즉 아바도는 가장 상업적이지 않은 지휘자였으며, 위의 지휘자들에 비해 인기가 없는 편이었고, 더불어 세계의 메이저 레코드회사들이 선호하지 않는 사람이었다. 그렇다면 사실 아바도의 선출은, 그의 고향 밀라노의 한 신문이 논평한 것처럼 "아직 죽지 않은 음악계의 엄정함과 진지함의 표시"라고 할 수 있다. 진정 그는 요즘과 같은 공연계에서 드물게 돈과 명예보다는 진정한 예술행위와 후진에 대한 관심을 앞세우는 순수한 인물이다. (내가사랑하는클래식2, 박종호, 251쪽)

 

그래서 내가 아바도를 멀리 했었나 보다. 인기가 없는 편이었고, <내가사랑하는클래식>의 저자 박종호가 이야기하는 "돈과 명예보다는 진정한 예술행위와 후진에 대한 관심을 앞세우는 순수한 인물"은 예술가에게 주어지는 최대의 찬사가 아닌가 싶다. 이제라도 아바도가 내 관심사에 들어온 것은 나에게는 큰 영광이다.

 

일단 그에 대한 책을 찾아보는데 아바도만을 다룬 책은 없다. 그나마 그가 좀 자세하게 다루어진 책을 찾아본다면 아래와 같다.

 

      

 

 <세계의 오케스트라>는 회사에 두고 다니면서(회사에 있는 시간이 거의 대부분이니) 가끔씩 보는 책인데 아바도에 대한 부분은 베를린 필하모닉과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편에 있다.

 

        

 

<안동림의 불멸의 지휘자>를 구매를 안했던가. 기회를 봐서 주문을 넣어야 겠다. <지휘의 거장들>은 모르던 책인데 발견하게 되어 기쁘다. 전문가가 평가하는 지휘자들을 보는 재미가 있을 것 같다. <마에스트로의 리허설>은 출간된지 얼마안된 책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김지운 2014-02-12 20: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김승열이 쓴 '거장들의 유럽 클래식 무대'에 아바도에 관한 글이 두 편 수록되어 있습니다.
아바도가 루체른 페스티벌 오케스트라를 이끌고 파리무대에 선보인 말러 교향곡 9번과, 말러 체임버 오케스트라와 아르놀트 쇤베르크 합창단을 이끌고 바덴바덴 축제극장에서 지휘한 베토벤의 '피델리오' 무대가 그것입니다.
아바도 최말년의 희귀 지휘사진들도 다량 실려 있어 생생한 감흥을 더합니다.

雨香 2014-02-12 22:55   좋아요 0 | URL
감사합니다. 찾아서 읽어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