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와 와우북페스티벌에 가려던 계획이 취소되었다. 굳이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에 가서 좋을 게 있겠느냐는 게 아이 엄마의 생각이고, 학교에 갔다온 아이도 친구와 노는 게 더 낫겠다고 했다. 나도 할일이 많은지라 토요일 외출 계획은 접고 책상맡에 앉았다. 이런저런 책들이 널려 있는데, 며칠전 들었던 의문이 꼬투리가 돼 자꾸 머릿속을 맴돌기에 몇마디 적는다. 소설의 시작에 대해서이다.
거창한 이야기는 아니다. 최근에 나온 김연수의 <세계의 끝 여자친구>(문학동네, 2009)를 잠깐 보다가('읽다가'가 아니다) 몇몇 단편의 '시작하는 문장'이 좀 특이하게 여겨졌다. 가령, "그후로 십삼 년이 지나는 동안, 나는 여러 번 어린 케이케이가 수영을 했다던 그 냇물을 상상했다."('케이케이의 이름을 불러봤어')라고 1인칭 '나'로 시작하는 건 전혀 문제가 안되지만, "여름, 바다에 도착했을 때 그녀는 늙어가고 있었다."('기억할 만한 지나침')에서처럼 '그(녀)'라는 3인칭 대명사로 시작하게 되면, 마치 문법에 맞지 않는 비문을 읽는 듯한 느낌을 받게 되는 것이다.
1인칭 대명사로 시작하거나 다른 고유명사가 먼저 제시된 이후에 그걸 받는 것이 아니라, 다짜고짜 '그(녀)'라고 말할 경우에 '그(녀)'의 지시대상은 어떻게 되는 것인지? 이건 '그(녀)'를 마치 고유명사처럼 사용하고 있는 게 아닐까? 이러한 시작은 몇 차례 더 등장한다.
"그가 왜 예정에 없이 이즈미로 가게 됐는지 알 수는 없으나, 거기서 찍은 흑두루미 사진은 그의 작품 중에서 가장 독특한 것들로 여겨진다."('네가 누구든, 얼마나 외롭든')
"그러니까, 그해 여름, 그는 그 아름다운 유럽풍의 해변도시에서 지냈는데, 단 하루도 술에 취하지 않은 날이 없었다."('웃는 듯 우는 듯, 알렉스, 알렉스')
모두 '그'의 이름이 끝까지 밝혀져 있지 않지만 가령, 토마스라고 하면 "토마스가 왜 예정에 없이 이즈미로 가게 됐는지 알 수는 없으나..."나 "그해 여름, 토마스는 그 아름다운 유럽풍의 해변도시에서 지냈는데..."라는 식으로 시작할 수도 있었다(덧붙여 '그해 여름'은 '어느해 여름'이라고, '그 아름다운 유럽풍의 해변도시'는 '한 아름다운 유럽풍의 해변도시'라고 하는 게 낫겠다). 소위 그런 것이 자연스러운, 곧 '무표적인' 시작이다. 한데, 직접화법도 아니면서 '그러니까'란 접속사가 문두에 들어가고, 다시 '그'라는 대명사가 고유명사 대신에 들어감으로써 이 시작은 특이해진다. '유표적'이게 된다. 반드시 그래야만 하는 이유(미학적 고려)가 있는 게 아니라면, 단지 '기분'을 좀 내기 위한 것에 불과하다면, 독자로선 좀 난감하다.
얼핏 몇 권의 소설을 들춰보니 다른 한국 작가들의 소설에서도 이런 시작이 아주 드물진 않다. 이것도 '유행'인데 내가 미처 주의를 기울이지 못한 것인지, 아니면 최신 '소설작법'에서 권장하는 것인지 바로 알기 어렵다. 김연수가 좋아하는 레이먼드 카버의 소설집에서 비슷한 사례가 있나 찾아보려고 했으나 소설집이 눈에 띄지 않아 대조도 불가능하고. 대신에 집어든 건 카버가 좋아하는 작가 체호프의 단편집이다.
19세기의 사례이긴 하나 보통 단편소설은 이렇게 시작한다.
