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명섭 한겨레신문 기자의 서평집이 출간되었다. 고명섭기자의 책 서평 혹은 소개글은 항상 눈여겨 읽고 있는데 한 권의 책으로 엮여져서 나왔다. 요즘엔 별로 시간을 쓰지 못하지만 서평집을 항상 관심있게 보는 편이다. 일단 읽지 않는 책의 경우는 책 선정의 좋은 가이드가 된다. 그리고 읽은 책의 경우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을 일깨워주기도 하고 보다 차원높은 독해법을 보여주기도 해 책 읽기가 풍성해진다.
<즐거운 지식> 고명섭 지음 / 사계절 25,00원
"<즐거운 지식>은 <한겨레> 책 담당 기자로 있는 고명섭씨가 2006년부터 써온 신간 리뷰 기사를 묶은 책이다. 오디세우스에게 세이렌은 “앎의 유혹”이었으니, 그 유혹에 넘어가면 과거와 현재의 지식을 얻을지언정 “그 자신은 미래를 저당잡히고 끝내 삶을 잃어버릴” 수도 있음을 지은이는 인지하고 있다. <즐거운 지식>의 항해에 또다른 나침반은 니체다. 니체에게 앎은 “유혹과 위험과 공포 사이를 질주하는” 항해다. 지은이의 주 관심사는 서양 철학, 또는 지금 세계 읽기를 감행하는 정치사상이다. 책은 사상, 인문, 교양 ‘세 바다’로 짜였는데, ‘사상의 바다’로 가는 항구에는 지젝, 네그리, 가라타니 고진, 데리다, 바디우, 랑시에르, 샌델, 아렌트, 칸트, 니체,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이 포진해 있다. ‘인문의 바다’에는 괴테, 밀턴, 톨스토이, 베버의 삶과 함께 프로이트와 융의 분투가 넘실댄다. 지은이에게 니체와 오디세우스가 그랬듯이, 여기 실린 187편의 책 리뷰는 ‘지식의 즐거움’에 기꺼이 가닿고자 하는 독자들에게 든든한 나침반 구실을 해줄 것 같다. "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467692.html
책 소개와 관련해 한겨레신문 월요일자 신문도 즐겨본다. 책과 관련된 기사는 토요일에 실리지만 월요일자 교육섹션에 안광복교사의 연재글이 있기 때문이다. '안광복교사의 인문학 올드 앤 뉴'라는 꼭지의 기사가 책으로 묶여져 나왔다.현재는 '안광복교사의 시사쟁점'이라는 새 꼭지가 연재되고 있다.
사회적 이슈들을 종종 다루고 있어 유용한 독서정보를 제공했는데 책으로 묶여 나오니 반갑다.
"기독교 성경을 보면, 옛 제사장들은 가축을 죽이는 일을 한 사람이 도맡아 하지 않았다고 한다. 짐승을 잡을 땐 그때그때 제비를 뽑았다. 도축이 꽤 기술이 필요한 일이었는데도, 왜 솜씨 좋은 이에게 맡기지 않았을까? 한 사람이 계속 살생을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였다. 죽이는 일이 손에 익으면 짐승이 불쌍하다는 생각도 옅어진다. 잔인해지는 것이다. 역사상 식탁이 가장 풍성한 현재는 이 사실에 눈감고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좁은 공장식 농장에서 사육되는 돼지와 이런 환경 탓에 구제역 살처분된 300만마리가 넘는 소?돼지를, 치솟는 물가보다 더 고민해본 적 있는가. 무엇을 먹어야 할지 고민하지 않았다면 우리는 이런 잔인함과 멀지 않다. 먹거리뿐만이 아니다. 어떤 지도자를 선택할지, 종교의 다원성을 어디까지 인정할지 등등 우리는 모두 고민 없이 지나치고 있다. 철학박사이면서 고등학교에서 철학을 가르치는 지은이 안광복씨는 이처럼 생활 속에서 지나칠 수 있는 ‘고민거리’를 인문학을 통해 자연스럽게 상기시킨다.
