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교수신문에 실은 칼럼을 옮겨놓는다. '주체'란 말의 번역 문제와 관련하여 '학문 주체성'에 대해서 잠시 생각해본 글이다.    

교수신문(09. 09. 28) ‘학문의 주체성’ 수립 이전에 던져야 할 질문들

‘학문의 주체성’ 혹은 ‘주체적 학문’의 정립이란 과제는 학문의 길에 들어선 이들이 한번쯤 부닥치게 되는 요구이다. 하지만 무엇이 주체적 학문이고, 학문적 주체성은 어떻게 발휘될 수 있는지 명쾌하게 답하기는 어렵다. ‘학문 사대주의’를 극복하자는 구호와 함께 우리 고유어나 고유한 개념을 적극적으로 되살려 써야 한다거나 한국적 현실의 특수성에 맞는 우리 이론을 창출해내야 한다는 주장들을 더러 만날 수 있었지만, ‘우리 학문’과 ‘주체적 학문’을 바로 동일시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일단 마음에 걸리는 말은 ‘주체’이다. 알다시피 이 ‘主體’는 ‘객체’에 대응하는 (철학)용어로서 ‘사물의 작용이나 어떤 행동의 주가 되는 것’을 가리킨다. 참고로, 사전에는 ‘북한어’로서 “혁명과 건설의 주인으로서의 인민 대중을 이르는 말”이란 정의도 첨가돼 있다. 어떤 행동의 ‘主가 된다’는 말 자체가 또 다른 설명을 필요로 하지만 대략 ‘주도하는 자’ 정도로 ‘주체’의 뜻을 가늠할 수 있을 것이다. 곧 주인이냐 하인이냐, 상전이냐 머슴이냐는 구도에서 주인노릇하고, 상전노릇하는 것이 바로 주체이다.

한데, 학문용어로서 이 ‘주체’가 영어 subject(프랑스어 sujet, 독어 Subjekt 등)의 번역어라는 점을 고려하면 사정은 좀 복잡해진다. 북한의 ‘주체사상’을 ‘juche ideology’라고 옮기는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면 ‘주체’는 대부분 ‘subject’로 옮겨지는데, 그렇다고 이 ‘subject’가 항상 ‘주체’로 옮겨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몇 가지만 간추려도 ‘subject’는 주제, 주어, 신민, 주체 등의 뜻을 갖는다. 곧 주체와 subject는 서로 비대칭적이다. 이러한 비대칭성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subject’가 주체(주인)이면서 동시에 신하나 국민 같은 피지배자를 뜻하기도 한다는 점이다. 이것이 ‘subject’가 갖는 의미의 이중성이고 모호성이다.   



이 ‘주체’의 문제를 따져보기 위해 프랑스 철학자 에티엔 발리바르를 따라서 니체의 한 문단을 읽어봐도 좋겠다. 니체는 『선악의 저편』에서 이렇게 말했다. “의지하는 인간은 자기 안에 있는 복종하거나 복종한다고 믿는 그 무엇에 명령을 내린다.(……) 여기에서 우리는 주어진 상황에서 명령하는 자이면서 동시에 복종하는 자이다.” 니체에게서 주체는 ‘명령하는 주체’와 ‘복종하는 주체’로 분열된다. 사실 ‘명령하는 주체’가 동어반복이라면, ‘복종하는 주체’는 모순형용이다. 중요한 것은 분열돼 보이는 이 둘이 궁극적으로는 하나라는 사실이다. 그리고 그 결과, 그것이 바로 ‘나’이다. 

