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차 노원평생학습관에 다녀왔다. 가고오는 데 꼬박 두 시간씩 걸리는 거리다. 체코 감독 피터 젤린카의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2008)을 관람하신 분들에게 도스토예프스키와 <카라마조프의 형제들>에 대해서 두 시간 동안 강의했다. 영화는 미리 보고 갔는데, 실제로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을 8년째 공연중인 체코 극단원들이 폴란드의 한 제철소에서 열리는 대안공연 페스티벌에 참여하여 리허설을 하는 장면을 주로 필름에 담았다. 그렇다고 다큐는 아니고 극중극 구조다...
![](http://klient.stopklatka.pl/dat/img/528bae063359519.jpg)
이렇게 계속 쓰면 오늘의 일기가 될 터인데, 오늘이라는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기에 간단한 소회만 적는다. <책을 읽을 자유>(현암사, 2010)를 오늘 배송받았다. 책은 어제 나왔지만 공식 발행일은 '2010년 9월 11일', 즉 오늘이다. 우연찮게도 9.11에 나온 책이 돼 버렸다(<로쟈의 인문학 서재>는 작년 5.18에 나왔다). 이 책의 에피그라프(제사)가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에서 따온 것이다.
![](http://image.aladin.co.kr/cover/cover/8932315612_2.jpg)
"사랑스러운 여러분, 소중한 여러분, 무엇 때문에 나한테 이렇게 잘해주시는 겁니까, 내가 이런 대접을 받을 만한 자격이라도 있습니까?"
이 대목을 제사로 쓴 이유는 책의 서문('책머리에')을 참고하시기 바란다. 공식적으론 두 차례 서문을 쓴 셈이지만, 나대로는 예전에 자비로 여러 권의 책을 만들면서 그에 맞게 여러 번 서문을 쓴 적이 있다. 1996년 9월에 쓴 서문에는 이렇게 적었다. <한 그루의 사과나무>란 합본서의 서문이다(참고로, 이 책은 <책을 읽을 자유>의 맨마지막 쪽 책 사진에 들어가 있다).
1. 나는 묽어진 존재, 아니면 욕조에 빠진 먼지...
2. 이 책은 지난 2년간 만든 세 권의 시집, <중력과 은총>(96.8), <새둘이 날아간다>(96.1), <생의 바깥에서>(95.4)를 한 데 묶은 것이다. 그렇다고 더 나이지는 것이 있을까? 몇 군데 빠진 글자와 틀린 글자를 바로 잡은 것도 아닌데 말이다. 단지 나는 내가 만든 책의 부피(volume)를 느끼고 싶었을 따름이다. 영혼은 어떤 부피 안에 있다고 나는 믿는다.
3. <존재와 시간>의 저자는 디히텐(Dichten, 시를 쓰다)과 덴켄(Denken, 생각하다)을 모두 단켄(Danken, 감사하다)에 고정시킨다. 그에 의하면, 사유하는 것, 시를 쓰는 것은 죽어야 할 운명의 인간에게 열려 있는 존재(Sein)로 귀향할 수 있는 모든 수단에 대하여 감사하는 것이다.
4. 이 책을 집어든 당신에게 감사한다.
96년이면 아직 20대였던 시절이다. 그래도 그때나 지금이나 그대로 보존되고 있는 건 책이 내게 갖는 의미다. '부피'와 '감사'. 나는 여전히 책의 부피를 사랑하며, '사랑스러운 여러분'에게 감사한다. 그러한 의미가 보존되는 한, 앞으로도 책은 더 내게 될 것이다. 여러 기획이 예정돼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러시아문학 강의'다. 러시아문학에 진 빚을 좀 덜 기회가 어서 오기를 기대한다...
10. 09. 11.
![](http://image.aladin.co.kr/cover/dvdcover/9154128293_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