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17일 부터 "산책로 사수"에 나선 과정 및 결과다. 

먼저, 남동구청 온라인 민원신청에 올린 글이다. 

첫번째.....(2010.3.17)평소에 생태공원을 내 집의 정원처럼 매일 드나드는 사람으로 생태공원을 관리하는 사람들에게 늘 감사하는 마음을 갖고 있습니다. 새로 단장한 주 산책로는 비가 와도 배수가 잘되어 걷는 데는 더 이상의 바램이 없습니다. 그러나 최근 서창 2지구 공사로 인하여 일부 구간이 진흙 투성이가 되어 그 구간을 통과하는 데 여간 힘들고 어려운 게 아닙니다. 정확한 위치는 서창2지구와 고가도로 구간 밑으로 끊임없이 작업 차량들이 지나다니는 곳으로 비나 눈이 오면 말 그대로 팥죽 상태로 변해버립니다. 물이 그대로 고여있을 때는 다른 길도 없어 신발이 그대로 흙탕물에 잠겨 버리기도 합니다. 하루이틀도 아니고, 공사가 언제 끝날 지도 모르는데 그 쪽을 늘 통과해서 지나다니는 사람으로 비나 눈만 원망할 수도 없지 않겠습니까? 다니는 사람이 적을지라도 길은 길인데 최소한 사람이 제대로 다닐 수 있게 어떻게 방법 좀 취해주십시오.  

 다음은 위 민원에 대한 남동구청의 답변이다.  

1. 우리구 생활환경개선을 위한 귀하의 관심과 참여에 깊은 감사드립니다.
2. 귀하께서 제기하신 만수하수처리장 인근 서창택지개발사업지구 진입로 비산먼지민원에 관련하여 2010년 3월 19일 현장확인 하였으나 현장확인시 공사차량의 출입 등 특이사항은 발견치 못하였습니다. 하지만 민원인의 불편을 감안하여 공사관계자에게 민원사항을 설명하고 공사차량의 출입통제 및 도로 물청소 등 비산먼지저감대책을 강구토록 지도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3. 아울러, 동 민원처리결과에 대한 자세한 문의사항이나 기타불편사항이 발생시 우리구 환경과 생활환경팀(032-453-2653)으로 연락주시면 불편사항이 조속히 해결되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두번째.....다시 다른 코너에 위의 사진과 함께 글을 올렸다. 

(2010.3.23)도림동 오봉산 낚시터에서 다리를 건너와서 생태공원으로 이어진 길은 산책로로 매우 아름답고 한적한 곳입니다. 널리 이용되는 길은 아니지만 알만한 사람들은 자주 이용하는 길이기도 합니다. 저도 만 4년 넘게 그 길로 다니고 있으며 한 달에 한 번, 학생들을 이끌고 야외활동을 하는 곳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서창2지구 보금자리주택 공사로 늘 다니는 길이 진흙 투성이로 변해버려 도저히 제대로 걸어 다닐 수가 없게 되었습니다. 공사로 인해 임시로 만든 곳이라면 그러려니 하겠지만 원래 있던 길을 공사장처럼 이용하면서 보행자나 산책자에 대한 배려없이 그렇게 방치할 수 있는 것인지요.

*사진 속의 날짜는 카메라 오류이며 지난 3월 20일에 찍은 사진입니다.

다음은 위 민원에 대한 남동구청의 답변이다.   


1. 구정발전에 협조하여 주심에 감사드립니다.
2. 귀하께서 우리구 새올전자민원창구에 민원상담하신 생태공원 산책로 이용 불편사항에 대하여는 상기 공사현장은 방산하중간 도로개설공사 하부공간으로써 사업시행자인 경기도 시흥시에 정비요청을 통보하였습니다.
3. 빠른 시일내 불편사항이사항이 없도록 조치하겟으며, 위사항에 대하여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남동구 건설과으로 문의하여 주시면 성심성의껏 답변드리겠습니다. 

 위의 두번째 글과 답변을 다시 시흥시청에 올렸다(2010.4.6) 세번째가 되겠다. 

..........그러나 달라진 게 아무것도 없습니다. 여전히 진흙탕속을 걸어가야합니다. 최소한 한 사람이라도 통행할 수 있는 발판 같은 거 설치하기가 그렇게 어려운지요. 남동구청에서 시흥시에 정비요청을 통보했다고 하는데 그 결과를 들어보고 싶습니다. 
 

다음이 답변이다.