니체는 원문에서 마지막 문장 “그 결과, 그것이 바로 나이다”를 독어가 아닌 불어 “L'effet, c'est moi.”로 썼다. “짐이 곧 국가”라는 루이 14세의 유명한 말 “국가, 그것이 바로 나이다”(L'´Etat, c'est Moi.)를 그대로 패러디한 것이다. “지배계급은 자신과 사회 공동체의 성취를 동일시하는 것이다”라고 니체는 덧붙였다. 이러한 정치적 비유는 ‘주체’란 말의 본질과도 무관하지 않다. 절대군주는 법과 행정이라는 국가의 권력을 통해서 스스로를 설립하고 행사하는 권력이고, 그의 신민들은 그러한 ‘권리 속의 주체’라고 발리바르는 말한다. 거기에 덧붙여 장 보댕의 이런 말도 음미해볼 만하지 않을까. “우리는 모든 시민이 주체라고 말할 수 있다. 왜냐하면 그의 자유는 그가 복종하는 주권권력에 의해 제한받기 때문이다.”

원래적 의미에서건 통용되는 의미에서건 주체(subject)의 자유와 강제, 의지와 복종은 동전의 양면이다. 이러한 사실이 ‘주체적 학문’이란 요구에 시사해주는 바는 무엇일까. 먼저, 우리가 ‘주체적’이란 말로는 온전한 의미의 자유나 독립이란 뜻을 표시할 수 없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서양학문과는 다른 독자적인 학문을 지향하면서 그것을 ‘주체적 학문’이라고 지칭한다면, 그때의 ‘주체적’이란 말은 ‘subjective’라고 번역될 수 없을 것이다. 어원적 의미에 충실하자면 ‘주체적 학문’은 자기 정립적인 자유와 예속이 교차하는 양다리 걸치기식 학문이다. 마치 자신의 자유로운 의지에 따라 선택한 권력에 다시금 예속되는 시민의 처지에 견주어볼 수 있겠다. 

사정이 그렇다면, 우리가 흔히 쓰는 ‘주체’나 ‘주체적’이란 말은 기만적이다. 이 말들이 갖는 의미의 이중성과 양면성을 다 드러내주지 않기 때문이다. 그것은, 학문 사대주의는 아니더라도 서양학문에 대한 우리의 예속성을 극복한다는 것이 얼마나 지난한 과제인가를 잠시 잊게 만든다. 사실 ‘주체적 학문’에 대한 문제의식 자체가 우리의 자발적인 문제의식인가도 의문이다. 우리의 의지가 복종에 근거한다는 점을 고려해보면 말이다. 따라서 ‘학문의 주체성’과 ‘주체적 학문’ 정립에 매진하기 전에 ‘학문의 예속성’과 ‘객체적 학문’이란 현실에 대해서 더욱 깊이 성찰해보는 노력이 필요하지 않나 싶다. ‘인민 대중’으로서나 ‘시민’으로서나 우리에겐 ‘자유’라는 이념보다 ‘복종’이라는 현실이 더 무겁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09. 09. 28.


댓글(14)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펠릭스 2009-09-28 18: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제 지젝과 탁석산 저서, 두 권을 주문했거든요, 딱 맞았네,,

로쟈 2009-09-29 19:40   좋아요 0 | URL
많이 보시네요.^^

2009-09-29 20:17   URL
비밀 댓글입니다.

기인 2009-09-28 18: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 이 '주체' 번역관련해서는 사카이 나오키의 "번역과 주체"라는 책에도 비슷한 문제의식이 나옵니다. :) 특히 한국어 번역본에 실린 일본어판 서문에서 잘 나타나 있네요. ㅎ

로쟈 2009-09-29 19:39   좋아요 0 | URL
네, 사카이의 책도 읽어봤는데, '환승중인 주체' 외에 제가 딱히 써먹을 수 있는 말이 잘 눈에 안 띄더군요.^^;

