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수, 다종의 세계문학이 매주 출간되고 있기에 읽는 건 차치하고 분류와 정리만으로도 일거리다. 그러는 중에 세계문학 강의와 읽기에 참고할 만한 책들도 드문드문 나오고 있다. 이주에 꼽을 만한 건 ‘강창래의 세계문학강의‘, <문학의 죽음에 대한 소문과 진실>과 하버드대학에서 세계문학을 강의하는 데이비드 댐로쉬의 <세계문학 읽기>다.

강창래의 책은 미리 읽고서 스페인문학기행을 떠나기 전에 추천사를 쓰기도 했다. 아래가 추천사다.

˝태초에 질문이 있었을 리 없다. 모든 질문은 일의 중간에서 불거진다. 문학이란 무엇인가, 문학이론은 무엇이고 세계문학사는 어떻게 전개되어왔는가. 당신이 질문한다면, 문학의 문턱을 넘어서 한복판으로 진입하고 있다는 뜻이다. 강창래의 세계문학 강의는 바로 ‘중간 독자’로서의 당신을 위한 강의다. 직접적인 독서경험을 바탕으로 무엇을 어떻게 읽을지 친절하게 안내한다. 문학의 죽음에 대한 소문을 풍문으로 돌리게 되는 여정이 여기에 있다.˝

서문에서 저자가 문학이 아닌 인문학에 대해 언급하고 있어서 조금 의아해 했는데 알고보니 저자가 기획한 4부작(?)의 첫권으로서의 의미도 갖는다.

˝인문학을 주제별로 정리하는 글을 쓰고 있는데, 그 첫번째 저작이 바로 문학을 주제로 다룬 본서 <문학의 죽음에 대한 소문과 진실>이다. 2023년부터 순차적으로 서양미술사를 다루는 <이미지의 삶과 죽음>(가제)과 현대철학사를 다루는 <아모르 파티에서 인정투쟁>(가제), 현대과학을 인문학자의 관점에서 다루는 <모르는 것이 무엇인지 아는 현대과학>(가제)을 집필, 출간할 예정이다.˝

문학과 예술, 철학과 과학을 모두 망라하는 지적 모험이 기대를 모은다.

댐로쉬는 세계문학을 타이틀로 건 책들에서 빈번하게 마주치는 이름이어서 나도 다수의 책을 소장하고 있다. <세계문학 읽기>는 입문서로의 의미가 있는데 좀 묵직한 책들까지 출간목록이 이어지면 좋겠다. 스페인에서 귀국하기 전에 주문해놓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로쟈 > 내 마음의 낯섬

5년 전 페이퍼다. 내년봄 지중해문학기행에서 자연스레 이스탄불의 작가 오르한 파묵을 다룰 예정이다. 문제는 너무 많은(?) 작품이 소개돼 있다는 점. 두세 편으로 압축해야 하는지라 고민이 된다. <내 마음의 낯섦>도 이제 보니 후보작 가운데 하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세계문학 강의의 마지막 과제 가운데 하나가 동남아문학 강의다. 꽤 오랜기간 세계 각국과 각 지역의 문학을 읽어왔지만, 동남아문학은 이제껏 다루지 못했다. 이유는 단순한데, 베트남 정도를 제외하면 아직도 번역본이 현저하게 부족해서다. 특히나 세계문학전집판으로는 거의 소개되지 않았는데, 지난주에 태국 현대소설이 처음 나왔다. 씨부라파의 <그림의 이면>. 1937년작이다. 
















태국어가 낯설고(우리로선 발음도 표기도 어렵다) 영어자료도 별로 없어서 접근이 어려운데(위키피디아의 태국문학 항목을 보면, 현대문학, 곧 20세기 문학에 대해선 댓줄 정도의 소개만 나온다), 씨부라파라는 필명도 그렇다. 본명은 꿀랍 싸이쁘라딧(1905-1974)이다. 여러 필명을 썼는데, '씨부라파'가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이라고. <그림의 이면>은 로맨스 소설로 나이와 신분 차이가 나는 두 남녀의 사랑 이야기이고, 태국에서는 두 차례 영화화되고 현재까지도 많이 읽히는 작품이라 한다. 


작품이 더 번역될지 모르겠지만, 현재로선 유일하게 강의에서 다룰 수 있는 태국 현대문학 작품이다. 앞서 지난 1월에 '동남아시아문학총서'로 나왔던 아깟담끙 라피팟(1905-1932)의 <인생이라는 이름의 연극>(1929)은 벌써 절판되었기에. <인생이라는 이름의 연극>은 태국 최초의 현대 장편소설로 일컬어지는 작품이라고 하고, 작가 아깟담끙 라피팟은 '왕족 작가'다. 연보를 보니 24살에 쓴 작품이고 27세에 요절했다. 