‘경제 프렌들리’, ‘아파트’ 등 한국 사회 모습뿐만 아니라 축구, 패션 등 가벼운 소재까지 50개 주제를 모은 <키워드 인문학>은 ‘생각의 근육’을 키우는 데 도움을 준다. 특히 각 주제에 대한 인문학적 고민을 쉽게 풀기 위해 지은이는 경영학이나 심리학 등의 책들까지도 인문서로 꼽아 소개했다. "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468828.html
아울러 작년 9월에 소개되었는데 아직 손에 넣지 못한 독서가로 더 유명한 장정일과 근래 '로쟈의 비행'이라는 블로그로 유명해진 이현우 책을 다시 찾아본다.
빌린 책,산 책,버린 책 - 장정일의 독서일기 "소설가 장정일씨의 독서 습관이 참 독특하다. 그는 우선 많은 책을 도서관에서 빌려 읽는다. 빌린 책을 읽다 너무 아까운 좋은 책을 보게 되면, 필히 곁에 두어야 할 책을 뒤늦게 산다. 이런 검증을 거치지 않고 산 책 가운데는 읽은 뒤 버리는 것도 많다. 그는 버릴 책은 아무 공중전화 부스의 전화기 위에 놓는 방법으로 버린다고 한다. ‘장정일의 독서일기’라는 부제가 붙은 <빌린 책, 산 책, 버린 책>의 제목은 그의 이런 독서 습관에서 따왔다. 빌리고 사고 버리면서 인연을 맺은 책 80여권이 담겨 있다.
어떻게 인연을 맺었건간에 책들은 나름대로 문제를 던지고, 지혜를 준다. 우선 책을 읽는 방식에 관한 책들은 삶의 방식을 되돌아보게 한다. 가령 그는 “300쪽짜리 책을 10여분 만에 읽을 수 있다”는 다치바나 다카시류의 속독술을 “사고의 숙성을 본질로 하는 ‘책 문화’에 대한 이해가 없다”고 비판한다. 어떤 책을 읽었는지는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도 파악하게 한다. 지은이는 이명박 대통령의 자서전 <신화는 없다>에서 이 대통령이 읽은 책의 제목을 써놓지 않았고 존경하는 스승도 거론하지 않은 점에 주목한다. 이런 점은 “모든 것을 혼자서 해낸” 이 대통령의 독불장군식 성격을 반영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440426.html
<책을 읽을 자유> 이현우 지음 / 현암사 18,000원
‘인터넷 서평꾼’으로 유명한 ‘로쟈’가 <로쟈의 인문학 서재>에 이어 두번째로 낸 서평집이다. <로쟈의 인문학 서재>가 에세이 범주에 속하는 글들을 모은 것이라면, 이번 책은 본격적인 서평집에 해당한다. 지난 10년간 각종 매체에 썼던 서평, 그의 블로그 ‘로쟈의 저공비행’에 올렸던 글들을 30개의 꼭지로 정돈했다.
.....
그는 요즘 강조되는 ‘맥락적 책읽기’를 일찍부터 보여줬다. 그의 블로그는 책과 작가에 관한 ‘위키피디아’를 방불케 한다. 시인이자 소설가 장정일이 메인 게스트로 나온 어느 ‘북포럼’에 패널로 나가 발표한 글에서 로쟈는 장정일의 작품이 읽히던 시대, 장정일의 작품세계를 따라가면서 이성복·황지우·유하 등의 시인, 마광수, 밀란 쿤데라, 노무현, 이문열, 황석영, 강유원 등을 줄줄이 떠올린다. 작년에 나온 김규항의 <예수전> 위에 한완상의 <예수 없는 교회>를 겹쳐 읽으면서 ‘혁명’이라는 키워드를 뽑아낸 뒤 에드먼드 버크의 <프랑스 혁명에 관한 성찰>, 한나 아렌트의 <혁명론>으로 나아가는 식이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009172118395&code=90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