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된 정원 - 전2권 세트
황석영 지음 / 창비 / 2000년 5월
평점 :
절판


"당신도 이제는 나이가 많이 들었겠지요. 우리가 지켜내려고 안간힘을 쓰고 버티어왔던 가치들은 산산이 부서졌지만 아직도 속세의 먼지 가운데서 빛나고 있어요. 살아있는 한 우리는 또 한번 다시 시작해야 할 것입니다. 당신은 그 외롭고 캄캄한 벽 속에서 무엇을 찾았나요. 혹시 바위틈 사이로 뚫린 길을 걸어들어가 갑자기 환하고 찬란한 햇빛 가운데 색색가지의 꽃이 만발한 세상을 본 건 아닌가요. 당신은 우리의 오래된 정원을 찾았나요? "
(하권 308쪽)

황석영의 오래된 정원을 들었다. 솔직히 이런 소설은 읽기에 거북함이 앞선다. 사회에 대한 일종의 부채의식이 떠오르기 때문이다. 여하튼 간에 90년대 후반학번이라는 이유로 사회에 대한 무관심과 함께 아무런 노력도 없이 어느덧 절차상의 민주화가 진행된 이땅에 무임승차했다는 일종의 부채감을 지우기는 힘들다.

오히려 역사서적이나 사회과학서적을 읽을 때야 머리 대 머리로 이해하기에 부채감의 무게를 애써 무시할 수 있지만,소설이나 시를 대할때면 정서 대 정서로 읽히기 때문에 아무렇지도 않게 읽어내려가기엔 정서적 부채감이 크다.  

오래된 정원을 오랜시간 동안 책꽂이에 방치한 변명아닌 변명이다.

책을 읽다가 특정 사실들을 접하면 작가의 행적을 더듬는 버릇이 있다. 오래된 정원을 보면서도 오현우의 수감생활은 황석영씨의 방북사건으로 인한 5-6년간의 옥에서의 삶이 투영되었으리라는, 그리고 한윤희의 독일생활은 방북후 베를린에 거쳐했을 때의 경험이 귀한 체험으로 소설에 녹아있구나 하고 작가의 생활을 떠올려보기도 한다. 

1980년 광주 그리고 대통령 직선제, 올림픽, 동구의 몰락, 문민정부, IMF 경제체제까지 20여년 동안 사회적으로 많은 변화가 있었다. 6-70년대의 변화가 독재와 새마을 운동을 기반으로 한 닫힌 사회에서의 경제상의 변화였다면 8-90년대는 절차상의 민주화를 확보해내면서 열린 사회로의 문화상의 변화라고 할 수 있다.

80년 이후 절차상의 민주화가 확보될 때 쯤 동구의 몰락이라는 사건은 운동을 통해 사회를 뜨겁게 사랑했던 이들을 구석으로 몰아넣었고, 결국 서른 잔치는 끝났다라는 자조와 함께 IMF 경제위기에 에둘렸고, 경제위기 이후 부자아빠야 말로 아빠로서 인정받고, 20대 부터 재테크에 미쳐야하는 21세기에 황석영씨는 그 20년(오현우의 옥생활은 18년이죠)을 수감생활을 했던 한 인물을 불쑥 내밀었다.

아직도 희망은 있는 것일까? 라는 질문을 던지면서....

주인공 오현우는 70년대 지하운동조직의 수괴로 검거되어 18년만에 석방된다. 그는 18년전 사랑했던 연인 한윤희와 함께 했던 갈뫼를 찾고 그곳에서 그녀의 노트를 발견한다. 오현우는 70년대 후반 자신의 활동을 추억하고, 자신의 수감생활이후 한윤희의 눈을 통해 그리고 그녀의 삶을 통해 자신이 부재했던 세상을 기억해낸다. 그리고 둘의 희망인 딸 은결이를 만나는 장면까지..

책을 덮고선 지금 현재의 시점에서 과거를 추억해내는 모습은 지금 이 곳에서 역사를 기억해내는 우리의 모습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그리고 오현우의 삶은 그의 부재속에서도 한윤희를 통해 사회속에서 지속되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한윤희의 삶을 통해선 자신의 삶에 자신이 주인이 되어 치열하게 살아간 한 여성을 만나게 되었다.

오래된 정원은 더 나은 삶에 대한 꿈을 추구한 세대의 초상이 될 것이다(작가 후기)라는 말처럼 소설 [오래된 정원]은 읽는 이에게 그 초상을 기억하게 해 주기도, 때로는 처음 초상을 보여주기도, 그리고 실재하는 초상이 될 것이다. 

그리고 나는 정서의 짊을 한 번 탁탁 털어 구겨진곳 다시 펴내곤 깔끔하게 환기시켰다. 그 부채감을 잊지 않도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