절판된 지 오래 되었지만, 또다른 태국문학 작품으로는 찻껍짓의 <무지에 의한 단죄>(1981)다. 작가는 1954년생이고 아직 현역이다. 작품도 40여 년 전에 출간됐지만, 앞의 두 작품에 비하면 최근작에 속한다. 한국어판은 1995년에 나왔다. 

















그밖의 작품으론 제인 베자니바(1963-)의 <카티의 행복>(2003)이 있는데, 2009년에 영화로 만들어지면서 우리말로도 번역본이 나왔다. 현재는 절판. 영어판은 작가가 직접 영어로 옮긴 것이라고 한다. 


아무튼 내가 조사한 범위에서는 이 네편이 우리에게 소개된 태국 현대문학이고, 그나마 유일하게 절판되지 않은 작품이 이번에 나온 <그림의 이면>이다. 현대 태국문학이 빈곤한 것인지, 역자가 없는 것인지, 여하튼 상황 자체는 그렇다. 그나마 한 작품이라도 강의에서 다룰 수 있게 되었으니 다행이라고 해야 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국 유대문학의 대표작가이자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솔 벨로(1915-2005)의 <오늘을 잡아라>(1956)가 다시 번역돼 나왔다. 몇년 전 솔 벨로 강의 때 번역본이 절판돼 다루지 못했었다. 대표작 <허조그>와 함께 과제로 넘겼던 작품. 솔 벨로는 60년이 넘는 창작기간에 <허공에 매달린 사나이>(1944)부터 <라벨스타인>(2000)까지 14편의 장편소설을 썼다(거기에 단편소설집과 논픽션이 각각 4편, 희곡 한 편이 더해진다). 이들 작품으로 퓰리처상과 노벨문학상, 그리고 세 차레 전미도서상을 수상했다(세 차레 수상은 아직도 깨지지 않은 기록이다).

국내에도 번역본이 제법 나왔었지만 거의 품절되거나 절판된 상태다. <오늘을 잡아라>가 ‘리스타트‘의 출발점이 되면 좋겠다(개인적으론 유대문학 작가로 분류되는 솔 벨로와 필립 로스의 성취를 음미해보고 싶다). 주요작 가운데 <험볼트의 선물>(1976년 퓰리처상 수상작)과 <허조그>(1964년 전미도서상)는 새 번역본이 나온다고 한다. 첫번째 전미도상 수상작 <오기 마치의 모험>(1953)부터 <험볼트의 선물>(1975)까지가 소위 전성기의 작품인데(6편이다) 이 정도까지는 다시, 혹은 새로 번역본이 나오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번주 목요일에 노벨문학상 수상자가 발표된다. 2020년의 루이즈 글뤽, 그리고 지낸해의 압둘라자크 구르나는 아직 읽어보지 않았지만, 그 이전까지의 수장자는 대개 강의에서 다루었다(트란스트뢰메르와 밥 딜런이 예외다). 지난 10년간의 수장자 가운데 개인적으로 가장 인상적인 작가를 꼽으라면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벨라루스)와 올가 토카르추크(폴란드)를 꼽겠다. 















다행히도 두 작가의 작품은 국내에 꽤 소개된 편이고, 지난주에도 토카르추크의 에세이 <다정한 서술자>(2020)가 번역돼 나왔다(영역판도 아직 안 나온 걸로 보인다). 토카르추크의 책으로는 최신간이다. 겸사겸사 국내에 소개된 토카르추크의 작품을 정리해본다. 토카르추크의 주력은 장편소설로 현재 9권을 발표했고(영어로는 지난해에 <야쿱의 서>가 다섯번째 번역서로 나왔다. 900쪽이 넘는 방대한 분량이다), 2권의 단편집, 1권의 시집, 5권의 에세이집, 1권의 아동문학(그림책)이 더해진다(단편도 하나 번역돼 있다). 이 가운데, 한국어로는 4권의 소설과 그림책에 이어서 이번에 에세이집이 추가된 것. 

 

장편소설의 목록은 이렇다(한국어판이 없는 경우는 영어판을 넣었다).


1993 <책의 인물들의 여정>


1995 <E.E.>


1996 <태고의 시간>



1998 <낮의 집, 밤의 집>



2004 <최후의 이야기>


2006 <세계의 무덤 속에 있는 안나>


2007 <방랑자들>

















2009 <죽은 이들의 뼈 위로 쟁기를 끌어라>



2014 <야쿠프의 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