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인슈타인이 바보?
제가 어렸을 때 훌륭한 사람은 노력하는 사람이다. 바보이지만 노력에 의해 천재적 성과를 이룬 사람으로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이 언급되었습니다. 과연 아인슈타인이 바보였는데, 노력으로 천재의 성과를 얻었는가?
저는 처음부터 아인슈타인이 천재였으며, 바보로 인식되게 된 사건들은 일반 사람들의 오해가 있었다는 것입니다.
우선 어린 시절에 말더듬이었지만, 이것이 지적 능력이 떨어진다고 볼 수 없습니다. 아인슈타인은 외톨이었는데, 깊은 생각에 잠기는 소년으로서 평범한 친구들과 소원할 수 있습니다. 바보라는 증거는 될 수 없고요. 고등학교를 중퇴했지만 재학 당시의 성적은 대체로 우수했습니다.
공과 대학 입학에 실패한 것이 또 하나의 이유이지만 이것은 불어 점수가 낮기 때문입니다. 지적 능력이 뛰어난 사람은 언어적 능력이 뛰어난 것이 보통이지만 외국어 점수가 절대적 기준일 수 없습니다. 그것도 고등학교를 중퇴하여 독학으로 공부한 것을 고려하면 오히려 우수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 졸업하면서 조교직을 얻지 못한 것이 또 한 가지 이유였습니다.
마지막으로 상대성 이론을 발견하면서 수학자의 도움을 받은 것이 아인슈타인의 천재성을 의심받는 하나의 계기가 됩니다. 그러나 물리학에 연구를 하면서 유능한 수학자의 도움이 있더라도 물리학에 적용하여 그 성과를 얻는다는 것이 그 성과를 폄하할 수는 없지요.
한 소년(아인슈타인)이 왜 빛보다 빠를 수 없는가를 고민하였습니다. 저는 어렸을 때 왜 빛을 가지고 고민을 하지 사람이 마차보다 빠를 수 없는 것이 아닌가. 빛이 가장 빠르니까 빛을 따라 잡을 수 없는 것이 아니가. 이 소년이 빛보다 빠를 수 없다는 것은 광속c가 관찰자의 속도에 관계없이 일정하다는 것입니다. 제가 이것을 이해하는데 늦은 것은 광속이 매질에 따라 변할 수 있기 때문에 광속이 일정하다는 의미를 무시했습니다. 그런데, 실험적으로 측정하기 곤란한 광속불변을 고민했다는 것은 맥스웰의 전자기 이론을 알고 있었다는 것입니다.
어렸을 때 바보 같은 아인슈타인이 놀라운 과학적 성과를 이루었다는 것은 평범했던 저에게 일말의 희망을 주었지만 이제 보니 아인슈타인은 처음부터 천재였습니다. 제가 어렸을 때 떠돌던 바보 아이 이야기는 지금은 사라진 듯 합니다.
cf 맥스웰(Maxwell)도 또한 한 명의 천재인데, 16세 난원곡선에 관한 논문을 발표했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