○ 우리시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주신 귀하께 감사의 드리며, 문의하신 사항에 대해 다음과 같이 알려드립니다.
○ 귀하께서 통행불편 해소를 요청하신 대상지는 방산~하중간 도로개설공사 구간 내, 영동고속도로를 고가로 횡단하는 논현교 하부이며, 공사차량의 진,출입로 확보를 위해 인천시와 협의하여 임시공사용 도로로 사용하고 있는 대상지입니다.
○ 잦은 강우로 통행에 불편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나, 임시로 사용하는 공사용 도로임을 감안 널리 이해하여 주시기 바라며, 이용자의 통행불편이 조속히 해결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답변드린 내용과 관련하여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도로과장 오희중, 도로시설계장 전종삼, 담당자 이진홍(☎310-2427)에게 연락주시면 자세히 답변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오솔길로 해서 생태공원까지 이어진 엄연한 도로를 임시 공사용 도로라고 한다. 오솔길을 넓혀서 임시도로를 만들었다고 해야 옳다.(고가도로 공사 훨씬 이전부터 통행로로 이용되고 있어서 6~7년 전에도 학생들을 이끌고 봉사활동을 온 적이 있다.) 그리고 차라리 애초부터 솔직하게 밝혀야 했다, 그러기가 쉽지 않았겠지만. "그래봤자 달라질 게 없다. 그냥 참고 다녀라."라고. 여기저기에 알아봐주는 척하는 제스처는 뭔가. 제 풀에 지치기를 기다렸겠지. 흠, 그럴 줄 알았다. 나도 기대하지 않고 시작한 일이었다.  

원시 그대로의, 생긴 것 그대로의 생태공원을 새롭게 단장하고 정비한다고 수십 억 내지는 수백 억 들어갔다는 것을 텔레비전을 통해 본 적이 있다. 기껏해야 푼돈 밖에 들어가지 않을 진흙길을 방치한 채 '예의 바르고 점잖은 체' 말을 돌려대며 제 풀에 지쳐 조용해지기를 기다리는 안이한 태도와 대응 방식이 그저 씁쓸할 뿐이다.

50m 밖에 안 되는 통행로를 좀 편히 걸어볼까 했더니, 아니 정상대로 걸어볼까 했더니 '예의 바르게'무시만 당했다. 고가도로가 완공되고 아파트 단지가 완공될 때까지 이렇게 지내야 한단다.  

얼마 전엔 이곳 진흙길에 빠져서 냄새가 밴 트레킹화를 끝내 버려야만 했다. 하루의 깨어있는 시간 중 한 시간을 보내는 나의 길, 생태공원 산책로. 길 위에서 길을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레드카드, 대한민국 영어공부
송봉숙 지음 / 부키 / 201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혹 새로운 내용이 있을까, 혹 현재의 상황을 타파할 혁신적인 주장이 있을까. 혹 현상황을 대신할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했을까...하는 기대감에 책을 집어들었다.  

'원어민처럼 하려는 것은 바보짓이다.' 이 말을 유학가고서야 깨달았다고? 원어민처럼 영어를 한다는 것은 말 그대로 미친 짓이다. 절대로 될 수도 없거니와 될 필요도 없다. 죽자하니 따라해서 잘한들, 그래서 그네들과 의사소통이 원만해진들 남는 게 뭐가 있을까. 승리를 알리기 위해 죽자하고 달려와서 끝내는 죽음으로 마감했다는 이야기와 뭐가 다를까. 

세월이 변해도 달라지지 않는, 조금이라도 생각해 본 사람이라면 공감하는-영어는 필요한 사람만 하면 되는 것이다. 태교 때부터 시작하는 영어 광풍에 온 국민이 휩싸여 있는 한 우리는 절대로 행복해질 수 없다. 식민지도 이런 식민지가 없다. 차라리 총칼 들고 싸우라면 싸우는 대상이라도 확실하지, 이 영어라는 공공의 적 앞에서는 적이 누구인지도 무엇인지도 구분이 가지 않는다. 도저히 파악되지도 않는 적 앞에서 대적거리는 커녕, 있는 것 없는 것 다 바쳐가며 온갖 공을 들이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조공이 또 있을까. 

(167쪽)'...영어 교육 열풍에서 빠뜨릴 수 없는 건 영어 교육 시장을 확대하려는 미국의 노력이다. 미국은 세계 여러 나라의 영어 교육 정책에 상당한 영향을 끼친다. 세계가 영어 교육에 열을 올릴수록 그들의 일자리는 많아지고 영어 교육 관련 수익이 높아질 테니 말이다.'

이 대안도 없고 대책도 없는 이른바 '영어 몰입'국가에서 영어교사로 있는 이 책의 저자 얘기는 구구절절 하소연 내지는 넋두리 처럼 들린다. 이 책을 통해 무엇인가 얻을 것이라는 기대는 여지없이 무너지고 만다. 사실을 사실대로 썼을 뿐이고 일반의 상식을 상식대로 썼을 뿐이다. 당연하다면 너무나 당연한 얘기들이다. 이 당연한 것들을 2년 반의 유학을 톻해서 확인했다는 정도라고 할까. 

