변되는 여성은 혐오의 대상이다.

 

 흥미로운 것은 '나쁜 여자'와 '착한 여자라는 이분법적 구분 자체가 흐려진 현 상황이다. 여성을 성녀와 창녀로 나누어 보상과 처벌을 반복하는 것은 가부장적 사회질서가 여성을 통제하는 매우 오래된 방식이지만, 현재의 '여성 혐오 현상은 거의 모든 한국 여 성들을 '나쁜 여자로 만든다, 2006년에 등장한 '된장녀' 담론과 현재의 김치녀, 담론을 보라 "모든 여성은 아니지만 일부 여성들이 분수에 맞지 않는 사치를 부린다는 궁핍한 이유로 굳이 스타벅스 커피잔을 들고 다니는 여성을 색출해왔다면, 이제는 그럴 필요조차 사라졌다 김치녀라는 말이 내포하듯 이제 한국의 모든 여성이 '나쁜 여자의 몇 가지 유형 안에 꼼짝없이 갇혀버렸다. 이 유형들은 마치 거푸집과 같아서 여성 전체를 엇비슷한 방식으로 찍어낼 수 있게 되었다. 지금과 같은 구도 속에서는 어떤 여성도 이 거푸집을피해갈수가 없다. (17쪽)

 

실제 여성혐오는 광범위하다. 진보적인 팟캐스트도 여혐에서 자유롭지 못했고, 젊은 진보 작가들의 여성폭력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기도 했다. 게다가 여성혐오를 양산하는 이벤트들은 조작된 경우도 심심치 않다. 사실확인에 앞서 여성이라는 이름으로 단죄를 하고 끝나 버린다.

 

그리고 이 여성혐오는 지난한 싸움이다. 지속적인 동일한 혐오에 동일한 대응. 정희진이 이야기하는 '낡은 새로움'은 이 싸움에 걸맞는 언어다. 그리고 그 안에는 남성실업의 일상화가 도사리고 있다. 자본주의 체제의 위협이 여성에 대한 혐오로 나타난다.

 

우리는 언제나 처음부터 시작해야 한다. '같은 억압'에 반복해서 대응해야 하고, '같은' 이야기를 반복해야 한다. 나는 이 고통을 거부한다. 그러므로 여성 혐오 현상에 대해서 대응하지 않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평생을 자신과 자신이 속한 집단에 대한 모욕에 대응하면서 인생을 낭비하는 것이야말로 그들이 원하는 것이다. 미국처럼 사법상 혐오 범죄 hate crime 규제를 법제화하 거나 국가가 해결할 일이다 그러나 한국사회는 언제나 피해자가 나서야 하고, 가해자는 표현의 자유를 외친다. 
그러나 공중파 방송에서의 노골적인 발화는 다르다 그래서 나는 이런글을'또' 쓴다. 물론 작금의 여성혐오 현상은 남성 실업의 일상화, 즉 자본주의의 질적인 변화와 매체 환경의 급격한 변화와 맞물린 시대적 배경이 있지만, 나는 기본적으로 지금 벌어지는 일련의 현상을 낡은 새로움이라고 본다. 여성 혐오, 약자 혐오, 피해자 혐오에 대해 한국사회는 유독 관대하다. 자신과 체제에 대한 분노를 약자에게 투사하는 방식, 생각하지 않아도 되는 문화, 모든 계급 갈등을 봉합하는 막강한 남성 연대 종속적 남성 입장에서는 패권적 남성에 대한'짝사랑. (98쪽)

 

그리고 그 차별, 혐오의 역사는 오래되었다.

젠더를 쉽게 생각하면 안 된다. 성별은 인류가만든위계와 불평등 중 가장 오래된 제도다. 이렇게 장구한 역사 때문에 제도라는 생각은 사라지고 자연스러운 문화, 무의식, 인간 몸의 일부로 체화 되었다. 그래서 수많은 차별적 제도, 인간의 모든 지배와 피지배 관계의 모델이 된 것이다. 계급, 연령, 인종적 소수자, 환자, 장애인이나 성소수자 같은 사회적 약자에 대한 무시와 억압, 착취, 혐오는 남성이 여성에게 한 행위를 기준으로 삼고 '배운' 것이다. (115쪽)

 

여성 뿐만이 아니다. 성소수자의 혐오 역시 이에 크게 다르지 않다.

여성 혐오와 성소수자 혐오에는 공통의 기반이 있다. 성별 고정관념과 정상 가족 이데올로기가 그것이다. 성소수자들의 존재는 여성 차별적인 성별 고정관념과 가족 제도를 위반한다. 여성들의 삶의 변화가 여성의 평등과 해방을 위한 열망으로 분출했을 때마다 성소수자들도 운명의 변화를 꿈꿨던 것은 우연의 일치만은 아니다. 여성 혐오는 단지 비뚤어진 인식과 언어의 문제가 아니라 형식적인 평등 이미지로 인해 기만적으로 은폐되는 체계적 차별과 폭력의 문제다. 한국사회에서 성소수자들은 시민성조차 인정받지 못하는 현실이기 때문에 혐오의 파괴적 영향을 좀 더 극적으로 보여주는 위치에 있다. 다른 한편에서, 오늘날 여성 혐오 현상은 성소 수자 운동의 목표와 전략에 중요한 교훈을 던진다. 제도적 인정과 형식적 평등만으로는 천대와 혐오를 없앨 수 없다는 것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230쪽)

 

결국 여성에 대한 혐오는 소수자에 대한 혐오와 연결되어 있다. 민주주의가 위협받을 때 사회문제의 원인을 소수자에 돌려버리는 것이다. 살기가 점점 힘들어질 때 소수자에 대한 마녀사냥으로 그 출구를 찾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에 대한 해결책은 법적 규제와 더불어 민주주의를 지키는 것이 필요하다. 민주시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