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베스 미국과 맞짱뜨다 - 제국주의와 신자유주의의 굴레를 벗고 자주의 새 역사를 여는 베네수엘라
베네수엘라 혁명 연구모임 지음 / 시대의창 / 200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차베스에 대한 책읽기 세번째이다. 차베스 읽기는 여기에 한 권을 더 붙여 "콜럼버스에서 룰라까지"로 중남미 현대사를 대충 한번 훑어보는 것으로 마무리할 것이다.

 

차베스가 1998년 대통령이 당선되었지만, 베네수엘라의 기득권은 가만히 있지 않았다. 배후에는 미국이 있었고, 외국자본에 의한 자금에다가 언론마저 기득권이 장악한 상태였다. 영향력 없이 단순히 정부의 정책만을 전달하던 국영방송을 제외하면 미디어는 여전히 기득권을 대변하고, 차베스를 비판하고 있었다. 게다가 노조 역시 자본편이었다.

 

기득권의 첫번째 반격은 2002년 쿠데타였다. 그들은 차베스를 체포하는데까지 성공했다. 조작된 유혈사태를 지속적으로 내보내며 쿠데타의 명분을 얻고자 했고, 차베스가 사임했음을 선포했다. 그러나 차베스가 사임하지 않은 사실이 CNN을 통해 알려지고, 쿠데타 세력내에서도 분열이 있었다. 게다가 기득권 세력의 쿠데타는 차베스를 석방하라는 전국적 시위에 당황하기 시작했다. 배후였던 미국도 중동, 아프간 사태로 직접적인 지원은 없었다.

 

기득권세력의 반격은 2002년 후반 한차례 더 발생한다. 전국적 규모의 총파업으로 차베스 정권에 경제적 타격을 주는 것이 목표였다. 특히 차베스가 국영화한 국영석유회사를 중심으로 파업이 일어났다. 기득권세력과 기득권과 함께 부를 나눠갖던 노조가 함께 파업을 조장하였고, 이 파업은 베네수엘라 경제에 큰 타격을 주었다. 하지만 차베스에게는 이 파업이 기회가 되었다. 파업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파업 주동자인 기득권세력과 그들과 결탁한 관리자들을 해고하면서 석유회사 국유화에 성공한다.

 

기득권세력의 마지막 반격은 주민소환투표를 활용한 것이다. 2004년 주민소환투표를 주도했지만 결과는 차베스에 대한 재신임으로 나타났다.

 

이런 일련의 기득권 세력의 공격을 보면 분명 차베스는 독재자와는 거리가 멀다. 오히려 이런 기득권 세력의 공격으로 좀더 확고한 지지와 정책을 펴나갈 수 있는 힘을 얻을 수 있었다. 독재와 언론탄압을 했었더라면 기득권세력의 쿠데타나 총파업, 주민소환투표는 불가능했을 것이다. 차베스가 국민들의 지지를 얻을 수 있었던 것은 단순히 포퓰리즘이 아니라 국민의 절반에 해당하는 빈곤층에 대한 근본적인 개혁을 시작했기 때문이다. 단순한 원조가 아니라 일자리를 만들고,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의료혜택을 볼 수 있도록 했다. 이런 정책으로 그는 강압이나 여론조작 없이도 국민들의 지지위에 재선, 삼선에 성공할 수 있었다.

 

책은 이런 베네수엘라 상황을 보며, 한국사회에도 이런 정책이 필요하다고 역설한다. FTA, 비정규직 등으로 인해 중남미와 같이 경제적 파산을 겪을 것이라고 지적한다. 하지만 이런 지적은 분명 잘못되었다. 중남미는 빈민층이 국민의 절반이 넘을 정도의 상황이었지만, 한국은 상당수의 중산층이 존재한다. 물론 이런 중산층이 요즘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다. FTA나 비정규직이 아니라 부동산거품에 의해 대다수가 하우스푸어에 직면해 있기 때문이다. 물론 저자들의 지적처럼 우리나라도 심각한 위기에 빠질 수 있지만 그것은 베네수엘라의 상황과는 분명 다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