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인슈타인이 바보?

 제가 어렸을 때 훌륭한 사람은 노력하는 사람이다. 바보이지만 노력에 의해 천재적 성과를 이룬 사람으로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이 언급되었습니다. 과연 아인슈타인이 바보였는데, 노력으로 천재의 성과를 얻었는가?


 저는 처음부터 아인슈타인이 천재였으며, 바보로 인식되게 된 사건들은 일반 사람들의 오해가 있었다는 것입니다.


 우선 어린 시절에 말더듬이었지만, 이것이 지적 능력이 떨어진다고 볼 수 없습니다. 아인슈타인은 외톨이었는데, 깊은 생각에 잠기는 소년으로서 평범한 친구들과 소원할 수 있습니다. 바보라는 증거는 될 수 없고요. 고등학교를 중퇴했지만 재학 당시의 성적은 대체로 우수했습니다.


 공과 대학 입학에 실패한 것이 또 하나의 이유이지만 이것은 불어 점수가 낮기 때문입니다. 지적 능력이 뛰어난 사람은 언어적 능력이 뛰어난 것이 보통이지만 외국어 점수가 절대적 기준일 수 없습니다. 그것도 고등학교를 중퇴하여 독학으로 공부한 것을 고려하면 오히려 우수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 졸업하면서 조교직을 얻지 못한 것이 또 한 가지 이유였습니다.


 마지막으로 상대성 이론을 발견하면서 수학자의 도움을 받은 것이 아인슈타인의 천재성을 의심받는 하나의 계기가 됩니다. 그러나 물리학에 연구를 하면서 유능한 수학자의 도움이 있더라도 물리학에 적용하여 그 성과를 얻는다는 것이 그 성과를 폄하할 수는 없지요.


 한 소년(아인슈타인)이 왜 빛보다 빠를 수 없는가를 고민하였습니다. 저는 어렸을 때 왜 빛을 가지고 고민을 하지 사람이 마차보다 빠를 수 없는 것이 아닌가. 빛이 가장 빠르니까 빛을 따라 잡을 수 없는 것이 아니가. 이 소년이 빛보다 빠를 수 없다는 것은 광속c가 관찰자의 속도에 관계없이 일정하다는 것입니다. 제가 이것을 이해하는데 늦은 것은 광속이 매질에 따라 변할 수 있기 때문에 광속이 일정하다는 의미를 무시했습니다. 그런데, 실험적으로 측정하기 곤란한 광속불변을 고민했다는 것은 맥스웰의 전자기 이론을 알고 있었다는 것입니다.


 어렸을 때 바보 같은 아인슈타인이 놀라운 과학적 성과를 이루었다는 것은 평범했던 저에게 일말의 희망을 주었지만 이제 보니 아인슈타인은 처음부터 천재였습니다. 제가 어렸을 때 떠돌던 바보 아이 이야기는 지금은 사라진 듯 합니다.


cf 맥스웰(Maxwell)도 또한 한 명의 천재인데, 16세 난원곡선에 관한 논문을 발표했으니...


댓글(7)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갈대 2004-04-07 14:5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아인슈타인은 일반적인 천재와는 많이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즉 전형적인 천재의 모습에서는 벗어나 있습니다. 아인슈타인이 수학적 재능이 떨어졌던 것은 사실이죠. 보통의 자연과학분야 천재들은 수학을 놀라울 정도로 잘했는데도 말이죠. 가우스, 뉴턴처럼 유별나게 특출나지 못했던 것은 그렇다 치더라도 보통의 수학자보다도 떨어졌고 수학을 그다지 좋아하지도 않았습니다. 오히려 아인슈타인의 재능은 무한한 상상력이 아닐까요? 당연하다고 생각했던 것을 의심할 줄 아는 능력, 상상을 극한까지 밀어붙이는 능력 말이죠.