대한민국에서 영어교사로 살아남기 위한 처절한 몸부림으로 해석하며 이 책을 덮자니 심정이 착잡해진다. 숨이 턱턱 막혀버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가 꿈꾸는 기적 : 인빅터스 - Invictus
영화
평점 :
상영종료


관람객 10명 정도에 하루 한 번 상영하고 있는 영화를 보고 왔다. 원제로는  Invictusf라는 영화다.  줄거리는 생략하련다. 

다만 만델라가 감옥에서 즐겨 암송했다는 이 한 편의 시를 기억하고자 한다. 

라틴어 invictus는 unconquered의 뜻으로 '굴복하지 않는'이라는 뜻이란다. 이 시를 쓴 사람은 William Ernest Henley(1849-1903)라는 영국의 빅토리아 시대 시인으로 영문학도의 교과서인 The Norton Anthology에도 실려있다. (처음부터 알았던 건 절대 아니고 나중에 영화를 보고와서 찾아보니 있더라는 얘기. 그것도 모르고 인터넷 검색만 열심히 했다.) 

이 영화도 영화지만 이 시인에게도 흥미가 가는데....12세 때 결핵(tuberculosis of the bone)을 앓았는데 점차 그 병이 발까지 진행되어 끝내는 한 다리를 무릎 아래까지 절단해야만 했다고 한다. 25세 때였다. 1867년에는 Oxford에 들어갔고 이 시를 병원 침대에 누워서 쓴 것은 1875년이었다. 53세에 숨을 거두기까지 한 쪽 다리로 active한 삶을 영위했다고 한다. 

시 전문은 다음과 같다. 

Out of the night that covers me, 

Black as the pit from pole to pole. 

I thank whatever gods may be 

For my unconquerable soul.  

 

In the fell clutch of circumstance 

 I have not winced nor cried aloud. 

Under the bludgeoning of chance 

My head is bloody, but unbowed. 

 

Beyond this place of wrath and tears 

Looms but the Horror of the shade, 

And yet the menace of the years 

Finds and shall find me unafraid. 

 

It matters not how strait the gate, 

How charged with punishments the scroll, 

I am the master of my fate: 

I am the captain of my soul.

 마지막 두 문장의 의미만 확실히 알아도 될 것 같은 시이다. 나는 내 운명의 주인이다....이 영화는, 그래서, 몸으로 실천한 만델라이기에 감동적이다.

 

 *여기저기 검색하다가 재밌는 게 눈에 들어왔다. 

http://en.wikipedia.org/wiki/Invictus_(film

예를 들면, 만델라가 대만 방문 중이었을 때 회의실 이름이 대만에서 쓰는 한자인 번체자(우리도 이것을 사용하고 있다)가 아니라 중국에서 쓰는 간체자로 되어 있다는 식의, 사실과 다른 부분들을 열거하고 있다. 세상엔 똑똑하고 섬세한 사람들이 많다고나 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등어를 금하노라 - 자유로운 가족을 꿈꾸는 이들에게 외치다
임혜지 지음 / 푸른숲 / 200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살면서 가슴 속에 품은 말을 다 할 수 있을까? 가족과 여행 중 남편과 심하게 다투었던 일이나, 친구들과의 여행을 통해서 알게된 가슴 아픈 이야기들을 시원하게 기행문에 풀어 놓을 수 있을까? 콘돔이 뭐냐고 묻는 어린 딸아이에게 있는 그대로의 사용법을 말해줄 수 있을까? 때로는 첫사랑이 그립기도 하다고 배우자에게 털어놓으며 지나간 세월을 함께 아파할 수 있을까? 

얼마 전 만 해도, 아이들이 내 키를 물어오면 대강 얼버무리곤 했었다. 그러나 지금은 그냥 대수롭지 않게 내뱉어버린다."응, 150이 좀 안돼. 내가 이래봬도 미래형 인간이라는 거 알지?...." 이렇게 말하기까지는 반세기가 걸렸다. 그게 뭐라고... 

힘든 한 주일을 보냈다. 한 아이가 갔다. 얼굴도 모르고 가르친 적도 없는 아이였지만 속절없이 가버려서 가슴이 너무 너무 아팠다. 작년 담임선생님과 엄마에게 '그동안 고마웠다'고 문자를 남기고는 홀연 사라져버린 아이 소식에 내내 답답하고 슬펐다. 사고를 접한 날, 새로 부임한 교장은 교내의 네트워크 메신저로 자작시 한 편을 전체에게 날렸다. 감동은 커녕 사뭇 저의가 의심스러운, 생각없는 행동으로 치부해버리고 비웃어버렸다. 

