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2011년 북아프리카와중동을 핍쓴 재스민 혁명은 기후변화 때문이었다. 블룸버그 통신은 재스민 혁명이 민주화 혁명이아닌 식량부족때문 이었다고 말한다. 2010년 엘니뇨로 인해 세계 식량 생산이 줄어들면서 식량가격이 폭등했다. 가난한 이 지역 사람들은 생계 자체가 어려웠다 결국길거리로 뛰쳐나을 수밖에 없었다, 알제리에서 시작한 재스민 혁명은 동진하면서 북아프리카와 중동을 뒤흔들었다. 리비아, 튀니지, 이집트, 시리아, 예멘 등 많은 국가의 독재정권이 무너졌다. 171쪽


왜 수많은 시리아 국민이 죽음을 무롭쓰고 유럽으로 가는 것일까? 과격한 이슬람국가의 테러와 폭력이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디. 그러나 근원적인 문제는 기후변화가 시리아 난민 사태를 불러왔다고 볼 수 있다. 시리아는 중동의 초승달 지역에 있다. 이 지역은 고대부터 가장 풍요한 지역으로 농경과 인류 문명의 주요 발상지였다. 그런데 중동에서 가장 풍요했던 지역이 최근 기후빈화로 황페해졌다. 2007년부터 2010년까지 기상관측 사상 최악의 가뭄이 발생했다. 강수량이 급격히 줄고 토양 습도가 낮아지면서 농사를 지을 수가 없었다. 시리아 국민의 40% 이상이 고향을 떠났다. 이들은 잘 곳도 먹을 것도 없는 빈곤층이 되었다. 여기에 IS의 테러가 죽음의 공포로 밀어 넣었다. 살기 위해서는 목숨을 걸고 유럽으로 가야만 했다.172-173쪽


역사를 변동시킨 동력 중에 하나는 기후다. 젖과 꿀이 흐르던 땅들이 지금은 사막이 된 곳이 있고, 문명이 번성했던 곳이 지금은 흔적만 남아있는 곳들도 있다. 이런 기후변화는 인류가 인지하고 있든, 아니든 현재의 변화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 


한편의 가변운 칼럼에서 몇 페이지에 이르는 에세이성의 글 모음집은 <반기셔야 교수의 기후와 환경 토크 토크>는 영화나 뉴스를 소재로 기후변화의 원인, 현상 그리고 인류가 짊어지고 지는 재난 등을 설명한다. 우리가 앞으로 해야 할 일에 대한 설명도 있지만, 기후변화가 가져온 환경 변화의 설명에 조금 더 신경을 쓰며 읽었다. (일단 이 부분을 기록으로 남겨둔다.)


기후변화라고 하지만 최근 한파로 고생하고 있다. 지구온난화가 아니라 더 추운 겨울을 보내고 있다. 어떤 이들은 이를 두고 기후온난화를 비꼬기도 하지만 조금만 들여다 보면 이 또한 지구온난화의 영향이다. 북극 기온이 상상하면서 북극제트기류가 힘 없이 남쪽으로 내려오는 것이다. 유럽, 북아메리카,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생각하지 못한 위험은 바로 물부족이다. 물이 부족하다는 것은 뉴스 속 다른 나라의 이야기로 들이지만 우리나라 역시 심상치 않다. 사실 인류가 쓸 수 있는 물은 바다를 제외하면 많지 않다. 흐르는 담수를 모아두는 것도 한계가 있는데, 우리가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대수층이 있다. 지하수 정도로 생각하면 되는데, 제주의 경우 이미 물 공급보다 수요가 넘치고 있다. 삼다수의 판매나 관광업 유치에 대해서도 심각하게 생각할 필요가 있다. 어쨌든 전세계적으로 이미 대수층의 고갈이 시작되고 있다. 대수층의 고갈은 상시 물부족 상태를 말한다. 


먼나라 이야기 같은 가뭄도 실은 우리에게도 익숙한 일이다. 역사속에서도 가뭄사례 들이 종종 있다. 기우제가 그것을 보여주는 예이다. 

인류 문명의 기원이라고 하는 메소포타미아 문명을 멸망시킨 것도 가뭄이었다. 4,200년 전부터 약 300년 동안 건조화로 인한 극심한 가뭄이 지속하면 망하고 만 것이다. 중미 지역의 찬란한 마야 문명도 가뭄의 희생양이다. 900년경 마야 문명이 갑자기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810년, 860년, 910년경에 닥친 강력한 가뭄 때문이다. 이집트 문명도, 인더스 문명도, 앙코르와트 문명도 다 가뭄으로 종말을 고했다. 어떤 기상현상으로도 문명이 멸망하시는 않는다. 그러나 가뭄은 다르다.(149쪽)


기후변화가 인류에 미치는 변화는 생태계의 변화도 있다. 폭우와 가뭄이 빈발하게 되면 메뚜기가 급증한다. 2011년 호주, 2013년 중동과 아프리카는 메뚜기의 공격을 받아 농업생산에 큰 타격을 입었다. 뿐만 아니라 지구온난화는 모기의 서식지와 서식기간을 넓힌다. 말라리아, 뎅기열 등 모기가 옮기는 전염병 지역이 방대해지고, 온대지방에서는 겨울에도 모기에 의한 전염병 피해가 발생한다.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는 빈곤한 나라나 빈곤계층이 먼저 입는다. 파리협정에 195개국이 가입한 것도 그 때문이다. 혼자만이 아닌 공동의 책임을 져야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지구온난화의 주범 중의 하나인 미국은 파리협정을 탈퇴한다고 한다. 인류의 미래가 멸망하는 말든 현재의 자신들만 잘 먹고 잘 살면 된다는 갖는 이들이야 말로 기후변화 보다 더 위험한 존재들이 아닌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