마립간 2004-04-07 15:1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제가 읽고 있는 책에 수각數覺이란 용어가 사용되었는데, 이 용어는 수학적 (또는 과학적) 직관(intuition)을 말합니다. 수학과 과학에 기존에 설명될지 않았던 배경 원리에 대한 것을 찾아내는 것은 논리라기보다는 직관이라고 부르고 싶습니다. 이런 의미에서 저는 수학자와 과학자도 예술가라고 부릅니다. 아마도 아인슈타인은 물리각物理覺이 있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갈대 2004-04-07 16: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수각과 물리각은 다른 것이군요. 저로서는 둘 모두 너무 부족합니다.

stella.K 2004-04-07 20: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마립간님의 글은 희망도 주고 동시에 절망도 주는 것 같습니다. 천재는 어떻게 봐도 어떻게 얘기해도 결국 천재입니다. 그래도 전 천재 하나도 안 부럽습니다. 그들의 인생은 불행하잖아요.
그래도 학교는 역시 문제가 많은 것 같습니다. 사람들을 일반화 시키고, 억울하게 만들죠.

마립간 2004-04-07 21: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좋은 작곡을 하는 음악가중 우울증을 앓고 있은 사람이 많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 우울증을 치료하면 작곡을 잘 못한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아마도 우울증에서 비롯한 내부 욕구를 작곡으로 해소한다고 해석하기도 합니다. 어째든 학문적 성취의 희열도 황홀경일 것을 생각하면 저는 불행해지더라도 천재를 경험하고 싶습니다. (영화 아마데우스의 살리에르가 모짜르트를 동경했던 것처럼 - 이 영화도 어느 정도 편견이 있다고 생각하지만.)

2004-04-08 15:07   URL
비밀 댓글입니다.

무흔 2004-04-08 20: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인슈타인은 천재입니다. 그로스만의 노트를 빌린 것은 정리가 잘 되어 있었기 때문이었고요.
상대성이론에 필요한 모든 수학을 거의 혼자 독학하다시피 하였습니다. 민코프스키의 시공간이론도 모른 상태이었습니다. 사실 어릴 때도, 수학논문을 쓸 정도로 수학을 잘 하였습니다.
옛날의 물리학자들은 수학을 하지 않고도 물리를 할 수 있었지만 현대물리학은 수학없이는 하기 어렵다고 말한 파인만의 말이 생각나는군요...
 

 * 동양의 과학 - 우주, 나이

 과학을 좋아하는 저는 어렸을 때 서양의 과학, 합리적 사고방식에 대해 동양은 왜 이렇게 비합리적이고 논리적이지 못할까 하고 생각한 때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후 산업혁명이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은 분명하지만 동양적 사고의 과학성이 서양보다 뛰어난 것도 있습니다.

그 중 두가지만......


 우주宇宙는 영어로 universe, cosmos, space로 번역되지만 이는 모두 공간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집 宇, 집 宙로 번역되는 각각을 분석해 보면, 우宇는 회남자淮南子에서에서 한漢나라의 고유高誘가 상하사방의 공간을 宇라고 하고 지나간 과거에서 다가올 미래까지의 시간을 宙라고 주석하였습니다. 즉 쉬운 말로 하면 우주는 시공간입니다. 아인슈타인 상대성 이론이 나온 이후에 시공간의 개념이 있던 서양에 비하면 얼마나 놀라운 과학적 사고였나요. 세계世界라는 단어 또한 세世가 시간은 界가 공간을 나타내는 말로 위의 해석은 고유의 개인의 해석이 아니라 동양의 가치관을 반영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저는 어렸을 때 남이 나이를 물으면 만나이로 대답하는 습관이 있었습니다. 우리나이를 세는 법이 마치 수학에서 말하는 0의 개념이 없는 것으로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자라서 태어나기 전에 어머니 배속에서 일년 가까이 살다가 세상에 나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나는 인간의 생명을 그 수태된 때로부터 더 없이 존중하겠노라.’ (히포크라테스 선서 Oath of Hippocrates 중에서)를 돌이켜 본다면 태어나자마자 한 살로 세는 것이 더욱 과학적임을 알게 되었습니다.


 선입견만 버린다면 동양의 과학 및 합리성은 허상이 아닐 것입니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연우주 2004-04-07 14: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주! 얘기가 나와서 괜히 제 얘기인 것 같았다는...^^;

갈대 2004-04-07 14: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요즘 도올이 자주 이야기하는 최한기의 기이론도 공부해보고 싶더군요.

가을산 2004-04-08 11: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언젠가 성철 스님의 글 중에 " '색즉시공, 공즉시색'이 과학적으로 증명되었다! E=mc2라는 상대성 원리가 바로 그거다. 그러니 불교가 얼마나 과학적이냐!' 하는 내용을 본 적이 있습니다.
물론, 개인적으로는 불교가 기독교보다는 - 최소한 있는 그대로를 보고자 한다는 면에서 - 합리적이라 생각하지만, 결과만을 놓고 '우리가 이걸 예견했었으니 우리가 맞았다'고 하는 건 좀 어색한 것 같았습니다.

