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세상에 아무것도 남지 않는다면 어떻게 될까? 모든 인류가 멸망할까? 모든 인류가 아니라 몇몇은 생존할 수 있을 것이다. 어쩌면 어린 시절 꿈 꾸었듯이 달이나 바다속에 새로운 삶의 터전을 마련할 지도 모른다. 그러나 당장 얼마후 그런일이 펼쳐진다면?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의 작가 코맥 매카시는 이런 질문을 집어들었다. 책 뒤편에 설명되어 있듯이 어느날 아들과 함께 묵은 모텔에서 그는 세상의 모든 것들이 사라진다면이라는 생각을 갖고 이 소설을 써 내려갔다고 한다. 남아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누군가 살아있는 사람을 만나고 싶다. 그러나 누군가와 마주하는 것은 공포스럽다. 지금까지 만나왔던 사람들은 모두 호의를 가진 사람은 아니었다. 어쩌다 마주한 빈 집에 상하지 않은 통조림이라도 남아 있다면 그 날은 행운이다. 그렇다고 그 집에 머무를 수는 없다. 언젠가는 그 식량이 바닥을 보이는 순간 절망으로 떨어질 것이다. 로드를 읽는 동안 처음에는 무슨 일이 있었는지 알고 싶었다. 핵폭탄이 터진 것인지? 그렇다면 사람들이 모두 방사능에 노출되지 않았을까? 여행중에 마주친 한무리는 방독면을 쓰고 있었다. 아니면 화산폭발 곳곳에 싸인 재는 이런 상상을 설명한다. 또한 녹아내린 아스팔트위에서 죽은 사람들의 모습을 충분히 이런 상상을 가능케 한다. 그리고 또 이런 재앙이 전세계적인 것일까? 아니면 미국만의 것일까? 왜 구조대는 오지 않는 것일까? 아버지는 왜 남쪽으로 혹은 해안으로 가려하는가? 그곳의 상황은 어떻고 어떻게 알게 되었는가? 그러나 작가는 이런 궁금점에 대해 설명을 전혀 하지 않는다. 어쩌면 이런 외적인 질문은 그런 상황하에서 사치적인 것일지도 모른다. 절박한 상황, 희망이 없는 상황에서 희망을 가져야만 하는 절박함속에 어떤 일이 있었는지는 전혀 중요하지 않다. 내일보다는 오늘 하루의 생존이 더 중요하다. 죽지 못해 살고 있는 노인처럼.. 로드의 매력은 바로 여기에 있다. 불필요한 설명과 미사여구를 배제한다. 철저하게 고립되어 있는 상황만 보여 줄 뿐이다. 책을 읽어가면서 앞에서 품었던 질문들에서 벗어나 절박한 상황을 상상하게 볼 수 있었던 것도 바로 이러한 글쓰기 때문이다. 과연 내 앞에 이런 현상이 벌어진다면 나의 행동은 어떨 것인가를 끊임없이 질문하게 만든 것은 바로 지은이의 치열함 때문이었다. 그래도 희망은 있는 것일까? 희망은 있어야만 할 것인가? 사실 아버지에게는 희망이 없었다. 단지 아들의 가슴에 있는 빛을 보았기 때문이다. 아들의 희망이 또한 하버지의 희망이 되었던 것이다. 소년은 희망을 품고 있다. 그 희망은 단순히 생존이 아니다. 인간으로써 갖춰야 할 최소한의 인간성을 갖춘 생존이었다. 생존하더라도 인간성을 버린다면 그것은 희망이 될 수 없을 것이다. 인간성을 품고 모진 세월을 버텨내는 생존 그것이야말로 값진 희망이고, 로드위의 팍팍한 삶을 살고 있는 우리의 희망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