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양의 과학 - 우주, 나이
과학을 좋아하는 저는 어렸을 때 서양의 과학, 합리적 사고방식에 대해 동양은 왜 이렇게 비합리적이고 논리적이지 못할까 하고 생각한 때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후 산업혁명이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은 분명하지만 동양적 사고의 과학성이 서양보다 뛰어난 것도 있습니다.
그 중 두가지만......
우주宇宙는 영어로 universe, cosmos, space로 번역되지만 이는 모두 공간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집 宇, 집 宙로 번역되는 각각을 분석해 보면, 우宇는 회남자淮南子에서에서 한漢나라의 고유高誘가 상하사방의 공간을 宇라고 하고 지나간 과거에서 다가올 미래까지의 시간을 宙라고 주석하였습니다. 즉 쉬운 말로 하면 우주는 시공간입니다. 아인슈타인 상대성 이론이 나온 이후에 시공간의 개념이 있던 서양에 비하면 얼마나 놀라운 과학적 사고였나요. 세계世界라는 단어 또한 세世가 시간은 界가 공간을 나타내는 말로 위의 해석은 고유의 개인의 해석이 아니라 동양의 가치관을 반영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저는 어렸을 때 남이 나이를 물으면 만나이로 대답하는 습관이 있었습니다. 우리나이를 세는 법이 마치 수학에서 말하는 0의 개념이 없는 것으로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자라서 태어나기 전에 어머니 배속에서 일년 가까이 살다가 세상에 나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나는 인간의 생명을 그 수태된 때로부터 더 없이 존중하겠노라.’ (히포크라테스 선서 Oath of Hippocrates 중에서)를 돌이켜 본다면 태어나자마자 한 살로 세는 것이 더욱 과학적임을 알게 되었습니다.
선입견만 버린다면 동양의 과학 및 합리성은 허상이 아닐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