단, 르네상스 이전까지 동양의 과학이 서양보다 앞섰었다는 것은 이런 주장들과는 별개로 저도 인정합니다.

마립간 2004-04-08 13: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가을산님의 뜻하는 것을 알겠습니다. 저도 과학의 매력이 탐구분야보다도 과학적 접근(인식론, scientific method)에 있습니다. 사회과학이나 인문과학이란 용어도 이런 뜻을 생겼고요. 근대 자연 과학에서는 기계론적 세계관과 분석적 방법(환원론)이 주류였지만, 이후 종합적 사고 방식과 상호관계가 중요시되었고 이것 또한 과학적 사고라고 생각합니다. 근거없는 결과가 우연히 맞은 것은 과학이라고 할 수 없지만 그 바탕에 경험과 철학적 사고는 가치를 두어야 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시간, 생명, 우주 이런 것들이 과학 분야에 있지 않고 철학 분야에 있었듯이요.
 

 * 감정 호르몬

 신경과학(neuroscience)가 발달하면서 사람의 감정도 물질로 설명하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어떤 감정은 어떤 호르몬(hormone) 또는 신경전달물질(neurotransmitter)에 유발된다는 것입니다. 즉 A라는 물질이 뇌에서 분비되면 기쁨을, B라는 물질이 분비되면 슬픔이 등등. 이런 식으로 말이죠.


 예전 가설로 사랑(erotic love)의 감정은 암페타민amphetamine이 정情은 엔돌핀endorphine이 거론된 적이 있습니다. (가설입니다!) 어짜피 가설이기 때문에 많은 학문적 실험을 포함하여 검정을 거쳐야 하겠지만, 그 단어에서 오는 뉴앙스nuance, 이미지image는 어찌나 비슷하던지.


 암페타민은 마약의 일종입니다. 이것의 유도체인 메스암페타민methamphetamin은 필로폰philopon이라 불리우는 마약이고요. 마약은 투여 시 단기간 기분을 매우 들뜨게 하나 곧 탈민감desensitization이 되고 재 투여시 처음의 효과보다 낮은 효과를 나타냅니다. 남녀의 연애의 감정은 처음에 황홀경이지만, 결혼 후에 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무디어 지는 것이 비슷하지요.


 반면 엔돌핀은 몸에서 생성되는 우리 몸에서 자체적으로 생성되는 내인성 진통제로서  마약의 일종으로 볼 수도 있지만 일반적인 다른 마약과의 차이점은 탈민감이 없다는 것입니다. 즉 중독성이 없습니다. 오랫동안 같이 해 왔던 부부간의 정, 죽마고우인 오래된 친구 사이의 우정은 시간이 지난다고 약화되지 않습니다. 오히려 강화됩니다.


 한 가지 더 옥시토신oxytocin 이라는 호르몬은 자궁 근육을 수축하여 출산 때 분비되거나 젖을 분비시키는 호르몬인데 남녀가 포옹抱擁할 때 분비되기도 해 닉네임으로 포옹호르몬이라는 별명도 있습니다. 그리고 동물의 뇌에서 이 호르몬의 양을 측정한 결과 일부일처의 짝짓기를 하는 동물일수록 옥시토신의 농도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 일부일처에도 이 호르몬이 관여하지 않을까 하는 가설이 있습니다. (제가 붙인 별명 - 일부일처 호르몬)


 물질과는 다를 것 같은 사람의 정신세계도 물질에 의한 것이라면 이것도 그리 좋아보이지는 않겠지만 재미있는 비유로 생각한다면 그도 족하지 않을까요. 또한 이 이야기를 우리에게 적용을 한다면 오래된 연인(결혼을 했던 또는  안 했던)은 사랑에 목메는 것보다 정으로 가치관을 옮기는 것이 더 합당하지 않을까요? (아닌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 스무고개

 어렸을 자주 했던 스무고개를 모두 아시지요. 한 사람이 어떤 단어를 생각하고 상대편에서 20개의 질문을 한 다음 ‘예 또는 아니오.’로 대답을 하고 마지막에 생각했던 단어를 맞추는 게임입니다.  그런데 왜 스무고개일까 생각해 보셨나요. 열 고개, 마흔 고개도 있을 텐데......


