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라센의 읽기 혁명 - 세계 최고의 언어학자가 들려주는 언어 학습의 지름길
스티븐 크라센 지음, 조경숙 옮김 / 르네상스 / 201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주제는 분명하다.

자발적인 읽기는 유일한 언어 학습법이다.

 

저자인 크라센은 실증적인 연구를 통해 읽기가 가장 중요한 언어학습법임을 보여준다. 언어는 너무 복잡해서 공부를 통해서 배우기에는 한계가 있다. 특히 여러 의미를 갖는 단어들은 책 속에서 익히는 수 밖에 없다.

 

그래서 필요한 것은 책을 읽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다. 누구나 알만한 이야기다. 단순히 이 책이 읽기만 이야기한다면 그냥 그런 학습법 책과 차별점이 적을 것이다. 하지만 이 책의 장점 중의 하나는 읽기라는 것이 중요한 학습법이기 때문에 저소득층에게 좋은 방법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을 방기하면 안된다고 이야기한다.

 

교사들은 가난한 가정환경에서 자라는 공부 못하는 학생들을 가르치기 싫을 것이다. 그러나 그 아이들을 외면한다면 학교는 더 이상 학교가 아니다. 병원에서 건강한 사람만 받으려고 하고 아픈 사람은 외면하는 셈이다. 학교라는 곳이 학생들의 실력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오히려 돌이킬 수 없도록 벌어지게 만들고 있다.(63쪽)

 

아이들이 책을 쉽게 접할 수 있어야 하고 책을 읽기에 적합한 아늑하고 편안한 장소가 있어야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이러한 환경을 갖추지 못하고 있는 학생들이 많이다.

이러한 요건을 갖춘 장소로 도서관이 있다. 책을 쉽게 접하기 어려운 학생들이 많은 현실에서, 리터러시의 발달에 읽기가 매우 중요하다는 논의가 옳다면 도서관은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74쪽)

 

뉴먼과 첼라노는 "중산층 가정의 아이들은 대체로 광범위한 읽기 환경에 노출되지만 가난한 지역의 아이들은 적절한 읽기 환경을 적극적으로 꾸준히 찾아내야만 한다."라고 결론을 내렸다.

이와 같은 엄청난 차이를 볼 때, 빈곤 가정 아이들에게 음소 인식 및 음철법을 가르쳐야 한다고 주장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무엇보다 우선순위에 두어야 할 것은 아이들에게 읽을 수 있는 책을 쥐어주는 일이다.(80쪽) 

 

저소득층이 많은 지역에 작은 도서관을 많이 짓는것도 한 방법을 수 있겠다. 그런면에서 건축가 고 정기용의 작업 '기적의 도서관'은 훌륭한 도서관이다. 기존의 도서관이 조금 접근하기 힘들었다면 편하게 책을 읽을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처음부터 어린이들이 도서관을 편하게 생각할 수 있게 만들었다.

 

작은 도서관을 만들고 사서를 확충하는 것은 어떨까? 부모나 친지 혹은 사교육을 통해서 책을 많이 접해본 아이들이 아닌 저소득층 아이들이 책에 대한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말이다. 어쩌면 도서관과 책읽기는 저소득층에게 줄 수 있는 단하나의 교육복지가 아닐까 싶다.

 

다시 책으로 돌아가보면, 저자는 문학책 읽기의 중요성을 이야기한다. 동의하는 바다. 사실 다른 종류의 읽기는 독해 정도이라면 문학은 상상력을 열어주고, 언어를 풍성하게 해준다. 언어는 생각의 집이라는 말처럼 언어가 풍성해지면 그만큼 풍성하고 정교한 생각을 할 수 있다. 문학을 잘 이해하는 것은 물론이고,

나는 언어 수업시간은 기본적으로 문학 수업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정해진 책 읽기와 스스로 골라읽기는 상호보완 역할을 할 것이다. 문학을 통해서 학생들은 지적으로 성장할 것이며 더 많은 범위의 다양한 책에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스스로 책을 더 많이 읽게 된다. 사실상 문학 프로그램이 효과적인지 알 수 있는 방법은 문학 수업을 받은 학생들이 자율 독서를 더 많이 하는가에 달려 있다. 결국 자발적 독서는 언어 능력을 발달시키고, 지적 성장에 기여하며, 문학의 의미를 더 잘 이해하게 해준다.(169쪽)

 

하지만 저자가 문학책 읽기만을 이야기하지는 않는다. 저자는 TV나 만화책이 해악이라는 연구결과는 근거가 부족하다고 말한다. 특히 만화 같은 경우는 고급단어가 사용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만화책 읽기도 분명 도움이 된다고 이야기한다.

 

글쓰기에 대해서도 언급한다. 쓰기가 글연습에 그리 큰 도움은 되지 않는다고 지적하지만 글쓰기의 주된 목적인 자신의 생각을 분명히 할 수 있는 도구로 쓰기를 강조한다. 쓰기 전까지는 자신의 생각에 대해서 잘 정리가 안된다.

비록 쓰기가 문체를 발달시키는 데 아무런 도움을 주지 않지만 다른 장점을 가지고 있다. 스미스가 지적한 것처럼 우리는 적어도 두가지 이유 때문에 쓰기를 한다. 첫째, 우리는 다른 사람과 의사소통하기 위해 글을 쓴다. 둘째, 자신의 생각을 좀 더 명백히 하고 마음을 다잡기 위해 쓴다. 사실은 두 번째가 더 중요하다. 글을 쓴다는 것은 궁극적으로 자신을 위한는 일이다. (155쪽)

 

이 책이 아주 읽기 편한 책은 아니다. 읽기의 중요성을 설명하기 위해 어떤 연구들이 있었는지를 설명한다. 그리고 교수법을 알려주 듯 하다. 책을 들고 끝까지 읽어나갈 재미는 부족하다. 하지만 읽기의 중요성을 알리는데는 충분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