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뚱뚱해서 행복한, 보테로
이동섭 지음 / 미진사 / 2010년 9월
평점 :
절판
이전에 보테로 전시에 가지 못했을 때 무척이나 아쉬웠다. 보테로의 그림을 보는 순간 확 그림에 빨려들어갔기 때문이다. 이건 뭐지.. 도대체 왜 이따위로 그리는거야 라며 혼란에 빠졌다.
그리고 2015년 드디어 그의 작품을 만났다. 왜곡되어있지만 오히려 더 사실감 있게 다가왔다.
그는 왜 그런 그림을 그린 것일까?
추상이 대세이던 시기였지만, 이처럼 보테로는 고전 화가들의 작품을 파고들었다. 미대 교수들은 그에게 고전을 따라할 게 아니라 그만의 스타일을 찾으라고 했지만, 그는 그보다 더 시급한 문제가 있었다. 바로 회화란 무엇인지, 회화의 근본적인 체계는 어떠한지에 대한 자신만의 답을 찾고 싶었던 것이다. (18쪽)
그리고 답을 찾는 과정에서 라틴 문화가 담겨있다. 그는 콜롬비아 출신이다.
보테로가 추상보다 인물화를 좋아한 데에는 또 다른 이유가 있다. 그는 인물화야말로 자신의 뿌리인 남미 문화의 전통과 연결된다는 점을 분명하게 알고 있었다. 이는 유럽에 머물던 내내 남미 예술가들과 지속적으로 교류하며 남미 문화의 정체성에 대해 고민한 결과이기도 하다. (24쪽)
그들의 작품을 면밀히 관찰한 보테로는, 오로스코와 시케이로스의 표현주의 화풍보다는 리베라가 그린 거대한 크기의 멕시코 벽화에 더 끌렸다. 왜냐하면 벽화의 기하학적인 구조와 단순한 구성 등이 그가 좋아하는 회화 스타일, 특히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의 프레스코와 잘 맞아떨어졌기 때문이다. 바로 여기에서 보테로는 결정적인 요소 하나를 찾아냈다. 바로 그의 작품과 뗄레야 뗄 수 없는 스타일로 자리매김한 거대한 조형성이다.
사실, 인물과 대상을 거대하게 표현하는 방식은 당시 남미 화가들의 공통된 특징이다. 그중에서도 남미 벽화운동의 선구자로서, 화폭의 대부분을 전형적이고 단순화된 인물들로 채우는 리베로의 스타일은 보테로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끼쳤다.(27쪽)
사실 그의 그림이 처음부터 둥글둥글했던 것은 아니다.
1950년대의 보테로가 프레스코와 멕시코 벽화 등을 통해 대상의 비율과 크기 등을 탐구했다면, 뉴욕에 정착한 60년부터는 사람이나 동물과 같은 대상을 둥글둥글하고 풍만하게 묘사하는 '볼륨 기법'을 발전시켜 나간다. 거기에 고르고 밝은 색채, 외곽선이 뚜렷하게 보이는 형태 등 남미 민속 미술의 특징을 적극 참조했다. 60년대 초반의 작품들에서 보이는 다소 거친 붓 터치는 후반기로 갈수록 확연히 부드러워진다. 형태는 더욱 자연스러워지고 색채까지 더욱 밝아지고 깔끔해진다. ... 이렇게 60년대 후반에 이르면 보테로만의 독창적인 스타일이 완전히 확립된다.(39쪽)
그의 볼륨감 넘치는 그림에서 내가 보고 싶었던 것은 왜 그렇게 그렸을까이다. 아름답기만 한 다른 유명 대가의 작품보다 그의 그림에 확 빠져든 것도 그런 느낌이다.
그는 단지 볼륨감 있게만 그림을 그린 것은 아니다. 그의 그림의 바탕에 라틴 문화가 있었던 것처럼 최근의 그의 작품은 전쟁과 학살과 아픔이 담겨있다.
총에 맞은 사람역시 볼륨감있다. 웃기게 보이기 보다는 오히려 냉정하게 그림에서 나오게 된다. 단순히 그림에 매몰되는 것이 아니라 아 .. 맞다. 지금 이런 일이 있지.
볼륨감 넘치는 그림 스타일로 인해 보테로가 삶의 쾌락과 즐거움만을 그린 화가라고 오해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의 작품 세계에 깊게 뿌리 내닌 조국 콜롬비아가 마약과 폭력으로 얼룩지기 시작한 1990년 후반부터, 그의 작품들은 납치, 학살, 고문, 죽음과 같은 아주 현실적인 주제를 적극적으로 드러낸다. 그리고 이전의 작품들에서 보이던 유머나 여유는 사라지고 어두운 분위기가 짙게 드리워졌다.
최근에도 이와 유사한 주제를 그렸는데, <아부 그라이브Abu Ghraib> 시리즈가 그것이다. 이 작품을 통해 보테로는, 이라크 전쟁의 산물인 아부 그라이브 교도소에서 벌어진, 이라크 죄수들에 대한 미군의 잔혹한 고문 행위를 고발하고 있다. 이 시리즈를 통해 삶과 풍만함에 대한 보테로의 찬양은 잔인함과 고통에 대한 증오와 짝을 이루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174쪽)
전시에서는 그의 최근작들을 보지못했다. 보테로의 최근 그의 그림들을 볼 수 있는 좋은 책이다. 꼭 재출간되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