그 우울한 와중에 이 <고등어를 금하노라>를 꾸역꾸역 읽고 있었다. '흠, 알뜰한 살림꾼이군. 너무나 도덕적이군. 바람직하게 사는 사람이군. 생각이 무척 바르군.' 내내 시쿤둥하게 읽어나갔다. 자동차가 없다고? 흠, 나는 자동차 면허도 거부한다구! 자전거 타고 다닌다구? 흠, 나는 왠만한 거리는 걸어다닌다구! 에너지를 아낀다구? 흠, 나는 내 몸 자체가 에너지 절약형 인간이라구! 

그러다가 10대의 딸아이에게 이른바 성교육을 시키는 얘기에 나는 그만 뒤집어지고 말았다. 혼자 실컷 웃었다. 눈물까지 흘려가면서. 만15세가 된 딸아이에게 콘돔 사용법을 가르쳐주는 장면은 가히 이 책의 백미였으니.. 

(114쪽)...또 어디 가서 이놈의 모델을 구해 오나 고민하던 나는 냉장고를 뒤져 당근 봉지를 꺼냈다. 그중에 약간 작은 듯한 놈으로 골랐다. 너무 크면 딸아이가 보고 쇼크를 먹지나 않을까 걱정이 되기도 했고, 나중에 남자를 만났을 때 고지식하게 당근보다 작네 어쩌네 하며 남의 집 귀한 아들을 기죽이면 큰일이겠다 싶기도 했다. 

계속 이어지는 남편과의 이런 대화는 또 어떤가. 

"그, 그걸 말이라고 해? 공부도 안 끝난 애가 임신하면 어떡해? 그 애 인생은 어떻게 되고?" 

"인생이 어떻게 되긴? 우리 아직 건강하겠다, 부모가 힘껏 도와줄 텐데 아기 키우면서 공부하면 되지 무슨 걱정이야? 그런 걸로 사람 인생 안 망쳐. 그런 것보다 더 무서운 건 우울증이나 마약 같은 마음의 병이야. 그건 부모가 암만 도와주고 싶어도 도와줄 수 없잖아." 

<한두 번 실수로 망가지는 인생은 없어>라는 꼭지에 실린 이런 내용을 읽고는 갑자기 마음이 홀가분해지고 밝아졌다. 학교에서 돌아온 중2짜리 딸아이에게 이 부분을 읽으라고 던져주었다. 저녁밥을 지으며 내심 반응을 살펴 보았다. 헤헤 웃더니 뭔가를 계속 조잘거린다. 그 책도 재밌고 그런 책을 읽으라는 엄마도 재밌다는 투였다. 됐어! 

다음 날. 그리고 또 그 다음 날. <한두 번 실수로 ..>이 부분을 복사해서 B4 한 장과 A4 한 장에 오려붙인 후 다시 복사를 해서 내가 담임을 맡고 있는 아이들에게 두 명에 한 장 꼴로 돌렸다. 중3인 아이들의 반응은? 재밌다는 투인데 드러내놓고 깔깔대거나 호탕하게 웃는 아이가 없다. 비실비실 웃음만 머금는다. 어라....궁금해진 내가 물었다. "내용 어땠어? 재밌지?"..."근데 이 얘기 정말이에요?", "그 가족 좀 이상해요..." 

너희가 어떤 실수를 해도, 어떤 잘못을 해도, 그냥 말없이 사라져버리지 말기를 간절히 바란단다, 라고 말하지는 못했다. 내 뜻은 이거였는데 내 어눌한 말주변이 감히 감당해내지 못했다. 

이 책은 참 좋은 책이다. 좋은 점을 일일이 열거하기가 힘들어 내가 하고 싶은 말만 했다. 읽어보시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삼 법정 스님의 책을 거론하는 게 어색하다. 늘 함께 했다. 마시는 물처럼 숨쉬는 공기처럼.  

이상하지만 스님의 입적이 그렇게 슬프지만은 않다. 스님은 완전한 삶을 사셨다. 완성을 보여주셨다. 슬픔 보다는 경외감이 고인다.  

   

<서 있는 사람들>은 30여 년 전, 대학 시절 처음으로 읽은 법정 스님의 책이다. 그 때의 감동과 놀라움, 그리고 알 수 없는 편안함을 어떻게 말할 수 있을까. 새로운 세상과의 조우였다.    

 

  

 

범우사에서 나온 이 <무소유>를 읽고나서였을 것이다. 내가 가진 것이 너무 많다는 것을. 그것도 쓸 데 없는 것들로 꽉 차있다는 것을. 그건 깨우침이자 아픔이었다. 

   

   

 

1989년인가 1990년인가 <조선일보>에 연재되었던 법정 스님의 이 기행문은 내가 최초로 읽은 인도여행기로 나를 인도로 인도했다. 나는 지금도 '인도'하면 법정 스님이 먼저 떠오른다. 나의 스승이시다. 

   

 

 읽고 또 읽었던 스님의 여러 책들. 물이며 공기였던 책들.  스님, 감사합니다. 큰 절 올리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