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모킹 호러 - 19세기 영국 고전괴기소설 13선 빅토리안 호러 컬렉션 1
찰스 디킨스 외 지음, 임명익 옮김 / 크로노텍스트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빅토리아 시대(1837~1901)에 영국과 아일랜드에서 처음 출판된 단편 괴기 소설들을 모아둔 책이라고 해서 냉큼 샀다. 산업혁명과 식민지 약탈로 거대한 부를 이룬 이 시기의 영국은 인쇄술도 발달해서 값싼 인쇄물이 많았다고 한다. 당연히 많은 장르의 소설들이 출판되었고, 그 중에 괴기 소설도 포함되었는데 제법 인기가 있었다고 한다. 


예전에는 알지 못해서 괴이한 현상이라고 여겼던 것들이, 과학의 발달로 그런 현상들이 설명 가능해지자 점점 괴이한 현상이나 심령 현상 등을 믿지 않는 사람들이 늘어났다. 특히 합리적이고 이성적이라고 잘난 체 하는 상류층이나 중산층 남자들에게서 그런 경향이 보인다. 그런데 웃긴 건 그런 심령 현상에 등장하는 것도 남자들이 많다는 것이다. 영국에서 17세기부터 법이 지나치게 엄중하여 판사들이 교수형을 자주 선고했는데, 이렇게 교수형을 남발하는 판사를 '교수형광 판사'라고 불렀다. 이 '교수형광 판사'류의 괴담이 조셉 세리든 르파뉴의 <에인저 거리에서 일어난 기묘한 소동에 관한 기술>과 브램 스토커의 <판사의 집>이다. 이런 괴담의 유래는 17세기 실존 인물인 '조지 제프리스'로 추정된다고 한다. 보다보면 <스위니 토드>가 생각나는데, 이 이야기 역시 '교수형광 판사' 괴담류에 들어갈 수 있을 것 같다. 그러고보면 그 판사들은 모두 기이한 죽음을 당하는데, 죽은 뒤에도 어째서 다른 이들을 괴롭히는지... 아마도 남은 사람들의 뇌리에 끔찍한 그들의 행각이 남아 두렵게 하는 것은 아닐까.


찰스 디킨스의 <황혼 무렵에 읽을 것>은 여행 시중꾼들들이 풀어놓는 이야기이면서, 그 이야기를 들은 화자인 '나' 역시 비슷한 일을 겪는다. 영국 새신부 이야기 하나, 영국 신사 제임스 이야기 하나 이렇게 둘이지만 결은 같다. 새신부는 꿈에서 본 남자 때문에 겁 먹고, 제임스는 동생이 죽기 전 동생의 영혼을 보면서 겁 먹는다. 그나저나 이야기가 끝난 후 다섯 명의 시중꾼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이렇게 인간이 아니거나 있을 수 없는 곳에 있는 인간을 보거나 하는 등의 이야기는 많다. 그 중에 강렬했던 것은 헨리 제임스의 <식>이었는데, 귀신과의 로맨스인지 아니면 질투에 사로잡힌 여자의 집착인지는 각자의 판단에 달렸을 터. 나는 귀신과의 로맨스에 한 표를 던졌지만, 아마 다르게 읽으시는 분들도 많을 것 같다. 


그 당시 유산을 물려받지 못한 대부분의 사람들 중엔 여자가 많았다. 유산 상속 1순위는 직계 남자였고, 직계 여자는 친척 남자보다도 순위가 낮았으니. 게다가 교육도 여자에겐 사치였다. 메리 엘리자베스 브래든의 <귀퉁이 그림자>를 보면 그 사실이 참으로 안타깝다. 만약 이야기 속 마리아가 부친의 유산을 상속받을 수 있었다면 베스컴네에서 그렇게 살지 않았을테다. 그리고 스케그 영감이 그 방에서 지내보지 그랬나. 적당한 관심과 적당한 무관심이 섞여 비극적 결말로 끝나버린 이야기라 가슴 아팠다. 


싸게 나오거나 흉가로 소문난 집은 예나 지금이나 존재한다. 신기하게도 그런 소문은 끊이지를 않는다. 로다 브로턴의 <19세기 런던에서 실제 있었던 일>이나 샬롯 리델의 <열린 문>이나 이디스 네즈빗의 <등신대의 대리석상>이나 허버트 조지 웰스의 <붉은 방>이 그런 류의 이야기이다. 각각은 서로 다른 사연을 가지고 있는데, 특히 <붉은 방>은 귀신이 아니라 두려움이라는 존재가 범인이라는 것이 달랐다. 하지만 촛불이 계속 꺼지는 건, 이유가 있겠지. 어쨌거나 저렴한 집은 이유가 있었고, 가슴 아픈 사연이 있었고, 늘 그렇듯 희생자가 있었다. <등신대의 대리석상>은 좀 안타웠던 게 소문을 믿지 않더라도 아내와 함께 있어야지 어째서 그 교회까지 혼자 걸어갔느냐 하는 것이다. 홀린 것일까, 객기일까. 어릴 때 초등학교에 하나씩 있던 괴담과 비슷한 이야기였다.


죄 지은 자가 결국은 벌을 받게 되는 건 좋지만, 그 과정이 으스스하기 때문에 괴담이 되기도 한다. 벌을 주는 이가 인간이 아니거나, 벌을 주는 방식이 저주이거나 하니까. 거트루드 베이컨의 <교령회장>에서는 인간말종이 어떻게 몰락하는 가를 볼 수 있다. 그것도 자신이 저지른 방식으로. 로사 멀홀랜드의 <헐리벌리 저택의 신들린 오르간 연주자>에서는 방탕한 나쁜 사람이 장례식장에서 저지른 일 때문에 저주 받아 오르간을 떠날 수 없는 이야기이다. <밸런트레이 귀공자>도 생각나는 이 이야기는 나쁜 놈이 지 혼자 안 죽고 새로운 희생자를 찾았다는 점에서 그 놈이 얼마나 나쁜 놈인지 알 수 있다. 그 놈이 망친 인생이 한 둘이 아니다. 아멜리아 에드워즈의 <착각이었을까>도 희생자가 가해자를 따라다니면서 그를 고발하는 내용이다. 


거트루드 베이컨의 <고르곤의 머리>는 우리가 익히 아는 메두사 이야기를 가져왔는데, 이야기를 하다 말고 끊어서 뒷 이야기가 궁금한 게 괴이한 것인지, 메두사 머리가 괴이한 것인지 아리송하다. 그래서 누가 살아나온 것일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tella.K 2023-12-26 12:2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오, 이런 책이 있었네요. 호러는 딱히 좋아하진 않는데 필진을 보니 왠지 땡기네요. 나중에 함 읽어보겠습니다.^^

꼬마요정 2023-12-26 17:44   좋아요 1 | URL
저는 호러를 좋아해서 샀는데, 필진이 좋더라구요. 이야기들이 짤막짤막해도 시대상을 엿볼 수 있어 좋았습니다. 그때나 지금이나 기이한 이야기들은 비슷한 것 같기도 하구요. 즐겁게 읽으시면 좋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