"어느 멋진 저녁, 이에 못지 않게 멋진 회계원 이반 드미트리치 체르뱌코프는 객석 두번째 줄에 앉아서..."('관리의 죽음')
"드미트리 페트로비치 실린은 대학과정을 마치고 페테르부르크에 근무하다가..."('공포')
"올가 이바노브나의 결혼식에는 친구들과 점잖은 지인들이 모두 참석했다."('베짱이')
"이반 알렉세예비치 아그뇨프는 팔월의 그날 저녁..."('베로치카')
"내가 아직 김나지야의 5학년이나 6학년에 다니던 때의 일로 기억된다."(미녀')
예외 없이 모든 단편에서 인물은 1인칭 대명사나 고유명사로 먼저 지칭된다. 내가 아는 한 이것이 정석이고 소설의 문법이다. 그걸 비튼다면 하나의 '일탈의 미학'을 구성할 만한 명분이 있어야 한다.
"우리는 끝내 불완전한 이방인으로 남는다는 사실이 역설적으로 가족을 이해하는 첫걸음이라는 걸 알려주는 세련된 소설들이다."라고 김연수가 평한 줌파 라히리의 소설집 <그저 좋은 사람>(마음산책, 2009)의 서두는 어떤지 들춰봤다(나는 영어본의 표제작 '길들지 않은 땅'을 읽던 중이다).
"루마의 어머니가 세상을 떠난 후, 루마의 아버지는 평생 다니던 제약회사에서 퇴직하고..."('길들지 않은 땅')
"프라납 챠크라보티는 우리 아빠의 친동생은 아니었다."('지옥-천국')
"겉보기에 호텔을 괜찮아 보였다. 고풍스러운 스키 산장처럼 가파르게 경사진 지붕에, 초콜릿 색 벽에 빨간 창틀을 댄 건물이었다. 하지만 채드윅 인의 로비에 들어갔을 때 아밋은 실망하고 말았다."('머물지 않은 방')
"애초에 라훌에게 술을 가르친 건 수드하였다."('그저 좋은 사람')
"이따금씩 남자들이 전화를 걸어 생Sang을 찾았다."('아무도 모르는 일')
체호프나 줌파 라히리의 사례만 놓고 보자면, 억지스럽게 3인칭 대명사로 소설을 시작하지 않더라도 세련된 작품을 쓰는 데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인다. 게다가 두서없이 서두에서 '그(녀)'를 남용하게 되면, 그것이 '위반'임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추가적 의미도 전달하기 어렵게 된다. 파격은 규범이 존중될 때 파격으로서의 의미와 의의를 갖기 때문이다...
09. 09. 19.
P.S. 필요 때문에 책을 한권 찾다가 발견한 책은 관내도서관에서 대출한 샐린저의 단편집 <아홉가지 이야기>(문학동네, 2004)이다. 사실 <세계의 끝 여자친구>를 손에 들었을 때 가장 먼저 떠올린 책이 내겐 이 <아홉가지 이야기>였다. 비슷한 시기에 집어들기도 했고, <세계의 끝 여자친구>에 모두 아홉 편의 단편이 수록돼 있다는 점이 샐린저의 경우와 같았기 때문에 우연의 일치만은 아닌 것처럼 여겨지기도 했다. 샐린저에 대한 김연수 작가의 생각은 어떠한지 모르겠지만, 마침 눈에 띈 김에 각 단편의 서두 부분을 읽어본다.
"뉴욕에서 온 아홉일곱 명의 광고인들이 장거리 전화를 독점하는 바람에, 507호 여자는 정오부터 두시 반까지 기다려야 했다."('바나나피시를 위한 완벽한 날')
"메리 제인이 마침내 엘로이즈의 집을 찾아냈을 때는 거의 세시였다."('코네티컷의 비칠비칠 아저씨')
"연이은 다섯 번의 토요일 오전, 지니 매녹스는 베이스호아 선생네 반 친구인 셀레나 그래프와 함께..."('에스키모와의 전쟁 직전')
"1928년 내가 아홉 살이었을 때, 최대한의 단체정신으로 무장한 나는..."('웃는 남자')
"그것은 어느 인디언 서머 오후 네시가 조금 지났을 때의 일이었다. 하녀 산드라는..."('작은 보트에서')
"최근에 나는 항공 우편으로 4월 18일 영국에서 치러질 한 결혼식의 청첩장을 받았다."('에스메를 위하여, 사랑 그리고 비참함으로')
"전화벨이 울렸을 때, 머리가 희끗한 남자는 별다른 존중의 기미 없이 여자에게..."('예쁜 입과 초록빛 나의 눈동자')
"이 이야기에 정말 무슨 중요한 의미가 있는 거라면, (...) 나는 이 이야기를 작고한 나의 의붓아버지의..."('드 도미에 스미스의 청색 시대')
""야, 당장 그 가방에서 내려서지 않으면 죽여버릴 테다. 정말이야." 매카들 씨가 말했다."('테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