람혼 2009-09-28 21: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게는 이 글이 '우리말로 철학하기'라고 하는 어떤 경향, 곧 [순수]언어와 [순]민족주의를 향한 [순]진한 경도와 열정을 지닌 어떤 경향에 대해 우회적인 우려와 불만을 냉철하게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주체'의 이중적 의미에 바탕하여 전개되고 있는 논의의 형식 자체가 그러한 경향에 대해 더욱 설득력 있는 공격과 반박이 되고 있는 것 같기 때문입니다.
저 역시나 그러한 단순한 언어환원주의가 어떤 '주체적'인 효과를 낳을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 무척이나 회의적이기에, 이 글을 다른 글보다 더욱 가깝고 주의깊게 읽게 되었네요.
'주체성'을 '언어적 주체성' 혹은 '순수 민족언어'라는 가상과 동일시하면서 소위 '오염된' 용어들과 용법들을 기계적으로 '순수하게' 환원하려는 경향은, 말씀하신 대로 저 "지난한 과제"를 너무 쉬운 것으로 치부하거나 망각하게 만드는 경향이 있습니다. 문제 자체를 [세계]구조적으로 보지 않고 단순히 [민족]감정적으로 보려는 경향도 분명 있고요.
이를 두고 '우리말로 철학하기 혹은 학문하기' 자체의 '주체사상'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글 감사히 잘 읽었습니다.

로쟈 2009-09-29 19:38   좋아요 0 | URL
말씀대로 '주체'를 'juche'라고 표기하면 주체적 학문도 가능할지 모르겠습니다...

펠릭스 2009-09-29 00: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의미론적 환원주의에 준해 '우리학문'과 '주체적학문' 다르다고 규정한다면,
탁석산 박사의 '조선문화'와 '한국문화'와의 단절만이 현재의 '한국문화'를
제대로 볼 수 있다는 말을 이해 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로쟈 2009-09-29 19:36   좋아요 0 | URL
일리 있지만, 그게 '단절'될 수 있는 것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마늘빵 2009-09-28 22: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탁석산 선생님 덕분에 이 주제에 관심을 갖게 됐었는데, 그분의 첫 작품인 <한국의 주체성>과 <한국의 정체성>은 당시에 많이 논란이 됐었죠. 티비에도 나와서 고종석으로부터 '순진한 우파'라는 이야기도 듣고. 이건 둘 중 어느 책 때문에 받은 '칭호'인지는 잘 기억이 안나는데. 위 책들 말고도 <우리말로 철학하기>도 비슷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는 듯 하고, <우리말 철학사전>이 만들어진 취지도 관련해서 생각해볼 수 있겠네요. 급 구석에 놔두었던 이 주제에 관해 또 파고들고싶은.

로쟈 2009-09-29 19:35   좋아요 0 | URL
저는 '우리말' 철학에 대해 좀 회의적입니다. '존재'로 옮기던 'Sein'을 '있음'이라고 옮긴다고 해서 무엇인 개시될 성싶지 않아서요. <우리말 철학사전>에 실린 표제어들도 사실 대부분 '우리말'은 아닙니다. '이성'이니 '존재'니 '상징'이니 하는 식이니까요. 번역이 아니란 의미 정도입니다...

빵가게재습격 2009-09-29 19: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슬쩍 지나가다가 한 가지 궁금해서요...^^ '주체적 학문'이 기만적이라면, '학문의 예속성'-인문 사회학 부분을 말씀하시는 것으로 느껴집니다-은 그렇지 않은가요? 예속적인 학문과 그렇지 않은 학문을 구분하는건 어렵게 느껴지는데요. 글의 요지와는 큰 관계가 없지만,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로쟈 2009-09-29 19:31   좋아요 0 | URL
'주체적'이란 말의 환상을 지적하고 싶었어요. 마치 그런 것이 있는 듯한 환상. '주체성'과 '예속성'은 분리하기 어려운 게 아닌가라는 게 제 요지입니다. 요즘처럼 인문학에서도 SCI급 논문을 요구받는 세태에선 '주체적 학문'이란 말 자체가 사치스럽기도 하구요...

빵가게재습격 2009-09-30 00:53   좋아요 0 | URL
네 알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