 그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이분법(dichotomy)으로 20번을 반복하면 2에 20승 33554432의 경우수가 됩니다. 이 수는 일반인들이 평소에 사용하는 단어를 훨씬 뛰어 넘는 숫자입니다. 그러므로 적절한 질문을 한다면 스무고개에서 모두 맞출 수 있습니다. 열 고개를 한다면 대부분을 못 맞출 것이고 마흔 고개를 한다면 필요 없는 질문이 많아 너무 지루하니까요.


 * 스물고개에서


 모두 아는 이야기이지만 20을 뜻하는 스물에서 고개의 단어가 합성되면서 ‘ㄹ’이 탈락됩니다.


 방송에서 농담을 하고 있습니다.

 학생이 기록부를 작성하면서 아버지 직업란에 기입하려 합니다. 아버지 직업이 목사님인데, 여기에 목사라고 써야 되나, 목사님이라고 써야 되나. ‘목사가 맞아.’ ‘아니야 목사님이 맞아’ 둘이 서로 다투다가 목사님이 맞다고 주장한 이가 ‘목사님’이 ‘목사’면, ‘스님’이 '스'냐? (웃음 - 까르르)

 ‘님’은 존칭 접미사로 스님은 승(僧)에 님이 붙어 승님이 되었다가 스님이 되었습니다. 따라서 목사님이 목사면 스님은 승이 되어야지요.


 * Quiz


 양동이에 세균한 마리가 있습니다. 이 세균은 0.1초에 한번이 분열을 해서 3시간 만에 양동이를 가득 채웠습니다. 같은 양동이에 두 마리 세균으로 시작하면 얼마의 시간이 걸릴까요. (물론 모든 세균이 똑 같이 0.1초에 한번씩 분열하며 중간에 죽거나 하는 것은 없다고 전제하고)


댓글(5)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갈대 2004-03-26 13: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2시간 59분 59.9초. 맞나요?^^

▶◀소굼 2004-03-26 15: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갈대님이 말씀하시는 게 맞을 듯^^

마립간 2004-03-26 16: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맞습니다. 보통사람들은 산술급수에 익숙해 있는 반면 기하 급수에는 낯설어 하거든요.
수학이나 논리에 관심있는 분에게는 너무 쉬운문제 같지요.

마태우스 2004-03-26 17: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와, 갈대님 대단해요. 전 아무 생각도 안나던데...

조선인 2004-04-20 22: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헉... 이 페이퍼도 코멘트도 이해 못 하고 있습니다. "정석풀이"를 제공해주시면 어떨런지... ^^
 
 전출처 : 갈대 > 이렇게 되도록 노력하자!!

여기다 적어놓고 수시로 보면서 반성하자!!

1. 정리가 덜 된 아이디어도 과감히 공개하기

2. 다른 사람 관찰만 하지 말고 의견을 자신 있게, 강하게, 먼저 꺼내놓기

3. '이 정도면 알아듣겠지?'라며 생략하지 말고, 생각을 충분히 빠짐없이 밝히기

4. 불만스러운 감정을 그때그때 표현하기

5. 누구 시킬 사람 없나 두리번거리지 말고, 직접 행동하기

6. 인간적인 교류를 자주 하기(애정의 말과 행동으로 표현해보자)

7. 비논리적인 의견도 무시하지 않고 귀담아 듣기


댓글(4)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립간 2004-03-21 11: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갈대님의 서재에서 가져온 것인데, 우선 저한테 제일 어려운 6번과 제일 쉬운 7번을 실천하자.

2004-03-23 12:25   URL
비밀 댓글입니다.

마립간 2004-03-23 23: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잊어버리지 말라고
E(외향)-I(내향), S(감각)-N(직관), T(사고)-F(감정), J(판단)-P(인식)

예전에 아주 어렸을 때 INTP이었는데, 이후 INTJ를 거쳐 ISTJ로 바뀌었다. 늙어가는구나!

조선인 2004-04-20 22: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7번이 쉽다니 존경스럽습니다. 막무가내인 저로선 2번과 4번이 쉽다 못해 오히려 저어해야 하는 부분이군요. ㅠ.ㅠ